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소진-
dc.creator안소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8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8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다소비 채소류인 앙파와 무가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체중이 157±6g인 Sprague- Dawley종 수컷 흰쥐 49마리를 건분 또는 에탄올추출물, 즙식이와 이 채소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식이로 4주간 사육하였다. 건분의 경우 식이 무게의 5% 수준으로 첨가하였고, 이들의 에탄올추출물은 식이의 5%에 상응하는 건분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식이에 첨가하였고, 각 시료의 즙은 건분군에서 사용한 건조분말의 원재료와 동량의 생재료로 즙을 낸 것을 동결건조하여 식이에 섞어 사용하였다. 지방대사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장, 간, 변의 총 지방,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농도 및 혈장의 HDL-콜레스테롤농도를 분석하였고,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혈장과 간의 Thio 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농도와 적혈구와 간의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등의 항산화 효소 및 간에서의 xanthine oxidase (XOD)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양파와 무의 건분과 에탄올 추출물 및 즙시료 내의 총 flavonoids 함량과 vitamin A, C, E 함량 및 식이섬유의 함량을 분석하여 건분 1g에 해당하는 값으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 총 flavonoids는 건분, 에탄올추출물, 즙 모두에서 양파시료 내의 함량이 무시료보다 높았고, 특히 양파건분이 가장 높았다. 모든시료에서 beat-carotene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전체적으로 무시료의 함량이 양파시료보다 높았고, 특히 무즙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Vitamin E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그 함량이 미미하였는데, 양파건분이 가장 높았다. 총 식이 섬유 함량은 무 시료가 양파시료보다 일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무건분이 가장 높았다. 식이섭취량,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모든 군간에 아무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간, 비장, 부고환 지방의 무게 또한 같은 양상을 보였다. 신장의 경우 체중증가량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던 무건분군만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장과 간의 총 지방,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모든 양파와 무의 실험군들이 대조군 보다 낮았으며, 특히 양파에탄올추출물이 가장 현저하게 체내 지방 수준을 감소 시켰다. 변 무게와 변의 총 지방,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모든 실험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 무건분군이 변을 통해 가장 많은 양의 지질을 배설하였고, 그 다음으로 양파에탄올추출물군이었다. 즉, 모든 양파와 무의 실험군들에서 체내 지방대사가 개선되었는데, 그 중 양파에탄올추출물군은 식이섬유의 영향보다는 에탄올에 녹는 flavonoids 등의 영향으로 지방의 합성 및 흡수를 저해하고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무건분군은 flavonoids의 효과보다는 식이섬유의 영향으로 가장 많은 지방을 변을 통해 배설함으로써 체내 지방수준을 감소시켰다고 볼 수 있다. 혈장과 간의 과산화지질 수준을 보면, 대조군에 비하여 양파와 무의 모든 실험군들의 과산화지질 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채소실험군들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파건분군이 가장 낮았다. 또한, 적혈구와 간의 SOD, catalase, GSH-px활성은 전반적으로 모든 채소실험군들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적혈구의 경우 특히 catalase와 GSH-px가 민감하게 반응하여 모든 실험군들의 활성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GSH-px의 활성은 양파건분군에서, catalase의 활성은 무건분군에서 가장 높았다. 간에서의 SOD활성은 양파에탄올추출물군이 가장 높았고, catalase 활성은 무건분군과 무에탄올추출물군에서, GSH-px의 활성은 양파에탄올추출물군과 양파건분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간의 XOD활성은 모든 실험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특히 양파와 무의 에탄올추출물군들이 가장 낮았다. 즉, 혈장과 간의 지질과산화물의 수준이 가장 낮았던 양파건분군은 SOD, catalase, GSH-px 등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양파건분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flavonoids 및 vitamin E가 비효소적 항산화제로도 기능하여 직접 free radical scavenger로 작용함으로써 지질과산화를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전반적으로 항산화 효소 활성이 가장 높았던 양파에탄올추출물군에서 보인 지질과산화물 및 XOD 활성의 억제효과는 주로 quercetin 등의 에탄올에 녹는 특정 flavonoids에 의한 효과로 생각되며, 무건분군의 경우 catalase의 활성 증진과 vitamin C 및 flavonoids의 효과가 동시에 나타남으로써 체내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양파와 무의 식이가 체내 지방수준을 저하시키고 항산화능을 증진시켰는데, 무의 경우 무건분군이 가장 효과적으로 변을 통해 지질을 배설함으로써 체내지방수준을 감소시켰고, 혈장에서의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양파의 경우에는 건분보다 오히려 에탄올추출물이 체내 지방수준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켰고, 항산화 효소활성도 더 증진시켰으며, 양파건분과 마찬가지로 혈장과 간에서의 지질과산화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양파의 생리활성성분들 중에서도 특히 에탄올에 녹는 flavonoids의 효과가 큼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y powders, ethanol extracts and juices of radish and onion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rats. Forty-nin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57±6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s containing 5%(w/w) dry powders of two different vegetables consumed frequently by