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지연-
dc.creator류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5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5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5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미술교육에 있어서 자국의 미의식 함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미의식 형성이라는 교육적 과제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의 세계 미술 교육의 주요 흐름인 다문화 교육, DBAE등과 맞물려 전통 미술 교육 의 그 교육적 중요성 및 필요성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도 우리 전통 미술과 문화의 소개가 이전에 비하여 대폭 늘어나고 강조되었으며, 이는 더 나아가 전통의 맥을 이어서 현대까지 계승·발전된 한국인의 보편적 미의식과 한국 예술미의 특성들이 어우러진 총체적인 한국미 미술교육으로서 체계화되어져야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1. 한국 미의식의 이론적 고찰 및 미술교육의 미학적 접목과 모색 2. 미술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국미 분석과 비평적 감상방법 고찰 3. 고등 학생들의 한국미의식 이해도 진단 4. 한국미의식 고취를 위한 미술교육 적용 방안 연구 5. 한국미 감상 교육 후 미의식 이해도 변화 분석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여자고등학교 2학년, 7학급 총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미의식 이해도 진단과 변화 분석을 위하여 사전·사후 설문 각 14, 9문항을 대상 전원에게 실시하였고, 연구의 본시 학습인 1·2차시 수업을 총 14차례 실시하였다. 한국미의 보편적 특질에 대한 여러 시각 중, 그 근원을 자연에서 비롯된 한국적 자연주의로 바라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여러 시대의 다양한 문화적 발전과 완성을 거쳐 조선시대에 와서는 소박한 기교와 단순한 형태를 나타내게 되었고, 이러한 가운데에서도 은근한 멋 을 지녔으니 과연 우리 한국미의 아름다움은 자긍심을 갖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또한 한국미는 현대까지 면면히 흘러 내려온 우리의 미의식이며, 여기에서 한국미의 미학적 접목과 모색을 통한 미술 교육에 있어 한국미 교육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자의식이 형성되는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단기간의 통합 감상 활동을 통하여 한국미 인식의 계기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설문과 실제 수업연구를 통하여 "한국 미의식 고취를 위한 미술교육 적용 방안" 제시하였다. 「감상 - 탐방 - 발표·토론」의 한국미의 이해 감상 교육 안은 펠트만의 비평형식, 이성도의 비평과정, 앤더슨의 <상호작용적 비평을 위한 발문>의 형식을 적용하여 한국미 라는 주제를 염두에 두고 「한국 전통미의 이해, 한국 현대 미술 속의 한국미의 발견, 미술관(박물관)을 찾아서, 한국미에 대하여」의 총 4가지 제재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미의식 및 그 계승과 발전을 이해하고, 애호하는 태도를 가지게 된다는 목표를 가지고 1·2차시 실제 수업 연구를 거쳐 세부 본시 학습-학습지도안의 지도과정과 발문표를 작성하였고 3·4 차시는 심화학습으로 제시하였다. 한국미 감상 교육 후 한국미의식 이해도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사전 설문과 동일 문항의 긍정적 결과로 보아서 우리 청소년이 전통 문화에 대하여 가져야 할 기본적 소양을 갖춘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미의 이해 수업의 이해도와 흥미도 분석을 통하여 한국미의식 및 그 계승과 발전을 대체로 이해하였음을 알 수 있으나, 재학습의 필요와 근대 미술이 서구 문화 유입 속에서도 독창성과 민족성을 유지함으로써 이루어낸 한국성을 전달하는 심화과정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학교 미술 교육에 있어서의 한국미의식 고취의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 필요하며, 그 실제 적용 방안의 논의가 신중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여러 대상을 통하여 보다 보편적 준거가 되는 한국 미의식 고취를 위한 미술 교육 방안이 연구되기를 기대해본다. ;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building of a national sense of beauty and to inquire into the concrete methods in educational problems of the building of Korean aesthetic sense. These days, the importance and needs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are rais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the main trends in world art education. Also Korean art education emphasizes traditional art and culture in the current 7th educational curriculum more than before. These trends should be well organized to balance the general aesthetics and current existing concept of Korean beauty as the total, real Korean beau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 1. Inquiry of studies of Korean aesthetic sense and aesthetic approach of education 2. Inquiry of the analysis of Korean aesthetic sense and methods of critical appreciation 3. Examination of the Korean aesthetic sense of high school students 4. Study of methods in art education for building of Korean aesthetic sense 5. Analysis of the change of comprehension of the Korean aesthetic sense after the education of