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유선-
dc.creator정유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64-
dc.description.abstract교육에 있어서 예술 교육의 중요성은 심리학이나 교육학의 발달과 함께 예술 교육의 대가들에 의해 그 가치가 새롭게 대두되었으며 미술교육 역시 어린이의 교육에 있어서 기초 교육으로서 새로운 가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유아 미술은 아동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자기 표현의 수단으로 미술 활동의 경험은 사회적 가치와 인지적 가치, 창조적 가치를 지닌다. 또,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동기 유발에서부터 미술 활동을 하는 과정, 작업을 완성한 후에 느끼는 성취감을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경험을 갖게 된다. 특히,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자연스러운 표현과 감성적 본능을 북돋아 심리적인 욕구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정신적인 발달을 도모하며, 정서를 순화하고 더욱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활동으로 발전하여 조화로운 인간 형성의 역할을 기대 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자는 1992년부터 현재까지 사회교육기관의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직접 어린이들과 함께 하면서 미술교육을 미술지도의 시각에서뿐만 아니라, 그들의 미술 표현 활동을 통해 함축되어지는 심리적 내면 세계를 이해하고 이를 미술 교육에 접목 시켜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자기 표현의 욕구가 많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일생의 성장 중 가장 중요한 시기인 유아기의 미술 활동이 그들의 정서와 심리 변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고찰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지도하는 5~7세 일반 유아 중 충동·과잉 행동, 위축·불안, 과시·완벽 행동의 경향을 보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일반 집단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총 24회기로 미술 수업을 6개월 간 적용하여 이 과정 중 나타난 결과물과 행동 변화를 분석하고 부모 질문지와 교사 관찰지를 통해 미술 활동의 효과를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활동을 통하여 충동·과잉 행동, 위축·불안 행동 경향의 유아는 미술 활동의 결과물과 수업 중 행동 관찰, 부모 질문지와 상담을 통해 문제 행동의 감소와 미술활동 작품에서도 문제의 표현특성이 완화된 결과를 보였다. 둘째, 과시·완벽 행동 경향의 사례대상 F의 유아는 지나친 완벽 경향의 행동과 표현은 완화되었으나 과시적 행동은 회기의 종반부에도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문제 행동 변화에 교사의 노력뿐만 아니라 가정의 환경과 부모의 관심이 함께 병행되어야만 지속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미술 교육을 기능 위주의 결과물에 중점을 둔 지도에서 탈피하여 창의성과 표현력을 발달시키는 전인 교육적 기능과 함께 유아의 환경, 개인별 행동,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효과적이라 본다. 이를 위해서는 취학 후 학습과 사회성에 문제가 대두되어 치료와 진단의 도구로 미술이 활용되기 이전에 정상적인 유아들의 행동 특성과 경미한 문제 행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차후 병리적 문제 행동으로 진행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에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 이에 적합한 환경 개선을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주도한다면 미술 활동을 통해 정서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어린이로 성장하리라 본다. ; As with the advancement of psychology or pedagogy, the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in education fields has been raised newly by leading figures in the educational world, and art education has also become acknowledged as a basic field in infant education. Infant ar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he experience of art activity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involves social, cognitive and creative values. In addition, infants have a variety of experiences through the motivation of painting, the processes of art activity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after completion. Especially, infant art may imply the important meaning that it can encourage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infants, purify their emotions, and furthermore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harmonious human being by development into more positive activity, as a means to express psychological desires by stimulating natural expressions from the bottom of their hearts and emotional instinct. From the viewpoint as an art instructor who has instructed directly infants in the art education field of an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since 1992, the research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inner world implied through their art activity and to apply the result to art education. This study corresponds to a case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art activity in infancy when the desire for self-expression starts to emerge positively, as the most important period in growth of a human being, affects positively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infants. For analysis of this study, using an art education program for normal group, art lessons of total 24 times were conducted for six months; the subjects were the infants who tended to show impulsive/excessive behavior, passive/anxious behavior or ostentatious/perfectionist behavior among at 5- to 7-year-old normal infants whom the researcher directly instructs. The researcher analyzed findings from the process and changes in their behaviors and tri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rt activity through questionnaire for their parents and observer s report of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infants who had showed impulsive/excessive behavior, passive/anxious behavior or ostentatious/perfectionist behavior, the art activity brought them into decrease in such problematic behavior and easing in problematic expression in their works of art through observing the results of art activity and their behavior during the lessons, questionnaire for their parents and consultation. Second, for the infant, corresponding to a case subject F, who tended to show ostentatious/perfectionist behavior, although the extremely perfectionist behavior was reduced through the art activity, the exceedingly ostentatious behavior appeared partly even till the last phase of this study. Probably, this suggests that a good home environment and their parents concern as well as the instructor s efforts to induce change in infant behavior should be required simultaneously to get a constant effect. In conclusion, art activity in infancy should be effectively i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for-the-whole-man functionality to develop infants creativity and expressivity and infant characteristics such as environment, individual behavior or psychological status, kicking off the traditional guidance just emphasizing the result focused on its functionality. To do so, before art education is applied as a means to treat and diagnose a problem related to learning and sociality incurred after entering school, appropriate programs to prevent normal infants behavior or slightly problematic behavior from developing into pathologically serious behavior sh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if instructors and parents lead the improvement of suitable environment for that, it is sure that infants will grow to be healthy children i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hrough art ac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2 3. 연구의 제한점 = 2 II. 이론적 배경 1. 유아 미술의 교육적 가치 = 4 2. 유아의 심리적 발달 단계와 미술의 발달 단계 = 5 3. 유아 미술표현의 유형적 분류 = 12 4. 유아의 그림에 나타나는 표현 형태와 심리 분석적 특징 = 15 5. 미술활동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 27 III. 사례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 및 가설 = 30 2. 연구 대상 및 표집 방법 = 31 3. 연구 절차 = 31 4. 연구 도구 = 32 IV. 사례 연구 결과 1. 회기별 미술활동 분석 = 46 2. 미술활동이 정서와 심리에 미치는 효과 = 106 V. 결론 및 제언 = 120 참고문헌 = 123 부록 = 125 Abstract =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862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와 심리에 미치는 효과 : 5-7세 유아 대상-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