View : 985 Download: 0

중학교 시청각실 운영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시청각실 운영에 관한 연구
Authors
최희주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공학분야
Keywords
중학교시청각실서울시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호재숙
Abstract
오늘날 교육 인구의 증가와 지식의 팽창 및 기술의 혁신은 교육방법 개선의 일환으로 교육에의 교육 공학적 접근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것은 교육의 질적 저하를 해결하고 교육 방법의 현대화를 위해 효과적이고도 체계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은 교육 방법의 개선은 교수·학습 과정에 새로운 공학을 적용함으로써, 현대 사회가 제시하는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학교 교육에서는 광범위한 교육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교수 매체 활용의 필요성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었고 적절하고 다양한 교재·교구의 공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중학교에서의 시청각실 운영이다. 중학교 시청각실은 교수·학습 과정의 통합된 한 부분으로서 그 자체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 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수·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시청각실의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원활한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46개 중학교 시청각실의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 중학교 시청각실 운영의 문제점과 이에 따르는 바람직한 해결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내외 관계 문헌을 통해 시청각실의 특성 및 기능, 요원 및 임무, 교재·교구 그리고 환경적 시설을 밝힌다. 2. 서울 시내 중학교 시청각실의 실태를 질문지를 통해 특성 및 기능, 요원 및 임무, 교제·교구와 환경적 시설로 나누어 조사·분석한다. 3. 실태 조사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이에 대한 바람직한 중학교 시청각실의 운영 방안을 제안한다. 조사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시청각실이 있어도 형식적인 명칭 뿐이고, 필요시에는 다른 용도로 쓰이고 있다. 2. 시청각실 담당자의 대부분이 일반 교사이고, 시청각실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성과 시간이 부족하다. 3. 교재·교구의 부족으로 지원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4. 보유하고 있는 교재·교구의 통일된 분류 방법이 없으며 교사들의 이해 부족으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다. 5. 교재·교구의 구입 요청을 대부분 과목 담당 교사가 하며 시청각실 담당 교사와 긴밀한 유대 관계가 적어 교재·교구가 편중되어 있다. 6. 시청각실의 공간 확보와 환경적 시설이 매우 미흡하다. 7. 무엇보다도 교육 행정 당국의 시청각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및 협조가 부족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인 중학교 시청각실의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교육 행정 당국과 교사들에게 시청각실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인식시켜 이에 따른 연구와 협조가 있어야 하겠다. 2. 시청각실은 교과 과정의 통합된 한 부분으로서 형식적이 아닌, 실질적인 교수·학습의 기능을 해야 한다. 3. 현 중학교의 현황으로 보아 적어도 1명의 전담 요원의 확보로 시청각실 운영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일반 교사가 시청각실을 담당할 경우, 그에 따르는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갖추도록 지속적 활동을 위한 재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과중한 업무를 고려하여 다른 일반 교사보다 수업량이 적어야 하겠다. 5. 교재·교구의 양을 확충하기 위한 행정적인 지원과 보유하고 있는 교재·교구의 통일된 분류 방법을 마련하여 보관·유지해야 한다. 6. 학교 신축시 설계 단계부터 시청각실의 환경적 시설을 고려해야 하며, 기존 중학교의 시청각실은 교육 공학적 측면에서 환경적 시설 설비면의 확충이 필요하다.;Increasing of educational population, expansion of knowledge and technical renovation are demanded of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way that solves modern educational problems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That is to say,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method call to adjustment of new technology that accommodate purpose of education in modern society. School education which plays a pivotal role of education, there- fore, has come to require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method in order to organize and administer a wide range of educational resources more effectively. One of these educational methods is audio- visual room in middle school. Audio-visual room in middle school puts great emphasis on procedure and resources in whole educational process, operates a n integrated part of teaching-learning process. Therefore, above all, it serves and supports that effectively,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its own media programs. Through survey on existing conditions of 46 middle schools in Seoul,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urrent problems of audio-visual room in middle school and its solutions which can be put into practice in Korea. In addition, the literature concerned as well were reviewed to illumin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explains the function and character, the composition and role of personnel,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and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of audio- visual room through related literature. 2. This study surveys the existing conditions of audio-visual room in middle schools in Seoul by analyzing them into function and character, personnel,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3. This study suggests the problems of current audio-visual center in middle school and the desirable way to administer it. The problems raised in the survey are as follows; 1. A few middle school have the audio-visual room, if way, for form's sake name and use of other utilization in case of necessity. 2. Most of directors are teachers and that are short of speciality and time to conduct audio-visual room. 3. There is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and it is not well served. 4. There are no unified classification method of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the lack of teacher's understanding which are in possession are nearly unused. 5. Most of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 are unbalancedly utilized. 6. The space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are unsatisfactory to their purpose. 7. There is, above all, little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of educational authorities concerned. To solve such problems and to administer audio-visual room in middle school more effectively,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as follows: 1. It is now demanded that educational authorities concerned and teachers should reconsider auido-visual room. 2. Audio-visual room should operate an integrated part of curriculum. 3. It is desired that personnel should be composed of specialist, technician, and aide. 4. It is necessary to retrain teacher who is in charge of audio-visual room. And through retraining, he obtains speciality and knowledge adequate for the task. For this reason, his working hours is less than that of other teachers who are off duty. 5. The more quantity of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and the unified classification method are needed. 6.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should be attended as a plan for the audio-visual room of new school. The existing audio-visual room should be secured sufficient environmental facilities in phase of educational technolog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