Korean arts appreciation This study took place in a girl s H. S. in Seoul, where I taught 246 students in 7 classes. Before the classes began, I gave them a questionnaire of 14 items. At the end of the class series, I gave the nine questions to answe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 total of 14 items, twice with each class. One opinion to analyze traits of general Korean beauty is nationalism that finds the origins of Korean beauty from nature. In the Choseon dynasty, Korean beauty acquired a plain, simple form, having passed through more elaborate styles from previous dynasties. Korean feel very proud of Korean beauty that is real. Korean beauty is an aesthetic sense that has come from our origins so far. an art educational meaning must found from the right approach to Korean beauty. I thought teenagers who are forming their self-consciousness need to find and learn the real Korean beauty through an appreciation of it so I taught lessons designed to develop their aesthetic sense. I taught them in 3 steps: appreciation - visiting - discussion , which is applied with critical methods and processes of Dr. Feldman and a study of mutual criticism of Dr. Anderson to help the students appreciate Korean beauty. Also I set 4 sub-subjects that are the comprehens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 Finding of Korean Beauty in Korean modern Arts , Visiting art museums , and About Korean beauty for the main topic Korean Beauty . I thought students could not only build Korean aesthetic sense and comprehend the origins and developments of Korean Beauty, but also develop as appreciation of Korean beauty. So I made a teaching plan and questionnaires after the two classes, and carried out the survey during the third and forth classes. When I analyzed the changes of comprehension of Korean aest hetic sense after education. I discovered that students had gained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analyzing their comprehension of and interest in Korean beauty, I realized that students need to develop their aesthetic sense with future assignments and review. Students also need more education about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Korean beauty, given the influx of modern western arts. I think various studies for building Korean aesthetic sense and for finding authentic methods should be pursued. I hope that future studies on a larger scale will be able to expand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2 3.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4.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1. 한국 미의식의 이론적 고찰 = 5 1) 한국 예술미에 관한 여러 견해 = 5 2. 미술 교육에 있어서 한국미의 미학적 접목과 모색 = 14 1) 미학을 통한 미술 교육 = 14 2) 미술과 문화 교육 = 15 3) 미술 교육에 있어 한국미 교육 = 17 3. 미술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국미 분석 = 22 1) 미술 교육 과정 속의 한국미 = 22 2) 현행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미 = 25 (1) <미술> 교과서 = 32 (2) <미술과 생활> 교과서 = 36 4. 미술 감상 교육과 비평적 감상 방법 = 36 1) 미술 감상 교육 = 36 (1) 미술 감상 교육의 재인식 = 36 (2) 미술 감상 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 38 2) 비평적 감상 방법 = 40 (1) 펠트만의 미술 비평적 4단계 = 42 (2) 상호작용적 비평을 위한 발문 = 46 III. 한국 미의식 고취를 위한 미술교육 방안 = 52 1. 연구 목적과 대상 = 52 1) 연구 목적 = 52 2) 연구 방법 = 53 3) 연구 대상 = 53 2. 고등학생들의 한국 미의식 이해도 진단 = 54 1) 설문 자료 분석 = 54 2) 결과 = 63 3. 한국 미의식 고취를 위한 미술교육 적용 방안 = 66 1) 「감상-탐방-발표·토론」의 한국미의 이해 감상 교육 = 66 2) 한국미의 이해 감상 교육의 교수-학습안 = 69 (1) 한국 전통미의 이해 = 72 (2) 한국 현대 미술 속의 한국미의 발견 = 83 (3) 미술관(박물관)을 찾아서 = 98 (4) 한국미에 대하여 = 100 4. 한국미 감상교육 후 학생들의 미의식 이해도 변화 = 102 1) 설문 자료 분석 = 102 2) 결과 = 108 VI. 결론 = 111 참고 문헌 = 115 부록 = 120 영문 초록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39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 미의식 고취를 위한 미술교육 방안 연구 : 고등학교 미술 감상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