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5 Download: 0

음악치료가 반응성 애착장애아의 어머니-아동 관계개선에 미치는 효과

Title
음악치료가 반응성 애착장애아의 어머니-아동 관계개선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윤혜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아동기 정신 장애의 하나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의 특성에 맞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DSM-III(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에서 처음 소개된 반응성 애착장애는 비교적 최근에 생긴 진단명으로서 현재 그 진단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므로 반응성 애착장애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발달임상센터에서 놀이치료를 받고 있는 만 3세의 아동들로서 반응성 애착장애아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악치료는 총 17회 실시하였으며 처음 4주간은 주 1회 개별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 5회기 이후로는 주 1회 개별치료와 주 1회 그룹치료로 구성하였다. 치료 3회기에는 가정에서의 음악활동을 위한 부모 교육이 실시되었고 치료 5회기 이후로는 어머니가 치료 세션에 직접 참여하여 보조치료사의 역할을 하였다. 매 회기 치료 후 Brief Feedback Time을 가졌으며 과제물이 부과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아동의 일탈 행동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아동의 사회지수(SQ)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사회 성숙도 검사(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SMS)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부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Parenting Stress Index: PSI), 아동의 애착관계에 대한 지각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낯선 상황절차(Strange Situation Procedure: SSP)를 사용하였다. 또한 음악치료 과정 내에서의 어머니, 아동의 상호작용 능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매 회기 비디오 녹화된 자료 중 치료 초기 10분을 Fagot(1983)의 상호작용 행동척도(Interactive Behavior Code)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폐증 평정 척도상 모든 대상 아동의 이탈적 행동의 심각성은 감소하였다. 감소된 점수의 차는 최소 2점에서 최고 7점이었다. 사회 성숙도 검사상 모든 대상 아동의 사회지수는 향상되었다. 향상된 점수의 차는 최소 1점에서 최고 22점이었다. 부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상 모든 대상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점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부모영역 이 아동영역 보다 적은 변화를 보였다. 아동영역 에서는 적용성, 요구성, 산만성 부분에서, 부모영역 에서는 애착, 능력감 부분에서 크게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2. 낯선 상황 절차를 통하여 관찰된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관계의 지각은 사례 1 · 사례 4 아동의 경우는 불안정 저항 애착 유형(C유형)에서 치료개입 후 안정 애착(B유형)으로 변화되었으며 사례 2 · 사례 3 아동의 경우 불안정 회피 애착 유형(A유형)으로 치료개입 후에도 유형의 변화가 없었다. 3. 매 회기 비디오 녹화된 자료를 Fagot(1983)의 상호작용 행동척도(Interactive Behavior Code)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대상 아동의 치료과정 내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내용(맥락 코드)에서 음악활동 , 사회적 놀이와 상호작용 영역은 증가하였으며 활동 없음 영역은 감소하였다. 또한 대상 아동과 타인의 상호작용 특성을 분류(상호작용 코드)하면 치료개입 후 웃기/미소하기 , 적극적 신체사용 영역이 증가하였고, 상호작용 없음 영역은 감소하였다. 무시하기 영역은 3명의 대상 아동의 경우 감소한 것에 반하여 1명(사례 2)의 대상 아동이 증가하였다. 4. 매 회기 비디오 녹화된 자료를 Fagot(l983)의 상호작용 행동척도(Interactive Behavior Code)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음악치료 과정 중 어머니의 상호작용능력(반응 코드)은 모든 대상 아동 어머니의 경우 정적인 신체반응 , 협동활동 영역에서 증가하였고, 아동을 바라만 보기 영역은 감소하였다. 연합활동 영역에서 였다. ‘연합활동’ 영역에서 사례1. 사례3·4 아동 어머니의 경우 증가함을 보인 반면 사례 2아동 어머니는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애착 장애 아동 특성에 맞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어머니의 관계 개선을 위한 조기 중재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The research tried to develop an adequate music therapeutic program for the attachment disordered and investigate its effects. Subjects of this research was 4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under the age of three. Music theraphy was 4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under the age of three. Music therapy was given to them twice a week, 17 sessions in total personal treatment for 30 minutes once and group therapy for 40 minutes the other once a week. To collect data, CARS(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SMS(Social Maturity Scale), PSI(Parenting Stress Index) and SSP(Strange Situation Procedure) were us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Also to see changes in the interactive abilities of both children and mothers caused by the music therapy program, the first 10 minutes of each session were analyzed with Fagot s Interactive Behavior Code(1983) on the basis of video records on each session.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ll children showed reduction of deviate behaviors on CARS and increase of social maturity on SMS afte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Mothers stress invariably reduced on PSI after the program. As for children s perception of their attachment for parent observed throughout SSP, case 1 and 4 children showed a swift form instable to Stable attachment, while Case 2 and 3 Children didn 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even afte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As a result of analysis with Fagot s Interactive Behavior Code(1983) on video records, interactive abilities of both children and mothers caused by the music therapy program showed a striking development. Only Case 2 children s ignoring increased and their mothers concerted activities showed no difference. Consequently speak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fact that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programs for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disorder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showed a possibility of those programs for an early mediation between the child and par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