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호-
dc.contributor.author裵周玉-
dc.creator裵周玉-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7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2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65-
dc.description.abstract河回 별신굿 탈놀이는 1959년 崔常壽·柳漢尙 두분의 採錄本에 의해 世上에 알려졌으며 許도령이라는 傳說의 人物이 제작한 탈이 1964년 國室 條121號로 指定되어 國立 博物館에 所藏되면서 학제의 관심이 되었다. 그러나, 탈만이 남아 있을뿐 1928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어 別神굿 탈놀이 전반에 대한 전수가 不可能했고 1980년 無形 文化財(69호) 지정당시에는 생존자가 거의 없어 再現되고 있는 탈놀이의 資料 및 技能 전수에 취약점이 대단히 많으며 특히 춤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本穡는 탈놀음의 內容과 進行 節次에 따른 기존 자료를 토대로 각 配役의 특성과 탈의 特徵的인 表情을 分析하여 춤을 구성해 보는 것을 中心 課題로 한다. 河回 別神굿 탈놀이는 서낭님을 위하는 別神굿의 일부로 진행되며 탈놀이가 따로 獨立되어 있지 않는 굿으로서의 탈놀이로 現存 탈놀음중 그 由來와 起源이 가장 오랜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쓰여진 탈은 오리나무에 彫刻된 木材탈로써 다른 탈과는 달리 굿이 끝난후 태우지 않고 그대로 保管하는 神聖假面의 性格을 지니고 있으며 턱을 따로 달아 움직이게 한것이 特徵이다. 춤動作은 놀이할때 서낭님이 시켜서 저절로 움직여진다고 믿고 있으나 15일간 外部와의 연락이 일체 단절된 상태하에서 山主가 내려준 自已 配役의 특징을 생각하다가 兩班광대는 兩班이 되고 부네광대는 부네의 맵시있는 걸음걸이에 젖게되는 非科學的인 要素를 찾아 볼수 있다. 또한 採錄本상의 內容 分析에 의한 각 配役의 특성과 탈의 표정에서 표출된 성격이 너무도 흡사하여 微弱하지만 어떠한 춤이 추어졌을것이라는 想像을 可能케 하였으며 움직이는 턱을 조정함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파생되는 동작 역시 춤의 構成을 可能케하는 根據를 제공해 주었다. 탈놀이에 참여했던 演戱者들 가운데 생존자가 거의없어 춤에 대한 정확한 考證은 할 수 없으나 군데 군데 남아있는 口傳에 의한 採錄本과 韓國人의 생활 감정이 잘 표현된 탈을 통하여 춤에 관한 연구를 할 수 있음이 그나마 천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마지막으로 좀더 多角적인 면에서의 춤사위에 관한 硏究가 시도되어 보다 낳은 河回 別神굿 탈놀이가 復元되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The Hahoe Byolsin-Kuk Mask Play became generally known by the recording book by Choi Sang-Soo and Yoo Han-Sang in 1959. And the academic world became concerned about this mask play after the mask made by Mr. HUR who is a legendary person has been preserved as a national treasure No.121 in 1964. But, unforunately, this mask play had been suspended since 1928. When it was design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No.69) in 1980, there are few survivors. So, now, it is difficult to know this dancing movement and the other materials well. Therefore, in this thesis, I'll make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ancer and mask based upon the existing materials of the mask play. The Hahoe Byolsin-kut Mask Play is a part of Byolsin-Kut for a tutelary deity, that is, this mask play doesn't separate from "kut"(exorcism). And it is known that the origin is almost as old as the hills. The masks used for this mask play are made of alder trees. And, being different from the other masks, these masks have been preserved not burnt after finishing the mask play.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se masks is that their jaws can be moved respectively. It is believed that movement of this mask dance made impro visatory according to the order of a tutelary deity. But, actually, each dancer has practiced one is own role for 15 days according to the order of Sanjoo(master), severing the relations with other peoples. So Yangban mask dancer, Bune mask dancer, and other mask dancers become steeped in their own role repectively. In this play, we can find some unscientific thoughts. And the characteristic from the expression of each mask and the characteristic of each dancer analyzed in the contents of the recording book are much alike, so we can imagine the early dancing style. And the movement expressed from the movable jaws also suggest the base that we can imagine the dancing constitution. There is no survivor among the performers who are concerned in Hahoe Byolsin-Kut mask Play, so we can hardly know the exact dancing movement. But, fortunately, we can study of this mask play through the preserved masks that were expressed the emotion of our Korean people and the recording books remained by the oral conveyance. At last, I hope that this Hahoe Byolsin-Kut Mask Play should be revived and developed better from the multilateral point of vie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Ⅰ. 緖論 A. 硏究目的 B. 硏究方法 Ⅱ. 河回 別神굿 탈놀이의 槪觀 A. 別神굿 탈놀이 의 由來 B. 別神굿 탈놀이의 進行節次와 構成 Ⅲ. 河回 別神굿 탈놀이 춤의 構成을 위한 理論的 考察 A. 마당별 內容 전개에 의한 配役別 特性 分析 B. 탈의 性格과 表情에 관한 分析 Ⅳ. 現行 河回 別神굿 탈놀이의 춤에 관한 分析 A. 탈춤의 形態 B. 탈춤의 問題點 Ⅴ. 分析 內容에 의한 춤의 構成 Ⅵ.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133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하회 별신굿-
dc.subject탈놀이-
dc.subject춤사위-
dc.subject탈춤-
dc.subject.ddc700-
dc.title河回 別神굿 탈놀이 춤사위 構成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Dance Part Composition-
dc.format.page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