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채희완-
dc.contributor.author김옥희-
dc.creator김옥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8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3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0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350-
dc.description.abstractThe study aims to observ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resent state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The ritual which was an expedient of life in the past has almost been extinct as time passes. This study is stressed on Hanam area which still has a variety of Korean peasant music and the necessity of the music because of its being are of important gran?aries in spite of the change of way of producing crops. Up to now the study of peasant music has been centered upon folklore or musical approach to status research of its transference and melody-collecting for morement. But as for peasant music, it consists of both musical elements and theatrical elements such as dancing Especially the file-formation in peasant music reflects the meanings according to conte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Shoi-Karak (melody on Korean traditional bronze drum; Kkwang-Kwari) and Chum-Karak (melody for dancing) and in forming theatrical room for visual diagramming. Accordingly this study of file-formation is of help not only to the understanding of procedure of peasant music and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but to the revelation of a characteristic of peasant music as a form of battle in connection with tactics. In this paper two regions (Udo: Yongkwang and Cheongeup Chwado: Pilbong and Chinan) are chosen to be studied laying stress particularly on the file-formation out of Pan-Gud. In comparing the formation of file of performers in the four regions, the patterns and their meanings are studied with priority given to Pilbong village. For instance in what form file-formation is made, what the elements are, what are the meanings according to forms,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melody, file-formation and movement of feet, are studied. As a result,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file-formation is divided into two; one is a group performance in harmony stirring cooperative spirit and the other a strife performance meaning discord for the purpose of sharpening consciousness. The forms of file are as follows: spiral file, circular file, and straight file, all of them making all the participants have integration and appear peaceful. The spiral and circular files are the form inducing people to take part and the circular file in particular serves as the brighe between files besides carrying out leading functions. In it movement of feet of the players is simple but varied depending on rhythm and as the rhythm gets faster the unsolved weary of life turns into elation through sublimation. The straight file is performed frequently in mock strife. The structure of file-formation contains repetitions of typing, cheering, and untying, and it seems to be connected with tactics of troops but it remains a task to treat in the future.;민중들의 삶의 방편이던 굿의 일종인 농악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원형적인 모습이 거의 소멸되어 가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행해지고 있는 농악 중 비교적 다양한 형태를 아직도 엿볼 수 있고 농업 생산양식이 변화하더라도 곡창지대로서 농악의 필요성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지금까지의 농악연구는 대부분 민속학적 접근 내지 음악학적 접근으로서 농악의 전승과정에 대한 현황조사 및 채가락 위주의 장단채보 등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농악은 음악적 편성뿐만 아니라 거기에 따른 춤가락이라든가 각종 연희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농악에서의 진풀이는 농악의 내용별 의미를 반영하고 있고 쇠가락과 춤가락을 이끌어 내고 이를 시각적으로 도형화하는 연회 공간의 전반적 구성에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진풀이의 연구는 농악의 진행 구조와 의미, 매체적 특성 등을 이해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줄 뿐만 아니라 병법과의 연관성 속에 싸움 형태로서의 농악의 한 성격을 밝혀내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호남지역의 우도와 좌도 중 대표적인 지역을 각각 두 지역씩 선택하여 (우도-영광, 정읍, 좌도-필봉, 천안) 판굿 중의 진풀이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4개 지역 진풀이를 비교하고 특히 필봉 마을을 중심으로 진풀이의 유형 분류와 그에 따른 의미 분석을 하였다. 이를테면 진풀이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 졌으며 구성요인은 무엇이고 구조상 형태별 의미는 어떤 것인지, 가락과 진법, 발디딤 등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그 결과 진풀이는 화합의 군무로 공동체성을 다지는 내용과 대립형의 싸움중으로 의식의 첨예화를 위한 갈등 내용으로 크게 나뉜다. 진의 형태로는 곡진과 원진, 직진이 있는데 곡진과 원진은 모두 함께 일체감을 가질 수 있고 평화로운 양상을 띤다. 원진, 곡진은 관중의 참가를 유도하는 형태이며 특히 원진은 주도적 역할뿐 아니라 진과 진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직진은 모의 쟁투에 많이 쓰인다. 진법에 따라, 장단에 따라, 발동작은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가락이 빨라질수록 민중들의 맺힌 고달픔이 승화하여 신령으로 솟아 오르는 것이다. 또한 진풀이의 구조는 맺고, 어르고, 푸는 양상을 되풀이하고 있으며 진풀이는 병법에서의 진법과 많은 연관이 있는 듯하나 이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ⅶ Ⅰ. 緖論 = 1 A. 硏究 目的 = 1 B. 硏究 方法 = 2 Ⅱ. 湖南 農樂의 歷史的 背景 및 實際 = 3 A. 호남농악의 전승 = 3 1. 농악의 기원과 유래 = 3 2. 호남 농악의 전승 = 5 3. 호남 농악의 기능별 분류 = 8 B. 편성 및 복색 = 9 1. 악기 및 인원 구성 = 9 2. 복색 = 11 C. 쇠가락 (農樂의 長短) = 15 Ⅲ. 호남 농악 판굿의 진풀이의 실제 = 24 A. 판굿의 구성과 진풀이 = 24 1. 좌도농악 판숙의 구성 = 24 2. 우도농악 판굿의 구성 = 37 B. 진풀이의 장단과 발동작 (필봉을 중심으로) = 46 Ⅳ. 진풀이의 의미 분석 = 66 A. 유형별 분류 = 66 1. 곡선적인 동작선과 직선적인 동작선 = 66 2. 단선형태와 복합형태 = 67 B. 진풀이의 의미 분석 = 68 1. 형태별 의미 = 68 2. 진법과 진법사이의 이음새 = 70 Ⅴ. 결론 = 73 參考文獻 = 75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602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호남농악-
dc.subject판굿-
dc.subject진풀이-
dc.subject농악-
dc.subject.ddc700-
dc.title호남 농악 판굿의 진풀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ile-Formation of the Korean Farmer's Music in Honam Province-
dc.format.page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