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조선조 민예품에 나타난 실첩 실상자의 조형적 특성

Title
조선조 민예품에 나타난 실첩 실상자의 조형적 특성
Other Titles
BOX FOR KEEPING THREAD AND SEWING BOX OF POINT OF PIASTIC TECHNIQUE IN THE FOLK ARTS FROM THE YI-DYANSTY
Authors
유재선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조선조민예품실첩 실상자FOLK ART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Handicraft in the Yi-Dinasty is very various from the simple works to the higher grade arts. Among them, the folk-craft is formative art which was made, polished and decorated by needs. Box for keeping thread and sewing-Box are the kinds of vessel. These folk-craft were kept threads and sewing tools when women did a sewing and an embroidery in their inner room. So these folk-craft are beautiful and useful works. In the beginning, Box for keeping thread and Sweing-Box were kept in the willow trunk A little later, they wrapped the paper on it in order to Protect from being nappy of threads. And little by little they made patterns and decorated with colored papers. After that, they polished it with a vegietable oil. These folk-crafts were gradually developed owing to their needs. Furthermore, when we research the structure of them they are so scientific and systematie that we can find our ancestor's foreknowledge who had gifted talents of formation in commonness. Box for keeping thread and Sweing-Box were small furnitures which were using in the room. So their materials were paper wood or cloth. According to their shape, Box for keeping thread and Sewing Box became more luxurious with decoration of a horn wort or mother-of-pearl. Our ancestor could make beautiful and convinient handicrafts even with the worthless materials. In these days, the traditional handicrafts like this become extinct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industrialized produ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recover the quality and beauty of traditional handicraft and to find the roots of today's handicraft, but also it will be helpful to improve our present lift style.;조선시대의 공예는 간단한 용기에서 부터 격조높은 예술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 중에서 민예품은 서민들의 생활에서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 지고, 길들여지고, 꾸며진 조형물이다. 실첩, 실상자는 여인들이 안방에서 바느질, 자수를 할 때 사용되었던 실, 기타 바느질 용구를 보관하는 기물로서 「용」과 「미 」를 겸비한 민예품이다. 처음에는 버들고리에 보관하던 것을 실의 보풀이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종이를 씌웠고, 그것을 미화하기 위해 색지로 시문하고, 식물성 기름으로 길을 들였으며, 필요에 의해서 점차 발전된 것이다. 또한 구조를 보면 보다 과학적이고, 계획적이어서 평범한 속에서도 선천적으로 조형적인 요소를 지닌 선인들의 예지를 발견할 수 있다. 실첩, 실상자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소가구이기 때문에 주재료가 종이, 나무, 직물 등이었고, 이것은 형태에 따라서 화각이나 나전으로 외장하여 화사함을 더하기도 하였다. 우리의 조상들은 주변의 하찮은 자원을 가지고도 궁리하여, 쓰기에 편리하고 아름다운 수공예품을 만들었던 것이다. 이러한 전통공예는 오늘날 산업화된 생산에 따라 점차 소멸되어져 가고 있으며, 특히 실첩, 실상자는 눈에 띄기 어렵게 되었다. 이 연구는 자료를 통해서 우리 조상의 슬기와 미를 탐구하고 현대의 우리 생활의 공예 발전에 밑바탕을 이룬 맥을 찾아서 현대의 생활미술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