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기본 움직임을 통한 정박아의 수 개념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Title
기본 움직임을 통한 정박아의 수 개념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Effects of Rythmical Training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
Authors
김명희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기본 움직임정박아수 개념체육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매자
Abstract
정박아들은 인간으로서 인간답게 살 권리를 갖고 있으며 비록 인간의 숱한 능력중 어느 한 부분에 장애를 갖고 부족한 점이 있다고 해도 그들은 인간의 생활권에서 제외시킬 수 없는 것이다. 오히려 그들을 위해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일상생활을 안전하게, 완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박아 교육의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상생활에 가장 필요한 수 개념 이해를 위한 학습방법으로서 기본 움직임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여 학습에 기본 움직임이 정박아 수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은 정박아 교육기관에서 20명을 선정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1. 기본동작의 비교에 있어서 P < 0.001의 유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동작을 동작별로 비교하면 홉(t=4.61)에 의한 셈교육은 워어킹, 점프, 탭동작보다 성과도가 낮았으며 탭, 점프에 의한 셈교육은 탭이(t=7.69 P < 0.001), 점프동작(t=8.68 P< 0.001)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워킹은 다른동작과 비교할 때 (t=10.03, P<0.001)로 가장 높은 성과를 보였다. 2. 남녀 성별 비교에 있어 여자는 탭동작(t=4.52, P<0.01)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홉동작은 남자, 여자아동간의(t=4.71 P<0.01)별 차가 없었다. 점프와 워킹에서는 남자가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치 차 1 %미만으로 성별에 따라 교육훈련의 차가 있음을 인정하기가 어렵다고 볼 수 있다. 3. 연령별 비교에서 탭과 홉동작은 P<0 ,01의 유의 수준으로 가설을 기각하고 따라서 점프, 워킹에서는 점프동작이(t=15.3, P<0.001) 워킹동작은(t=5.79 P<0:001)로 유의한 차를 나타내고 있다. 즉 13∼15세는 교육을 거듭할 수록 전반적으로 탭동작이 높은 효과를 높였고, 9∼12세는 가장 기본적인 워킹 동작에서 더 좋은 효과를 얻었다. 4. 이동성 동작중 걷기는 60.5%, 비 이동성 동작 점프, 탭, 홉 51.5%로 P<0.001로서 이동성 동작에 의한 교육이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self-support themselves economically and socially by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ion through movement 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were selected 20 Trainable mentally children including 10 boys and 10girls. The movements of tap, walking, hoping, jumping were tested. The results as followes: 1. The comparison of the foundamental movement showed p<0.001 when it was compared with a separate movement, the degree of result of number conception by the hoping (t=4.61) was lower than that by jumping, walking and tap. The tap (t=7.69 p<0.001) and jumping (t=8.68 p<0.001) showed leaning effect similarly. Walking was compared with other foundamental movement, it gained the highest affect t=10 p<0.001. 2. Female children showed highest effect at tap (t=4.52 p<0.001) in comparison of sex. And hoping showed not any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jumping and walking, male children showed some superiority, but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values was no more than 1%. 3. Jumping showed the difference of a seperate age with p<0.001, and hoping with p<0.001. The study showed that 13 to 15 years old children gained more effect than 9 to 12 years old in most foundamental movement. 4. The results showed 60.5% with locomotive activities as walking and 51.5% with nonlocomotive activities. It could be say that the locomotive activities was more effective than nonlocomotive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