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여학생의 가사노동 능력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여학생의 가사노동 능력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bilities of household work of female students : in the third-grade students of girl's middle schools in seoul
Authors
김복근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여학생가사노동여자중학교가정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자 중학생의 가정생활에 대한 태도와 기본적인 가사노동 능력을 조사 연구함으로써 현재 여자 중학생의 가사노동 능력을 측정함과 동시에 장차 가정 생활에서 접하게 될 문제점을 알아 보아 앞으로의 가정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로서 각 변인별 가정생활에 대한 태도와 가사노동 능력을 알아보았으며, 가정생활에 대한 태도와 가사노동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시내 여자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1,00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것중에서 응답이 불충실한 것을 제외한 930부를 조사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변인별로 빈도, 백분율, 최소치, 최대치, 평균치, 상관관계 등을 알아보았고, 유의도 검증을 위해 Chisquare test와 F-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정생활에 대한 태도 가장의 직업이 행정직, 전문직, 사무직 종사자인 집단,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집단, 아파트나 연립주택에 거주하는 집단, 어머니의 학력생활수준, 학업성적이 높은 집단에서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주부의 학력에 대한 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의 기능으로 심리적 안정을 중요시 하였다. 2. 가사노동 능력 「의생활」과 「식생활」분야에 대한 가사노동 능력은 가장의 직업이 「농업, 축산업, 임업, 수산업 및 수렵업 종사자」인 집단, 어머니의 직업이 있는 집단, 한옥에 거주하는 집단, 어머니의 학력 · 생활수준 · 학업성적이 낮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생활」 분야에 대한 가사노동 능력은 가장의 직업이 「사무 및 관련직 종사자」인 집단, 어머니의 학력 ·생활수준 · 학업성적이 높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3. 가정생활에 대한 태도와 가사노동 능력과의 관계 가정 생활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 집단은 「가족생활」분야에, 만족하고 있지 않은 집단에서는 「식생활」 분야에 대한 가사노동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을 갖는 것에 대하여 「직장 생활을 하다가 결혼하면 그만두고 주부 역할만 하겠다」라고 응답한 집단은 「의생활」과 「식생활」 분야에 대한 가사노동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부의 학력으로 「국민학교 졸업 이하」가 적당하다고 응답한 집단에서는 「식생활」 분야에, 「고등학교 졸업」에 응당한 집단은 「의생활」분야에, 「대학교 이상」에 응답한 집단은 「가족생활」분야에 대한 가사노동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 주부의 일에 대한 태도에 따르면 「주부의 노력에 따라 여자의 능력을 인정받고 보람을 얻을 수 있다」라고 응답한 집단에서 가사노동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으로, 여학생들의 가사노동 능력은 가정생활에 대한 태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여학생들에게 가정생활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시키기 위하여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의 가정생활에 대한 정당한 가치평가가 요구되며, 가정에서는 자녀에게 가사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고, 학교에서는 이론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생활 교육과 기술교육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measure the house-hold-work-ability of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which they would face in possible home life by means of investigating the attitude toward household work and the basic ability of it. The study aims at seeking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is study included the analysis of the degrees of attitude toward household work and of household-work-ability by each variable and also the survey of mutual 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questionnaires. The population studied was the third-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toward household work. The degree of satisfaction at home life is high in the group of students whose fathers work at administrational, professional of business office, whose mothers have no occupation, who live in apartment house or tenement house, and who do well at school. The above groups also valued mental stability as a home function. 2. The ability of household work The ability of household work in clothing-life and dietarylife is high in the group of students whose fathers work for farming, livestock farming, forestry, marine industry, and hunting, whose mothers' educational level is low and whose living condition and school records are low. The factor in family life is high in groups of students whose fathers work at business office and the like, whose mothers' educational level is high, and whose living condition and school records are high. 3. The 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toward household work and the ability of it The household-work-ability of family life is high in the group satisfied with home life, and that of dietery-life is high in the opposite group. The house-hold-work-ability of clothing-life and dietray-life is high in the respondents who hope to quit their jobs after marriage. The household-Work-ability of diefary-life is high in the group thinking that housekeepers nee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at of clothing life high school education or the more, and that of family life college education or the more. The ability of household work is highest in the group thinking that housekeepers feel satisfaction and receive recognition as much as they make efforts for home.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attitude toward household work varies their household work should be recognized at home, school, and society in order to make students know household work is. Besides it is needed to give students a chance to do household work and to put more emphasis on technical practical education than on theoretical 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