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박기현-
dc.creator박기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9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9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962-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causing the big effect on our whole life, and it helps to change the education paradigm by e-Learning's entrance on the field of education. Keeping pace with this trend, teacher training is being activated by the distance training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distance teacher training is playing the alternative plan to be able to overcome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collective training. But, repeating the years, the controversial points are indicated to insufficiency of interaction as well as to lack of consideration for teachers' various levels and requests (Lee, 2002; Jeong, 2004). Besides the distance teacher training, the consideration for importance of interaction in other e-Learning environment becomes rising, so the social presence that supports it is noticed as well.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 that is, if learner recognizes the social presence low on-line, the interaction is hard to lead lively and he becomes to have frustration and negative attitude, shows the influence of social presence clearly (Garramone, Harris & Anderson, 1986; Hample & Dallinger, 1995; Kang, 2005). The social presence means the extent that they perceive the mutual interchange as well as they feel other person as an existence actually when people in various places share communication through media (Short et al., 1976, Tu & McIssac, 2002 recit.). This theory is brought into relief recently its importance according to the existent study finding the influence to learner's satisfaction specially (Hackman & Walker, 1990; Gunawardena & Zittle, 1997; Steven, 2003; Stacey, 2000; Bibeau, 2001). What is more, Stacey (2000) reports in his study that the social presence causes lively interaction, and thence it plays an important part to positive attitude formation for learning. So the social presence is also expected the positive effect to the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in the environment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Also, the preceding studies referred that the computer literacy, that is, IT ability was included to one of components of the social presence (Tu & MacIssac, 2002; Knoll & Jarvenpaa, 1995). As a result of this, we can conjecture that the social presence and IT ability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Moreover, all kind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except for writing test are achieved through the Internet in practical style ICT for distance teacher training, so the basic IT ability is essential and important factor. Hereupon, this study researched what the relation had among the learner's prior knowledge (IT ability/Flash ability), the social presence, the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in the Flash course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and then examined whether the prior knowledge predicted the social presence, and furthermore, whether the social presence predicted the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prior knowledge predicted the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by the intervention of the social presence. Specific researching subjects to examine this study purpose closely are as follows: 1. Does learner's prior knowledge predict the social presence in Flash course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 2. Does learner's social presence predict the achievement in Flash course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 3. Does learner's social presence predict the satisfaction in Flash course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 4. Does learner's prior knowledge predict the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in Flash course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by the intervention factor of the social presence ? This study executed an experiment to 71 teachers on the active list who took the Flash course of 'T' Institute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examine such subjects closely. Learner's prior knowledge was measured in the first week of training, and the social presence and the satisfaction examination were executed in the last week. And then the achievement was measured through writing test on the expiration day of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rrang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lations among the prior knowledge (IT ability/Flash ability), the social presence, the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e result of examination was proved that IT ability had th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presence (r(71)=.240, p <.05) and the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r(71)=.330, p <.01) that were (sub) factors of it. Also, IT ability was proved as it had correlation with the achievement (r(71)=.241, p <.05), but Flash ability was proved as it had no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presence was (proved) to be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r(71)=.691, p <.01), and also it could confirm that positive correlation was researched in the whole training satisfaction (r(71)=.591, p <.01) and the interaction (r(71)=.528, p <.01) among sub factors of the satisfaction. Specially, it was proved to be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est (r(71)=.625, p <.01), the easiness of learning (r(71)=.604, p <.01),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r(71)=.607, p < .01) among sub factors of the satisfaction. But it was proved as it had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presence and the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executed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 relation specificall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 prior knowledge (IT ability/ Flash ability) predicted the social presence was examined, and it was proved that only IT ability (β=.273, p =.021) was exposed to be meaningful factor to predict the social presence 9.9%. Specially, IT ability was proved to be factor to predict 13% of the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β=.354, p =.003) among sub factors of the social presence. But Flash ability was shown low meaningful factor statistically, so sub factors of the social presence could not be confirmed its predict. Second, whether the achievement was predicted by the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and the vitality of emotion interchange that were sub factors of the social presence was examined, but the meaningful factor to predict the achievement was not proved. Third, sub factors of the social presence were confirmed whether they predicted the satisfaction. And the result was that both the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β=.388, p =.000) and the vitality of emotion interchange (β=.420, p =.000) that were sub factors of the social presence were all proved as predicting the satisfaction. Also, the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and the vitality of emotion interchange that were sub factors of the social presence were examined to confirm how far predicted each of the sub factors (the whole training satisfaction/the interesting/the interaction/the easiness of learning/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predicted the easiness of learning (β=.382, p =.002)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β=.396, p=.002), while the vitality of emotion interchange was proved to predict all of the whole training satisfaction (β=.527, p =.000), the interesting (β=.394, p =.001), the interaction (β=.524, p =.000), the easiness of learning (β=.238, p =.044),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β=.266, p =.025). Fourth, the prior knowledge was analyzed whether it predicted the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by the intervention of the social presence. And the result was that the interven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presence was proved only to the satisfaction. To put it concretely IT ability of the prior knowledge was proved to effect the easiness of learning(β=.135)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β=.140) among the sub factors of the satisfaction by the intervention of the liveliness of opinion exchange among the sub factors of the social presence.;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우리의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e-Learning의 등장으로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교원 연수도 인터넷을 통한 원격 연수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 원격교원연수가 기존 집합 연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해를 거듭하면서 교사들의 다양한 수준과 요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상호작용이 불충분한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이종연, 2002; 정영식, 2004). 원격교원연수뿐만 아니라 다른 e-Learning 환경에서도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개념으로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가 사회적 실재감을 낮게 인식하면 활발한 상호작용이 유발되기 어려우며, 학습자가 좌절감과 부정적 태도를 갖게 된다는 선행 연구 결과는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을 명백하게 보여준다(Garramone, Harris & Anderson, 1986; Hample & Dallinger, 1995; 강명희, 2005). 사회적 실재감이란 다양한 장소에 있는 사람들이 매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할 때 상대방을 실제로 존재하는 사람으로 느끼고, 상호간의 교류를 감지하는 정도를 뜻한다(Short et al., 1976, Tu & McIssac, 2002 재인용). 이 이론은 특히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에 따라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Hackman & Walker, 1990; Gunawardena & Zittle, 1997; Steven, 2003; Stacey, 2000; Bibeau, 2001). 뿐만 아니라 Stacey(2000)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어, 사회적 실재감이 원격교원연수 환경에서도 성취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컴퓨터 리터러시(computer literacy) 즉, IT 능력이 포함된다고 언급함으로써(Tu & MacIssac, 2002; Knoll & Jarvenpaa, 1995) 사회적 실재감과 IT 능력간에 관련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습형 ICT 원격교원연수에서는 지필고사를 제외한 모든 교수&#8729;학습활동이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본적인 IT 능력은 필수적이며, 주요한 변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lash 과정 원격교원연수에서 학습자의 사전 지식(IT 능력/Flash 능력), 사회적 실재감, 성취도, 만족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 알아보고, 사전 지식이 사회적 실재감을 예측하는지, 더 나아가 사회적 실재감이 성취도,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규명해 보았다. 