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관상동맥질환자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분석 및 이에 영향 미치는 인자

Title
관상동맥질환자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분석 및 이에 영향 미치는 인자
Authors
류경화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식습관, 건강관련습관(흡연, 음주, 운동)을 조사하고,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을 분석하여 식생활습관 및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이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관상동맥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 37명, 관상동맥질환의 위험 요인을 지닌 환자 54명과 질병이 없이 건강한 대조군 29명으로 50세 이상의 남녀 총 120명이었다. 세 군의 평균 연령은 관상동맥질환군(CAD군)이 62.9±1.3세, 동맥경화위험군(CADR군)이 58.4±0.8세, 대조군은 58.6±1.1세였다. 식이섭취실태는 식품섭취빈도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HPLC-Fluorescence detector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공복시 혈당 수준의 경우 남자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동맥경화위험군(CADR군)의 공복 혈당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여자에서는 동맥경화위험군(CADR군)과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군(CAD군)의 공복 혈당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청 지질 성분의 경우, 남녀 모두 총 콜레스테롤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군(CAD군) 또는 위험군(CADR군)의 HDL 콜레스테롤 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냈다. 혈청 총 중성지방의 경우, 남자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위험군(CADR)의 혈중 중성지방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여성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군(CAD군) 또는 위험군(CADR군)의 혈중 중성지방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압의 경우, 남자의 경우에만 대조군에 비해 위험군(CADR군)의 수축기 혈압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남녀 모두 관상동맥질환군(CAD군), 동맥경화위험군(CADR군), 대조군 순으로 나타났고, 남녀를 비교했을 때 여자에 비해 남자의 혈중 총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중 호모시스테인은 크레아티닌(r=0.26, p=0.0041), Waist-to-hip ratio(r=0.29, p=0.0025)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패류(r=-0.18, p=0.0542), 해조류(r=-0.21, p=0.02), 버섯류(r=-0.20, p=0.04)섭취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의 강도를 가벼운 운동, 보통 운동, 심한 운동으로 나누어 운동 습관을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관상동맥질환군(CAD군)의 72.7%가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의 60%가 심한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 식사횟수, 식사량, 고기의 기름부분 섭취, 취침전 음식물 섭취 여부 및 커피 섭취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해 동맥경화질환군(CAD군) 및 위험군(CADR군)의 식습관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에서는 남자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동맥경화위험군(CADR군)의 담황색 채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군(CAD군)의 녹차 등의 차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식습관과 채소류의 섭취 감소가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상승이나 동맥경화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관상동맥질환자 및 동맥경화위험을 지닌 환자의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대한 연구와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요인이나 영양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Recently elevated serum total homocysteine has been propos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oronary artery disease(CA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at the potential risk factors, serum total homocysteine, dietary behavior and intakes of nutrients, are related to induce CAD. Serum total homocysteine was determined in 37 patients with CAD, 54 patients with risk for CAD and 29 healthy subjects without evid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Dietary intakes of nutrients were determined by a food frequency method. Serum total homocysteine levels were analyzed by a HPLC-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Total fasting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D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men, and it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CAD group than CADR group and control group in women. Total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D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men,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D group and CAD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women. Total cholesterol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three groups-CAD, CADR and control group- in men and women. Total H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CAD group and CADR group than control in men and women.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like Irregular meal behaviors, intakes of visible fat from meat, bed time snacking and coffee consumption were more prevalent in CAD and CADR group than control. The consumption of White and yellow vegetables were lower in CAD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men. Serum total homocysteine in CAD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and was gradually lowered in risk group and control group. Also the level of total homocysteine in seru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an women,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D group with smoking than non-smo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and low consumption of vegetables could increase homocysteine in serum, and homocyteine elevation could be induce to atherosclerosi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establish a explicit relationship between serum homocysteine levels and other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CAD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