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지현-
dc.creator유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60-
dc.description.abstract음악은 인간이 전 생애동안 경험할 수 있는 창조적인 활동의 산물이며 인간에게 보다 높은 삶의 질을 경험하게 한다. 음악 감상은 수많은 음악적 경험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인간의 정서뿐 아니라 생리, 심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 부분에 관해 여러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음악감상 시, 음색, 리듬, 템포, 화성 등 음악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간에 영향을 주고, 이에 따른 신체적인 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한 다른 음악적 요소들의 연구가 활발한 반면, 음색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감상 시, 리듬, 멜로디, 템포 등 다른 음악적 요소를 통제한 상황에서 음색의 차이가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생리적인 반응에 중점을 두었다. 음색은 피아노음색과 오케스트라음색으로 나누었고, 성인 67명은 피아노음색 집단(N=34), 오케스트라음색 집단(N=33)으로 나뉘어 참여하였다. 두 집단에 사용된 음악은 S. V. Rachmaninoff의 Vocalise Op. 34 No. 14이었다. 각 조건에 있어 시기별 대상자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팔 근육 긴장도, 이마근육 긴장도, 피부전도반응, 손가락 피부온도, 심장 박동수, 호흡수를 측정하였으며, 심리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태불안 설문지, 한국판 우울형용사와 정서형용사 체크리스트를 사전·사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생리적 반응의 집단내 사전·중간·사후검사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집단간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t 검증을 이용하였고, 심리적 반응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심리적 반응과 생리적 반응간의 상관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음악감상동안 경험할 수 있는 두 집단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일원변량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팔 근육 긴장도, 피부전도반응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피아노음색 집단에서는 손가락 피부온도(p<.05)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음색에 따른 두 집단간의 생리적 반응의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p>.05). 그리고 두 집단의 심리적 반응에 대한 상태불안, 우울형용사와 정서형용사의 사전·사후에 대한 t 검증 결과, 피아노음색 집단과 오케스트라음색 집단 모두 상태불안과 정서형용사 반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두 집단간 음색간의 차이는 평균차에서 보여주었으나 유의미하지 않았다. 두 집단 대상자의 생리적 반응과 심리적 반응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피아노음색 집단에서 이마근 긴장도와 상태불안(p<.01), 정서형용사(p<.05), 심장 박동수와 상태불안(p<.05)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 오케스트라음색 집단에서도 이마근긴장도와 상태불안(p<.01), 심장 박동수와 정서형용사(p<.05)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음색이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을 생리적인 측면위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음색에 따른 신체적인 반응의 변화는 없지만 음악감상이 긴장이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음악 자체가 생리적 효과를 가져오며 음색보다 음악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 요소의 특성의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통해 치료를 요구하는 여러 분야에 음악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그 가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 Listening to music, one of various musical experiences, occupies important part of daily life and influences greatly human s emotion, physiology, and psychology. Although many studies on music have continued to be conducted, the influence of specific music elements on relaxation seems not to be satisfactory in its approach. This study was to find the influence of timbre controling the other elements when the difference of timbre brought about relaxation while listening to music. 67 adults, who were grouped into tw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one group, the piano music was applied, and for the other group, the orchestra music based on the same piano music applied. Rachmaninoff s Vocalise Op. 34. 14 was taken. In an attempt to observe the physiological change of the participants, arm muscle EMG, frontal muscle EMG, Galvanic skin response, skin temperature, heart rate and respiration were measured while, before and after listening to music, and to find the change of psychological response, Spielberger State Anxiety, MAACL in Korean version, and MAACL before and after listening to music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ANOVA and t-test.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which they could experience while listening to music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iano group as well as the orchestra group. This means anyone who listened to music regardless of the piano or the orchestra could experience relaxation. The relaxation according to timbre which they experienced showed averag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not remarkable. Instea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 in two groups appeared considerable. This study supported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 of relaxation before and after listening to music without difference of relaxation according to timbre, and could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musical basic elements and listening to music as the activity itself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of timb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1. 긴장과 이완 = 5 (1) 긴장 = 5 (2) 긴장이완 = 7 2. 음악과 긴장이완 = 9 (1) 음악감상 = 9 (2) 생리적 측면에서의 음악 = 11 3. 음색 = 18 (1) 음색의 개념 = 18 (2) 음색의 결정요소 = 19 (3) 악기에 따른 음색 = 21 III. 연구 방법 = 27 1. 연구대상 = 27 2. 연구도구 = 27 3. 연구 방법 및 절차 = 33 4. 결과분석 = 34 IV. 결과 = 35 V. 결론 및 논의 = 45 1. 결론 = 45 2. 연구의 활용방안 = 49 3. 연구의 제한점 = 51 참고문헌 = 53 부록 = 68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39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음색이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 : 피아노와 오케스트라음색의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