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금주-
dc.creator김금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8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8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수업에 있어서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와 만족도를 조사·연구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학 교양체육 수업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양체육 수업의 질적 향상뿐 아니라 대학생의 자발적이며 바람직한 교양체육 수업에의 참여를 유도하여 대학 교양체육을 활성화하고 평생체육으로의 연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0년 현재 서울에 소재한 4년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비전공생(체육관련)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500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자료로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총 420명을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로서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Ragheb와 Beard(1982)가 개발한 ”여가만족척도(Leisure Satisfaction Scale)"를 참고로 연구 목적에 맞게 번안·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7.5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적 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Crosstab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응답분석(Multiple response) 등이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흥미를 느껴서 자발적으로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둘째, 성별·수강동기에 따른 선호도(분류상)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대학생들은 실내종목, 구기종목을 매우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실내종목, 구기종목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수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적절한 환경조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성별에 따른 교양체육 수업 시 적정 인원, 교양체육 수업을 하기에 적절한 시간,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하고 싶은 학년간에, 학년에 따른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하고 싶은 학년, 대학에서의 교양체육의 필요성간에, 수강동기에 따른 교양체육 수업을 하기에 적절한 시간, 대학에서의 교양체육의 필요성, 향후 다른 교양체육 수업 참여 의사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대학생들은 "11-20명 이내", "60-80분 미만"을 선호하였고, 교양체육의 필요성과 향후 교양체육 참여 의사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 교양체육 정책 수립 시에 이러한 점을 참고로 하여 특정 학년을 위한 수업보다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수업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여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요인· 신체적 요인·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휴식적 요인에서, 학년에 따른 교육적 요인· 사회적 요인· 신체적 요인·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휴식적 요인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대학생들은 체육활동을 통해 신체적 만족뿐만 아니라 사회적·심리적 만족을 충족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기여하는 교양체육 활동이야말로 중요하다고 아니할 수 없다. 대학생들은 교양체육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나, 환경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수업환경에 대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수업의 질적 향상과 원활한 수업운영을 위해서 적절한 대책과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성별·학년·수강동기에 따른 선호도(구체적 종목)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뚜렷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대학생들은 계절종목인 스키를 가장 선호하였고, 스쿼시·골프·재즈댄스·스포츠댄스 등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스노우보드·인라인스케이트 등의 레저스포츠 종목이 학생들에게 새로운 관심분야로 등장하였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교양체육 정책 수립 시에 학생들의 이러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대처하여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기종목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개인적 특성을 성별, 학년, 수강동기라는 3가지 측면에서만 다루었는데 보다 많은 특성과 관련한 후속 연구도 기대해볼 만하며, 선호도와 만족도라는 개인의 주관적 감정에 관한 연구로 일관되었지만, 수업환경이나 이론종목에 관한 연구 등의 보다 광범위한 범위에서의 다각적인 연구도 기대해볼 만하다. 또한 본 연구가 서울에 소재한 4년제 종합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으며, 남·녀 공학과 여대에 재학 중인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도 기대해볼 만하다.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certain factors influencing the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n the general physic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the examination of them, to induc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viding basic data for general physical education program, to activate university general physical education and to help it to be continued in lifetime. For the subjects, university students who do not major in physical education related field,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n 500 students in total were set as the proper subjects through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But among the replies, those thought to be insincere or useless as data were excluded and the rest of total 420 students repli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subjects for analysis. As a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was made up through reference to and revision and amendment of "The Leisure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Ragheb and Beard(1982)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on SPSS/Win 7.5 program and analyzed through such statistical analytic methods as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sponse. And results from this research procedure and analytic method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terests in courses led most of students t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ourses voluntarily. Therefore university should develop and provide various programs to sustain students attentions and interests. Second, the result showed statical differences between genders and among the motives. Generally students prefer indoor sports and ball. So university should provide various programs through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nd should be equipped with proper institutions for the harmonious class maintenance. Third, statical differences were showed among the suitable numbers of people for the general physical education course, proper time for the course, preferred grade for the course, preferred terms in each grade for the course, necessities of the course, proper time for the course according to the motives, necessities of the course in university and thoughts about the later course participation. Generally students preferred the case of "11-20" numbers of people and "60-80" minutes for the course, and they showed very positive stands toward the necessities of the course and the later participation in the course. So when deciding physical education policies, university should refer to the above factors and by providing various level courses not for the particular grade but for the different grades, it should lead students to have interests and to participate voluntarily. Fourth,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s in social, phys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relaxative factors by gender and in educational, social, phys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relaxative factors by grade. From this, it can be said that students get not only physical but also soci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the physical activities, so in this point the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cannot be too emphasized. Students were satisfied in most of aspects, but low score in the environmental satisfaction item, indicated that more improvements and amendments are required in class institutions. So university should make proper policies and plans to elevate the quality of courses. Fifth,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genders, grades and motives showed just little differences not great ones. Students mostly preferred ski, a kind of season sports, and their interests in squash, golf, jazz dance and sports dance have increased and leisure sports such as snow-board, in-line skate and etc., became the newly attracted ones. So when making physical education policies, university should accept these changes, develop and provide proper programs to satisfy their desires. In this research the first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practical courses and only 3 aspects such as gender, grade and motive were considered. But better researches related in much more characters can be expected and multilateral ones in much wider fields such as class environments and theoretical courses, also can be expected. And special care is needed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because this research selected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s the subjects. And I hope more improved comparison researches on the females between in university and in womens university will be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 가설 = 3 D.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A. 교양체육(대학체육) = 5 B. 개설 교과목 현황 = 9 C. 선행 연구 = 27 III. 연구 방법 = 29 A. 연구 대상 = 29 B. 조사 도구 = 29 C. 조사 절차 = 32 D. 자료 처리 = 32 IV. 결과 및 논의 = 33 1.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수강동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33 2.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분류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33 3.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의식 구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38 4. 개인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57 5. 선호도(구체적 종목)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62 6. 개인적 특성(성별, 학년, 수강동기)에 따른 선호도(구체적 종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응답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64 V. 결론 및 제언 = 74 참고문헌 = 78 부록 1 = 81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68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학 교양체육 수업의 선호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