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체육계열학과 입시실기준비와 입시전문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Title
체육계열학과 입시실기준비와 입시전문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Authors
김희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관련학과 대입 실기준비 실태를 파악하고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입시실기준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의 8개 대학의 체육계열학과 재학생 350명을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31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정경자(2001)와 오장수(1992)의 선행연구에서 설문지를 참고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75로 나타났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인식도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에 대해서는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관련학과 입시실기교육은 체육입시전문기관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으며, 다음으로 개인지도, 학교, 본인 스스로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본인에 의해서 실기준비방법이 선택되었으며, 준비방법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를 준비 기간은 6개월 이상~1년 미만이었으며, 1주일에 5회 이상, 하루 2시간 이상~3시간 미만으로 실기를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에 지출되는 교육비는 20만원 이상~30만원이었으며, 실기준비방법이 본인 스스로와 학교인 학생들의 실기교육비는 10만원미만으로 나타났다. 실기준비과정에서 제공되는 진학정보는 적절하며 시설 및 기자재는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시실기 준비를 위한 운동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운동부상으로 연결되기 쉬우므로 지도자의 효율적인 교수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강사의 학력은 4년제 체육대학 졸업자가 가장 많았으며, 운동기능 및 기술 교육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준비과정의 장애요인은 실기준비와 병행한 공부, 비용부담, 운동부상, 진학정보부족, 시설부족, 소질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입시전문교육기관의 전문적인 실기교육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선호도에 대한 인식은 실기준비방법과 실기준비방법의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실기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교육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실기준비방법과 실기준비방법의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에서 실기를 준비한 학생들은 교육비를 비롯한 상업주의로 인해 입시전문교육기관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준비방법에 따른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교육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개인지도에 비해 입시전문교육기관에서 실기를 받은 학생들이 교우관계와 체육정신함양 등의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체육입시 준비기관의 선호도(M=3.5)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문제점에 대한 인식(M=3.0)과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M=2.7)은 선호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전문적인 실기교육에 대한 요구에 비해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이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운영자와 강사는 교육자적 책임감을 갖고 질 높은 교육서비스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도록 노력해야하며,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이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for the test of practical skill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y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of preparation for the test of practical skills to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entrance examination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50 students of 8 colleges of physical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randomly sampled for questionnaire, and 317s among them were fix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except the data of insincere responses. The survey tool was reorganized with reference to the questionnaires in the previous studies by Jeong Gyeong-ja(2001) and Oh Jang-su(1992),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as .75. As analysis methods of the dat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 analysis were used. Also,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Scheff′e test was used for th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the test of practical skill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o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was the most performed in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entrance examination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he preparation methods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were selected by students themselves mostly. The period of preparation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was between 6 months and 1 year, and the frequency was 5 times or more per week and 2 hours~3 hours per day. Monthly educational expenses was KW 200,000~300,000. For education of instructors, they mostly graduated from university. Obstacles to the preparation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were scholarly activity, burden on expenses and injury from exercise. Second, the recognition of preference to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entrance examination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was very high (mean value ; 3.5), and the preference to them by preparation methods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 The recognition of their problems was high (mean value; 3.0), and the preparation metho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effect toward the institutions was high (mean value; 2.7),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m by preparation methods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