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척도법 및 평가조건에 따른 관능검사원의 수행능력

Title
척도법 및 평가조건에 따른 관능검사원의 수행능력
Authors
구태령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척도법 중 크기추정 (magnitude estimation, ME)과 라벨화된 크기척도법 (labeled magnitude scaling, LMS) 사용시 여러 가지 평가 조건에 따라 관능검사원의 차이식별 능력에 있어서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여섯 가지 농도 (0, 30, 60, 160, 300 및 600 mM)의 NaCl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가장 강한 농도와 가장 약한 농도의 시료를 제외한 나머지는 2개씩 반복하여 제시하여, 총 10가지 시료가 평가되었다. 척도 종류별로 24명의 평가원이 ME나 LMS를 사용하여 네 가지 (ME의 경우) 혹은 세 가지 (LMS의 경우) 조건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점수를 정정하거나 이전 시료를 다시 맛 볼 수 없도록 한 구두응답 조건(조건 1)과 서면응답 조건 (조건 2), 점수의 정정은 가능하나 이전 시료를 다시 맛 볼 수 없도록 한 서면응답 조건 (조건 3), 그리고 이들을 모두 허용한 서면응답 조건 (조건 4)이었다. 척도별로 각각 24명의 다른 평가원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관능검사에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ME와 LMS 두 척도법 모두에서 조건 1, 조건 2 및 조건 3에 비해 조건 4의 경우 더 적은 수의 식별오류가 나타났다. 대체로 ME를 사용하였을 때, LMS보다 더 적은 식별오류를 보였으나, 같은 평가 조건상에서는 두 척도간에 식별오류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두 척도법은 평가 조건 모두에서 시료의 평균점수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ME 사용시 네 가지 평가 조건 모두에서 24명의 평가원으로 평균간의 차이를 완전히 구별해 낼 수 없었으며, LMS에서는 24명보다 적은 수의 평가원으로 조건 3과 조건 4에서 평균간의 완전한 구별이 가능하였다. 평균점수에 대한 분산분석과 식별오류 수의 분석 결과가 상이하게 나온 것은 식별오류를 규정짓는 방법상의 문제나 두가지 분석 방법 자체의 차이 또는 ME의 평가절차상의 문제 등에 의해 발생하였다고 추측할 수 있으며, LMS와 ME의 평가절차에 관한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점수의 정정과 시료를 다시 맛보는 것을 허용하는 평가 조건은 식별오류를 감소시키고, 적은 수의 평가원으로 더 정확한 결과를 얻게 해 줌으로서, 평가원을 훈련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나 노력, 비용을 절감시켜주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사려된다. ; This study compared four response conditions that varied in reliance on memory: (1) verbal response (2) written response with no retasting and the response sheet removed (3) written response with a single response sheet which allowed past scores to be reviewed and amended but with no retasting (4) the same as 3 but with retasting. It was also to compare discrimination ability of magnitude estimation (ME) and labeled magnitude scaling (LMS). Six concentrations (0, 30, 60, 160, 300 and 600 mM) of NaCl solutions were prepared. Each stimulus was presented twice except 0 mM and 600 mM which were presented once. Thus a judge received a total of 10 stimuli varying over 6 concentrations. Judges rated the intensity of NaCl using ME and LMS. The mean number of discrimination errors was gradually reduced through condition 1 to 4 as reliance on memory was reduced. It means that condition 4 was more powerful. Higher rate of discrimination errors occurred with LMS. Perfect discrimination was not obtained with ME in all 4 conditions. However, LMS resulted in perfect mean separation in condition 3 and 4. Session lengths were longer as judges were allowed correction of scores and/or retas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