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9 Download: 0

가정과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 탐색 : 인간생태학과 실천적비판과학을 중심으로

Title
가정과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 탐색 : 인간생태학과 실천적비판과학을 중심으로
Authors
최서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가정과 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가정과 교육은 모 학문인 가정학의 목표, 즉 개인과 가정의 안녕 및 복지 증진을 교육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의 가정과 교육은 이러한 목표를 이루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가정학 철학의 부재로 인하여 가정학의 영역이 의, 식, 주, 가족 관계, 소비자 등 여러 분야로 세분화되어 학문의 총체적 방향이 상실되었고, 이는 가정과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과 연구방향 등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가정과 교육은 현대 가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자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와 아울러 위기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가정의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목표를 둔 가정과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 인간생태학 패러다임과 실천적 비판과학 패러다임을 가정학의 고유성, 지식의 체계성, 교수-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가정과 교육의 패러다임 모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정과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 인간 생태학적 관점은 적합한가? 2. 가정과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 실천적 비판과학 관점은 적합한가? 가정과 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간생태학과 실천적 비판과학 관점을 분석해 본 결과, 가정학이 세분화되어 총체적 방향을 상실한 문제는 인간생태주의 관점으로 영역을 재구성하여 전 영역에서 생태적 가치를 지향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생태적 관점에서의 온전성과 전체성은 가정과 교육의 내용구성체계와 통합교육과정 구성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지식의 분절화를 야기한 학문적 영역에 따른 가정과 교육의 단원 구성체계는 생태적 관점을 취함으로써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현대 가정은 가족의 해체, 인성의 왜곡, 전통의 붕괴와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가정과 교육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원을 양성할 수 있어야 한다. 개인, 가족 내부의 관계,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에서 파생되는 실천적 문제들은 실천적 비판과학을 지향하여 실천적 문제해결력을 길러줌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뚜렷한 기준을 제공하고 현장에서의 가정과 교육에 대한 당위성을 부여할 중요한 근거가 되며, 가정과 교사들의 올바른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 paradigm for curriculum orientation, content organization, and teaching guide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objective of home economics is to contribute in improving the welfare of home and individual unit. This goal actually identifies itself with the objectiv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owever,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t this time holds several problems in achieving such a goal. This is because there exists no certain philosophy in the education of the study. Due to the absence of a particular philosophy, the field of domestic science has been subdivided into smaller categories such as food, clothing, housing, family relations and consumer sciences, and furthermore, practical problems confronted with family could not be solved independently within the family. Regarding such problems, this study deals with the ecological paradigm and the practical paradigm of critical science to search a paradigm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focus i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systematic structure, teaching and learning guides of home economics or home economics education. Main concerns of this study are follows: 1. How is the human ecological view as a paradigm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identified? 2. How is critical science view as a paradigm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identified? Within the domestic boundary and from relations with the society through considering the above matter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problems caused by specialization of the sub-fields of home economics can be solved by applying human ecological aspect. The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 of family dismantlement and the distortion of one s character can be solved by applying practical and critical science, which helps families and individual units to build and maintain systems of action. Thus,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 standard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offer a model of how the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in the classroom. The study will also support students to enhance their skills and help the instructors form their identities properly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