또한 사전 지식이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성취도,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Flash 과정 원격교원연수에서 학습자의 사전 지식은 사회적 실재감을 예측하는가? 2. Flash 과정 원격교원연수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은 성취도를 예측하는가? 3. Flash 과정 원격교원연수에서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은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4. Flash 과정 원격교원연수에서 사전 지식은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 변인으로 하여 성취도,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수에서는 T 원격 연수원의 Flash 과정을 수강하는 71명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수 첫 주에는 학습자의 사전 지식을 측정하였으며, 마지막 주에는 사회적 실재감 및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수 종료일에 지필고사를 통해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전 지식(IT능력/ Flash 능력), 사회적 실재감, 성취도,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IT 능력은 사회적 실재감 (r(71)=.240, p < .05) 및 이의 하위 요인 중 의견교환의 활발성 (r(71)=.330, p <. 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T 능력은 성취도(r(71)=.241, p < .05)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Flash 능력은 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실재감은 만족도(r(71)=.691, p < .01)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연수 전반 만족도 (r(71)=.591, p < .01), 상호작용(r(71)=.528, p < .01)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특히 흥미(r(71)=.625, p < .01), 학습의 용이성(r(71)=.604, p <.01), 지각한 효과성(r(71)=.607, p < .01) 과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변인 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회귀 분석,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지식(IT 능력/Flash 능력)의 사회적 실재감 예측 여부를 살펴본 결과 IT 능력만이 사회적 실재감을 9.9%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밝혀졌다(β=.273, p=.021). 특히 IT 능력은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도 의견 교환의 활발성을 13%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β=.354, p =.003). 그러나 Flash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도가 낮아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 요인들의 예측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 하위 요인인 의견 교환의 활발성, 감정 교류의 원활성이 성취도를 예측하는지 살펴보았지만 성취도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 하위 요인들의 만족도 예측 여부를 확인해 본 결과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 요인인 의견 교환의 활발성(β=.388, p =.000), 감정 교류의 원활성(β=.420, p =.000) 모두 만족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 요인인 의견 교환의 활발성, 감정 교류의 원활성이 만족도 하위 요인(연수 전반 만족도/흥미/상호작용/학습의 용이성/지각한 효과성) 각각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지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의견 교환의 활발성은 학습의 용이성(β=.382, p=.002)과 지각한 효과성(β=.396, p=.002)을 예측하였다. 감정 교류의 원활성은 연수 전반 만족도(β=.527, p =.000), 흥미(β=.394, p =.001), 상호작용(β=.524, p =.000), 학습의 용이성(β=.238, p=.044), 지각한 효과성(β=.266, p=.025) 모두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 지식이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성취도,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 효과는 만족도에서만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전 지식 중 IT 능력이 사회적 실재감 중 의견 교환의 활발성을 매개로 하여 만족도 하위 요인 중 학습의 용이성(β=.135)과 지각한 효과성(β=.140)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6 1. 원격교원연수 = 6 2. 사전 지식 = 6 3. 사회적 실재감 (Social Presence) = 6 4. 성취도 (Achievement) = 7 5. 만족도 (Satisfaction)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원격교원연수 = 8 1. 원격교원연수의 정의 및 필요성 = 8 2. 원격교원연수의 장 &#8729; 단점 = 9 B. 사전 지식 = 10 1. 사전 지식의 정의 = 10 2. 사전 지식의 역할 및 중요성 = 11 3. IT 능력 = 12 4. Flash 능력 = 14 C. 사회적 실재감 (Social Presence) = 15 1. 사회적 실재감의 정의 = 15 2. 사회적 실재감의 요소 = 16 3. 원격교원연수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중요성 = 19 D. 성취도, 만족도 = 20 1. 성취도 = 20 2. 만족도 = 21 E. 관련 선행 연구 = 22 1. IT 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 = 23 2. IT 능력과 성취도,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24 3. 사전 지식과 성취도,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25 4.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27Ⅲ. 연구 방법 = 30 A. 연구 대상 = 30 B. 연구 도구 = 32 1. 실습형 ICT 원격교원연수 학습 환경 = 33 2. 사전 지식(IT 능력/ Flash 능력) 측정 도구 = 35 3. 사회적 실재감 측정 도구 = 36 4. 성취도 측정 도구 = 37 5. 만족도 측정 도구 = 38 C. 연구 절차 = 38 D. 자료 분석 방법 = 39 Ⅳ. 연구 결과 = 41 A. 사전 지식의 사회적 실재감 예측 = 43 B. 사회적 실재감의 성취도 예측 = 45 C. 사회적 실재감의 만족도 예측 = 46 D. 사전 지식의 성취도, 만족도 예측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 역할 분석 = 54 Ⅴ.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B. 연구의 제한점 = 61 C.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74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98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Flash 과정 원격교원연수에서 사전 지식, 사회적 실재감, 성취도, 만족도 관계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Prior Knowledge, Social Presenc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Flash Course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dc.creator.othernamePark, Ki hyun-
dc.format.pagexii, 91-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