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준-
dc.creator박혜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56-
dc.description.abstract최근의 미술교육의 경향을 보면 역사와 전통문화의 강조가 눈에 띈다. 이는 세계가 하나로 묶이는 시대를 살면서 느끼는 자아정체성과 자문화 경쟁력의 위기에서 유발된 것일 수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그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이 그만큼 미비했다는 전제가 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미술교육을 통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이 이를 계승시키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밑거름을 다지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여겨지지만 아직까지는 감상과 이해, 표현을 통합하는 체계적인 미술교육 방안이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문화 가운데 세계적으로 자랑할 만한 문화유산인 전통도자에 시문된 문양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미술 학습의 실제에 적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표현해 봄으로써 민족의 독창적인 조형관을 좀더 쉽게 이해하고 창의력과 미적 감수성을 개발하며 전통문화를 존중하고 한국의 전통미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지도방안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의 미술교육의 흐름을 이론영역의 지식과 작품제작활동을 함께 강조하는 DBAE(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와 제7차 교육과정 중심으로 간략하게 고찰하여, 본 연구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한 전통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세계문화로의 적응력, 경쟁력 강화의 측면에서 전통 도자문양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도자 문양은 종류별로 문화적 배경과 상징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시대별 시문기법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4, 5학년 학생들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특기적성 미술부의 4,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활동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4, 5학년의 학생들은 감상능력이 발달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시기이며 표현능력이 시지각과 인지능력을 따르지 못함으로 표현 활동에 쉽게 좌절을 느끼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도자와 문양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도자문양과 시문기법을 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한 후, 전통도자문양의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선수학습에서의 경험과 연관지어 평가함으로써 이를 내면화하는데, 작품제작의 과정에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전통도자문양의 시문기법을 응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미술활동의 수업은 전통도자문양의 감상과 더불어 물고기와 파도문양을 조화기법을 응용해서 나타낸 긁어서 그리기, 인화문토기와 인화문분청사기의 단위문양과 인화기법을 응용한 도장으로 꾸미기, 꽃 문양과 다른 한 가지 이상의 문양을 통합하여 상감기법을 응용한 상감으로 나타내기의 3가지 주제로 진행한다. 또한 전통도자문양을 응용한 미술활동의 전 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전통도자문양에 관한 인식의 변화와 미술활동의 결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지도한 결과, 도자기를 막연하게 그릇이나 장식품으로만 생각했던 학생들이 우리 나라 전통도자기와 문양의 제작배경, 종류, 기능, 역사, 정신성, 미의식 등에 관심을 갖고 우리의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느끼며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었으며, 전통도자문양의 시문기법을 응용하여 전통도자문양을 직접 재구성하고 표현해 봄으로써 전통 도자에 내재되어있는 우리 민족의 독창적인 조형관을 친근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표현영역을 넓히는 동시에 미술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전통문양의 단순한 모방과 사실적 표현보다는 느낌과 생각을 자유롭게 접목시켜 재구성하여 학생들의 미적 감수성의 신장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앞으로도 학생들이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되고, 전통문화를 더욱 계승 발전시키는데 이바지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 Recently, the fine arts education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art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his tendency results from a crisis of ego-identity and cultur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a global village, and implies lack of recogni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It seems that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by the fine arts education is effective in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es and developing originally. However, the actual condition is that the systematic fine arts curriculum integrating appreciation, understanding, expression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a traditional ceramic culture focused on patterns and engrave methods, to understand creative and traditional formative tendencies more easily by application to the fine arts education, to develop originality and art sensibility, and to help respect, inherit, and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cent current of the fine arts education focused on the 7th curriculum as well as DBAE (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 strengthening art theoretical part and practical production activities together. And, with respect to reinforcement of adaptability and competitiveness to the global cultures as well as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the traditional culture, the need of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 education was examined.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cultural background and symbolization of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 by types and studies engrave methods by periods. And examined specific proterty of 4,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n, the researcher organized a fine art education curriculum for . 4, 5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growing appreciation ability and solid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culture. But they are easily setback to expression. Because their expression ability can t be over take thei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understood the traditional ceramic and patterns, made a works of arts by applying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s and engrave methods, interpreted their arts sensibility, and evaluated and appreciated them in relation to experiences from understanding arts and making works. Especially, application of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allowed students to widen their expression capability and to enhance interest in fine art activities during the making works of arts The fine art education curriculum was composed of 4 subjects; appreciation of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s; scratch painting of fish and wave patterns by application of Jo-Wha method; decoration by seal based on application of unit patterns and In-Wha method; and Sang-Gam on a rubber plate applying 2 or more patterns and Sang-Gam method. Before and after performing fine arts, a questionnaire was performed to students to survey change in recognition of the traditional ceramic and patterns as well as results of fine arts. As a result of instructing students by the above proc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been considered ceramics simply as the dishes or decorations, then they are concerned about motive background, types, functions, art history, spirit, and art sensibility of the traditional ceramics and patterns, and respect the traditional culture. Second, they made a work by the traditional ceramic patterns and engrave method and could understand traditional formative tendencies of the traditional ceramics more easily with a familiar and new viewpoint. Third, application of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allowed students to widen their expression capability and to enhance interest in fine art activities. Fourth, this research could lead enhancement of their art sensibility by connecting their feelings and thinking instead of simple imitation and real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this process, the research expects that students will have pride on the traditional fine art culture and contribute to in-depth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iv 그림목차 = iv 논문개요 = ix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전통도자문양 교육의 이론적 배경 A. 전통도자문양 교육의 배경 = 4 B. 전통도자문양의 주제별 종류 = 11 C. 전통도자문양 시문기법의 시대별 특징 = 23 III. 4, 5학년 아동의 미술활동의 특성 A. 감상과 이해능력 = 44 B. 표현능력 = 46 IV. 전통도자문양을 응용한 미술활동의 실제 A. 기본적인 접근방안 = 48 B. 전통도자문양을 응용한 미술활동 지도안 = 54 V. 결론 = 79 참고문헌 = 82 부록 = 85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63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전통 도자 문양을 응용한 미술활동 연구 : 4, 5학년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