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8 Download: 0

임신부와 가임 여성의 엽산, 비타민B12 영양상태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

Title
임신부와 가임 여성의 엽산, 비타민B12 영양상태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
Authors
허정회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신주수 21.6±6.4주인 임신부 212명과 가임 여성 132명을 대상으로 엽산, 비타민 B_12 영양상태,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대상자들의 식이섭취실태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혈청 엽산, 비타민 B_12 농도 radioimmunoassay method,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HPLC-fluorescence dectector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임신부의 권장량 대비 단백질, B_6, 엽산의 섭취는 가임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임신부의 혈청 엽산, 비타민 B_12, 호모시스테인 농도 또한 가임 여성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혈청 엽산과 호모시스테인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과거 흡연 경험, 영양 보충제 복용 여부는 혈청 엽산, 비타민 B_12, 호모시스테인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과거에 음주를 한 경험이 있는 임신부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과거에 음주를 한 경험이 없는 임신부의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임신부가 가임 여성에 비해 권장량 대비 엽산, 비타민 B_12의 섭취가 낮았으며, 혈중 엽산, 비타민 B_12 수준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흡연, 음주, 영양보충제 복용 여부가 혈청 엽산, 비타민 B_12 및 호모시스테인 농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흡연, 음주를 하는 조사대상자의 수가 적고, 흡연, 음주를 하는 양이 적으므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 임신부와 가임 여성의 엽산, 비타민 B_12,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대한 연구는 본 연구에서 이루어졌으나, 이들의 혈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folate, vitamin B_12 status and homocysteine levels. Serum total folate, vitamin B_12 and homocysteine are determined in 212 pregnant and 132 non-pregnant women. Dietary intakes of nutrients were determined by a 24-hour recall method. Serum folate and vitamin B_12 were analyzed by a Radioimmunoassay method and serum total homocysteine levels were analyzed by a HPLC-fluorescence detection. The serum folate, vitamin B_12, homocysteine levels of pregnant women were 18.6nmol/L, 324.0pmol/L, 8.0μmol/L,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f non-pregnant women(24.0nmol/L, 746.3pmol/L, 10.5μmol/L). The total folate intakes of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were 468.4㎍, 345.8㎍ respectively and RDAs of folate intakes of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pregnant women. Serum folate level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homocysteine of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A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nutritional supplementation might alter nutrition, we were interested in its effect on serum folate, vitamin B_12 and homocysteine level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serum folate, vitamin B_12, homocysteine levels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nutritional supplementation and non-smoking, non-alcohol drinking, non-nutritional supplementation.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omocysteine levels between alcohol use and non-alcohol use. 25.4% of pregnant women and 29.5% of non-pregnant women were marginally deficient in serum folate concentration. This reports indicated that the folate intake of pregnant women is below the Korean RDAs of folate and serum folate levels of pregnant women are lower than non-pregnant wome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folate, vitamin B_12 status and homocysteine level in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estimate serum folate, vitamin B_12, homocysteine status in partur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