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협력하여 쓰기' 교수가 초등학교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력하여 쓰기' 교수가 초등학교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배성미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쓰기 활동은 잘된 글의 모방이나 세분된 기능의 연습이라기보다는 의사소통의 맥락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쓰기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글을 쓰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원과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쓰기에 필요한 전략들을 직접 수행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쓰기 교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하여 쓰기 교수가 초등학교 쓰기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과 6학년 쓰기 장애 아동 20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5학년 4명, 6학년 6명의 10명씩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두 집단에게 동일한 주제로 사전검사(40분간)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15회기(각 회기 당 40분)의 협력하여 쓰기 교수를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같은 회기동안 전통적인 쓰기 교수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실시한 쓰기 교수는 제목 선정하기, 계획하기, 쓰기, 글다듬기로 구성하였고 모든 자료는 두 집단에게 똑같이 제공하였다. 제목 선정하기와 계획하기 단계에서 두 집단의 학생들은 교사와 함께 협의 활동을 한다. 쓰기 단계에서 실험 집단은 교사와 함께 이전 단계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언어적 의사소통을 계속하면서 문장을 번갈아 쓰는 협력하여 쓰기를 하였고, 통제 집단은 독립적인 쓰기를 하였다. 글다듬기 단계에서는 교사가 학생의 글을 첨삭 지도하여 옮겨 쓰게 하였다.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사전 검사와 동일한 주제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글은 글의 내용, 글의 길이, 글의 정확도(철자 정확도, 띄어쓰기 정확도, 문장 부호의 정확도, 문법 사용의 정확도)측면에서 평가되었다. 검사 결과 처리는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SPSSWIN 프로그램에 의한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쓰기 장애 학생의 글의 내용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은 글의 내용에서 협력하여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쓰기 교수를 받은 통제 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2. 쓰기 장애 학생의 글의 길이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은 글의 길이에서 협력하여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쓰기 교수를 받은 통제 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3. 쓰기 장애 학생의 글의 정확도에 있어서, 첫째, 철자 정확도, 띄어쓰기 정확도, 문장부호 정확도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협력하여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쓰기 교수를 받은 통제 집단보다 위의 세 가지 기술에서 더 크게 향상되었다. 둘째, 문법 사용의 정확도에 있어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즉, 협력하여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쓰기 교수를 받은 통제 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문법의 하위 내용을 각각 살펴보면, 꾸미는 말 사용과 어순 배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고, 조사 사용, 주술호응, 시제, 접속사 사용에서는 두 집단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협력하여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 집단이 전통적인 쓰기 교수를 받은 통제 집단보다 꾸미는 말 정확도와 어순 배열 정확도에서 더 크게 향상되었다. 요약하면, 협력하여 쓰기 교수는 초등학교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 현장에서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을 촉진하고자 할 때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협력하여 쓰기는 쓰기 장애 학생들이 가지는 쓰기에 대한 어려움과 그로 인한 두려움을 줄이고 짝과 함께 할 수 있는 편안하고 즐거운 활동으로서의 쓰기에 친숙해지게 한다. 또한, 자연스럽게 쓰기의 과정을 익히게 해준다. 따라서 쓰기 교수에 협력하여 쓰기를 활용한다면 쓰기 장애 학생의 쓰기 표현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도모하여 장애 학생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s of the writing instruction through the collaborative writing on written expression ability in primary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The collaborative writing is a method by which a student shares the actual process of composition with the teacher, another student, or a group of students. The co-authors alternate turns to produce the composition. For this purpose, twenty elementary children with writing difficulties were selected(8 from 5th grade and 12 from 6th gr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EDI-WISC intelligence test, the reading recognition subtest of the Basic Academic Skill Test, and the writing expression ability subtest of Perception and Language Test. The 20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an experimental group with the collaborative writing and the second a control group with the general writing. Two groups went through the stages of choosing a title, planning, writing and revising their products. In the stage of writing, the experimental group wrote collaboratively with a teacher and the control group wrote individually. The groups were trained for 7 weeks(15 sessions). In order to prove the progress of written expression ability.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used. The written expression ability was measured relating to the story contents, the story length and the story correctness.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tilizing the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n the story content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n the story length, showing significantly longer performance of the former group. 3. In terms of the story correctne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in spelling, spacing words, punctuation and grammar.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the four subskills. In terms of the gramma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modifier and word ord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auxiliary words, concord(subject and predicate), tense and conjun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