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은주-
dc.creator손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8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874-
dc.description.abstract전세계적으로 인터넷의 활용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못될 정도로 우리의 생활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의 인터넷 활용은 원격 교육, 자료 검색, 전자 우편 교환 등을 통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교과별로 다양한 형태의 홈페이지가 인터넷 상에 수없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활용의 주체가 되는 학생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과학 교사들 65명, 서울 소재 2개의 중학교 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 학생 중 대부분(98.8%)의 학생이 인터넷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인터넷의 사용은 이미 대중화가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고, 저학년일수록 인터넷의 사용을 일찍 시작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인터넷을 통해 현재 주로 사회, 과학, 컴퓨터 과목을 학습하고 있었으며, 앞으로는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음악 및 미술, 컴퓨터 과목을 다양하게 학습하고 싶다고 응답하여 현재 인터넷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분야가 다양하지 못하지만 앞으로 인터넷을 통해 여러 과목의 학습을 기대하고 있어 학습 사이트를 제작할 때 다양한 과목의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학습은 성적 향상보다는 흥미있는 과학 학습을 유도하고 있어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이트의 개발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교사와 학생들의 학습 사이트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면 교사는 학생에 비하여 인터넷을 학습의 흥미 유발 도구로써 평가한 반면 학생은 인터넷 학습을 능력, 수준에 맞는 교수-학습 도구로서 평가하여 교사와 학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학습 사이트의 문제점으로 교사의 22.8%, 학생의 30.7%가 방대한 정보로 인해 학습 도중 길을 잃을 우려가 있는 것을 지적하였다. 인터넷 학습 사이트를 만들 때 내용적인 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으로 교사는 학생에 비하여 과학 지식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을 강조했으며, 학생은 사이트의 내용이 학교급, 학년별로 정리되어 있어야 할 것과 학습 후의 평가를 강조하여 교사와 학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기술적인 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으로 교사는 학생에 비하여 사이트 내 검색 기능을 갖추어야 하는 것과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지적했으며, 학생은 교사에 비하여 음성의 지원, 사이트 내 도움말 기능이 갖추어져야 함을 지적하여 교사와 학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따라서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에서 인터넷 학습 사이트를 제작 할 때에는 학습 내용을 학교급·학년별로 학생 개개인의 능력, 수준에 맞게 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하며, 온라인 실험 기능을 강화하고 학습 후 평가가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의하여야 하겠다. 또한 교사와 학생 모두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의 큰 장점을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적한 만큼 앞으로 멀티미디어적 요소가 강화된 인터넷 학습 사이트의 효과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The use of the Internet is now so prevalent that it is not a new phenomenon anymore. The use of the Internet in education has been especially intense through remote education, browsing data, e-mail, etc.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using internet as a teaching and learning tools. For this, 65 teachers and 180 students in Seoul region were chosen as sample group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following: 1. The most(98.84%) of the students have experiences of using internet and 50.59% of the students uses internet more than five times a week. 2. The subjects which students currently study with internet include the followings: social science(28.80%), science(17.64%) and computer(14.05%). Also the subjects which students have desire to study with internet include the followings: Korean, English, mathematics, science, social science, music and art, computer.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subjects which can be studied through internet are limited. 3. To facilitate the learning process, students recognize the usefulness of internet. However, the students still believe the traditional method(classroom participation, reference book) as the better mean of achieving good scores in exams. 4. 80.56% of middle schools, 83.33% of high schools showed that they can be provided with internet in class and thus the high possibility of using internet in class can safely be assumed. However, teachers think that the most desirable way of using internet is just as a tool to search for information. The teachers showed rather negative response when ask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through internet. 5. According to the surveys, teachers regarded internet as an interest-arouser for learning while students considered internet to be a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level(p<.05). In addition, 22.8% of teachers and 30.72% of students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losing directions during web searching process because of too much information. 6. In respect to the contents of a web-site, teachers emphasized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while students emphasized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tent by grade. These different response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7. In technological aspect, teachers pointed out that more effective searching function should be added to web-sites and all materials in web-sites should be updated periodically.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dicated that the voice-supporting function and help-key function should be fully equipped in the web-sites. These responses also showed the different needs of technology of web-sites respectively(p<.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선행 연구 고찰 A. 인터넷과 교육 = 4 B. 인터넷과 과학교육 = 11 III. 연구 절차 및 방법 A. 연구 절차 = 13 B. 연구 방법 = 14 IV. 연구 결과 및 고찰 A. 교사와 학생들의 인터넷 학습 이용 현황 및 평가 = 16 V. 결론 및 제언 A. 결론 = 32 B. 제언 = 36 참고문헌 = 38 부록 = 41 영문초록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32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인터넷 학습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및 그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