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천혜정-
dc.contributor.author김현주-
dc.creator김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8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1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level of bond with grand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grandparents on ima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314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n Seoul.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sed by frequency,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conducted Ducan'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om a socio-demographic features, the grandparent-grandchild bo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actors of affection bond and a sense of succession of family depending on economic status. And Normative bo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religions. The students who had lived with their grandparents showed a greater level of the bond than the students who had not, in that affection bond, a sense of succession of family and normative b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act with grandparents and the bond,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grandparents showed a strateg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on bond, a sense of succession of family, and normative bond. In particular, conversations with grandparent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overall. Second, in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eatures, variables related to grandparents, and the level of bond with grandparents on high school students' image toward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economic status of the students showed a positive significance on image toward the elderly. In other words, the students with higher economic status have more positive image toward the elderly. And affection bond and a sense of succession of famil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udents' image toward the elderly in a positive way. The higher the level of affection bond and a sense of succession of family are, the more likely that the students to have a positive image toward the elderly. Lastly, in study of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eatures, variables related to grandparents, and the level of bond with grandparents o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Christianity, among religions, showed a relatively negative influence on their attitude. Also, the experience of living together with grandparents and conversations with them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Namely,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 living with their grandparents and having a frequently contact with them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an those who had not. And affection bond and a sense of succession of famil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a positive wa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ffection bond and a sense of succession of family are, the more likely that the studen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본 연구는 남녀 고등학생들의 조부모와의 유대감 수준과 조부모와의 유대감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남자고등학교 1개교와 여자고등학교 1개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31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2.0(ver.)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인 통계분석방법은 각 연구문제별로 빈도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일원분산분석에서 유의한 차이가 파악된 경우 Duncan의 사후분석을 통해 차이가 나타나는 집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조부모와의 유대감은 연구대상자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애정적 결속감, 가계 연속감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규범적 결속감 요인은 종교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부모 관련 변인에 따른 유대감 수준에서는 애정적 결속감, 가계 연속감, 규범적 결속감 모두 과거 조부모와의 동거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동거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은 유대감을 보였다. 조부모와의 접촉정도와 유대감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애정적 결속감, 가계 연속감, 규범적 결속감 모두 접촉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모두 대화접촉과 가장 높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조부모관련 변인 및 조부모와의 유대감 수준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경제수준에서 노인에 대한 이미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노인에 대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애정적 결속감과 가계 연속감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정적 결속감 및 가계 연속감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이미지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조부모관련 변인 및 조부모와의 유대감 수준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종교 중 기독교가 노인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부모와의 동거경험과 대화접촉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부모와 동거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집단에 비해서, 그리고 대화접촉이 잦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애정적 결속감과 가계 연속감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부모와의 애정적 결속감 및 가계 연속감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에 더욱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조부모와의 유대감 = 4 B. 노인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의 인식 = 7 Ⅲ. 연구방법 = 14 A. 연구 문제 = 14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5 C. 측정도구 = 18 D. 자료 분석방법 = 20 E. 신뢰도 분석 = 21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3 A. 조부모 관련변인의 일반적 특성 = 23 B. 조부모와의 유대감 수준 = 27 C. 사회인구학적특성, 조부모관련 변인 및 조부모와의 유대감 수준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32 Ⅴ.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1 부록 = 45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71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조부모와의 유대감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Grandparents on Ima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dc.creator.othernameKim, Hyun-Ju-
dc.format.pagevii, 54-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