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북한 인민학교 도화공작 교과서 분석

Title
북한 인민학교 도화공작 교과서 분석
Authors
김수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정세의 변화로 인한 세계냉전체제의 종식과 경제적인 상황 그리고 통일에 대한 우리의 강한 열망과 노력으로 본격적인 통일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재, 북한 미술교육의 실제를 파악하여 이질화를 극복하고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통합 미술교육과정을 준비하는데 그 기초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문헌연구로 이루어졌으며, 북한교육의 이념 및 목적, 교육과정 등을 살펴본 후 교육의 기초가 되는 북한의 초등교육기관인 인민학교 미술교과서 도화 공작의 분석을 통해 북한 미술교육의 실상을 파악한다. 인민학교 도화 공작 미술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북한 미술교육의 특징을 크게 3가지로 분류해 보면, 첫째, 미술교육의 정치화 를 들 수 있다. 인민학교 도화 공작 교과서의 표현주제를 살펴보면, 김일성 우상화, 김정일 찬양, 미국과 일본에 대한 적개심 고취와 전쟁화와 무기, 노동절 축제, 사회건설 현장 표현 등의 내용을 담으며 사회주의 체제유지와 애국심, 단결심 함양수단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민중성 및 실용성의 강조 를 들 수 있다.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미술교육을 강조하며, 노동애호 정신과 근검절약 정신을 주입시키는데 이렇듯 객관적인 현실의 반영으로 실제생활의 표현을 통해 민중을 고무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것을 중요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실적인 표현방법의 강조 를 들 수 있다. 인민학교 도화 공작 교과서에 제시된 작품 대부분이 사실적인 표현의 작품들이고 이것의 작화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수록하고 있는데, 대상을 바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화 공작 교과서의 외형체계를 살펴보면, 남한교과서의 1/2크기에다 표지를 제외하곤 모든 수록 작품이 흑백이며, 갱지에 인쇄하여 지질이 양호하지 못하다. 교과서의 내용체제는 별다른 설명 없이 제작과정과 완성작품만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구성 면에서는 하나의 주제를 학년간 심화하여 반복적으로 다루는 등 단원간, 학년간의 연계성이 치밀하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아동의 발단단계를 적절히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현방법은 오로지 사실적 으로 제한된 표현방법만을 반복하여 사용하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재료사용의 측면 역시 종이, 크레용, 조선화 재료, 나무, 수수깡 등 매우 단순하며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북한의 미술교육은 사회적 인식을 중요시 여기고 정확한 현실세계의 반영과 이를 표현하기 위한 획일적인 표현방법을 고집하고 있어 개인의 개성과 자유로운 표현은 등한시되고 오로지 사회주의 사회건설에 필요한 인간형성을 위한 도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미술교육은 사회적 종속으로부터 해방된 자율성을 가질 수 없으며, 당의 지도하에 표현되어져 야만이 그 가치와 의의를 인정받을 수 있고 민중을 고무시키고 민중을 공산주의 사회건설을 위해 투쟁할 수 있도록 사상적으로 무장시킬 수 있는 작품을 표현하는데 있다. 그러나 이 시대의 진정한 미술교육은 현 시대를 스스로 조명하며 사회적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방향으로 길을 열어갈 수 있는 미적이고, 창조적이며 도덕적인 인간형성을 위해 실행되어져야 할 것 이다.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in North Korea so as to prepare its basis for a unified art education as well as to overcome differences with South Korea as we experience changes such as the end of the Cold War,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ffort to reunify the two Ko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documentary records and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in North Korea with analyzing drawing work, as a part of the textbook in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 s, after specifying its ideal and curriculum.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North Korean textbook, the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in North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1) politicization of art education, 2) emphasis on popularization and practicality and 3) realistic expressionism. Art education in North Korea recognizes its social effect as an important role and abides by a reflection of exact reality and a standardized method for expression so that individuality and their liberal expressions are neglected; the only purpose for education is generating members for establishing socialism. In addition, as we take a look at the position of the textbook toward drawing work, we see that its black-and-white printed materials are half the size of that in the South Korean textbook and uses rough papers. Also, the North Korean textbook is simple in that it is composed of production processes and finished products. The textbook shows that they consider levels of students as we notice the systematic organization according to chapter and year. On the theme of expression, it contains only information about application to practical life or socialism. Regarding the method of expression or material use, they simply encourage the realistic method and usable materials are limited to paper, crayon and Asian painting materials. Presently, art education in South Korea focuses on individual creativity so as to encourage students to express themselves in liberal and self-initiated ways. The South Korean textbook contains information about integrated formative expression without limit between plane and cubic,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ools. The theme of expression is presented in diverse ways, from realistic expressions to matters such as the environment, imagination, fantasy and science. To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organize an integrated art education curriculum that takes reunification into account,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ly, further study about art education in North Korea should be conducted. To do this, identification should precede of the current state of art education in North Korea, based on its ideal, target and curriculum. Secondl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rt education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should be preserved and revised. Lastly, an active attitude is needed toward both promoting information about art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human resources with mastery in North Korean art education. As such, North Koreas art education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social knowledge. Because North Korea adheres to a uniform method of expression that is designed to reflect an accurate reality, individuality and free expression are disregarded; art education is simply an instrument to form people needed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society. In conclusion, art education the North has no liberated autonomy from social subordination. Only when expressed under the partys direction can the worth and meaning of a work be recognized; works should spur the people and ideologically arm them to struggle to build a communist society. However, todays genuine art education should open new directions by naturally illuminating the present age while discovering and solving social problems in order to form aesthetic, creative and moral peo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