korean - radish (Raphanus sativus L.) and onion (Allium cepa L.), ethanol extracts and juices from equal amount of each dry powder. Food intake, body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and weights of liver, spleen and epididymal fat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ll the powders, ethanol extracts and juices of radish and onion decreased total lipids,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plasma and liver. Above all, onion ethanol extract decreased them most remarkably. It was thought that organosulfur compounds and flavonoids extracted from onion by ethanol inhibited biosynthesis and absorption of lipid and promoted degradation of lipid. Radish powder also decreased them by increasing fecal excretions of total lipids,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most effectively. Catalase and glutathine peroxidase (GSH-px) activities in red blood cell (RB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ll experimental diets and most remarkably increased by radish powder and onion powder respectively.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and GSH-px activities in liver were remarkably increased by onion ethanol extract, radish powder and onion ethanol extract respectively. Xanthine oxidase (XOD) activities in liver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all experimental diets. Among them, ethanol extracts of radish and onion decreased most effectivel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levels in plasma and liver of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s. Above all, onion powder decreased them most effectively. It was thought that vitamin E and high flavonoids in onion powder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promoting liver and RBC SOD, catalase and GSH-px activities and inhibiting XOD activities effectively. Flavonoids in onion ethanol extract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promoting three antioxident enzyme activities and inhibiting XOD activities most remarkably. Also flavonoids and high vitamin C in radish powder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promoting liver and RBC catalase most remarkably and inhibiting XOD activities. In conclusion, radish and onion we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of lipid peroxidation in animal tissue. From these data, radish and onion can be recommended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and delaying aging. As ethanol extracts from onion were mo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 and promoting three antioxident enzymes, and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as did we should try to utilize onion skin discar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II. 실험재료 및 방법 = 6 A. 실험식이 시료의 준비 및 항산화물질 함량 분석 = 6 1. 양파와 무의 건분, 즙 및 에탄올추출물의 준비 = 6 2. 실험식이 시료의 항산화물질 함량 분석 = 8 1) Flavonoids의 정량분석 = 8 2) 항산화 Vitamin의 정량분석 = 8 ① β-carotene = 8 ② Vitamin C = 9 ③ Vitamin E = 10 3) 식이 섬유의 정량분석 = 11 B. 동물 사육 실험 = 14 1.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 = 14 2. 변, 혈액과 장기의 채취 = 16 3. 조직의 생화학적 분석 = 17 1) 혈장의 총 지방,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HDL-cholesterol 농도 = 17 2) 간과 변의 총 지방,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 18 3) 혈장과 간의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함량 = 19 4) 적혈구와 간의 superoxide dismutase 활성 = 20 5) 적혈구와 간의 catalase 활성 = 23 6) 적혈구와 간의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 = 24 7) 간의 xanthine oxidase활성 = 25 C. 통계처리 = 26 III. 실험결과 = 27 A. 양파와 무의 건분과 에탄올추출물 및 즙건분 내 flavonoids와 항산화 Vitamin 및 식이섬유의 함량 = 27 B. 실험동물의 성장 = 30 1. 식이섭취량,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 = 30 2. 장기와 조직의 무게 = 31 C. 지방대사 = 32 1. 혈장 내 총 지방,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농도 = 32 2. 간의 총 지방,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 = 34 3. 변의 무게 및 변의 총 지방,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배설량 = 36 D. 항산화능 = 38 1. 혈장과 간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 38 2. 적혈구내 항산화 효소 활성 = 39 3. 간내 항산화 효소 활성 = 41 4. 간내 Xanthine oxidase 활성 = 44 IV. 고찰 = 45 A.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 48 B. 항산화능 = 52 VI. 요약 및 결론 = 59 참고문헌 = 63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48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 양파의 시료제조 방법에 따른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