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4 Download: 0

어휘 주석의 종류가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휘 주석의 종류가 한국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신호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교육 과정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가르쳐지고 있는 것이 읽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읽기 능력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로 어휘력이므로 효과적인 어휘 학습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어휘 교수 방법 중 어휘의 형태와 의미 연결에 초점을 맞추어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전통적인 직접적 어휘 교수 방법이 단기적으로는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것은 실제적 언어 사용과 거리가 있으며 단편적인 지식의 획득에 불과하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그리하여 궁극적인 언어 사용과 유사한 상황에서의 어휘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의미 있고 의사 소통적인 문맥 속에서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 방법 중 하나로, 내용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글을 읽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어휘 학습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을 가리켜 우연적 어휘 학습이라고 하는데, 이때 독해 지문에 어휘 주석을 제공하는 방법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들이 나와있다. 이러한 주석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주로 대학생들이나 성인들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고 국내 영어 학습자들 대상으로는 많지 않은 실정이어서 국내 학습자, 특히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국어 주석의 효과 뿐 아니라 목표어 주석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모국어 주석이 목표어 주석보다 단어의 형태와 의미간에 더 명확한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겠으나 목표어로 된 의미를 해석하여 단어의 뜻을 알아 가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더 많은 양의 단어 처리 과정의 시간을 가지게 되므로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회를 높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휘의 의미를 설명하는 부분의 언어가 각기 다른 어휘 주석 제공의 방법이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우연적 어휘 학습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2학년 258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주석 집단, 영어 주석 집단, 주석이 없는 집단으로 나누어 설명문 한 개와 이야기 글 한 개로 이루어진 독해 지문을 읽고 내용 이해 문제를 풀게 한 뒤 바로 독해 지문을 수거한 후, 학생들이 예상하지 못한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일주일 후 동일한 어휘 평가를 다시 실시하여 기억 효과를 살펴보고 문맥 내 어휘 평가를 실시하여 문맥이 기억 회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또한 주석 활용도와 향후 주석 활용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 조사도 함께 실시하였으며 주석 활용 과정, 글의 유형과 주석에 대한 태도를 심도 있게 알아보기 위하여 12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사고 구술 기법(think-aloud)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석을 제공받은 집단이 우연적 어휘 학습량이나 그 기억 효과, 그리고 문맥이 주어졌을 때의 기억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고 그 중에서도 한국어 주석 집단이 영어 주석 집단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한국어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설문 조사를 통하여 두 주석 집단의 주석 활용도 및 주석에 대한 태도를 비교한 결과, 한국어 주석 집단이 본 실험의 주석 활용도 측면에서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두 집단 모두 향후 한국어, 영어 주석 활용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영어 주석 집단이 향후 영어 주석 활용에 대해 유의한 차이로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본 실험에서의 영어 주석 활용 경험이 영어 주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사고 구술 기법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영어 주석 이해 과정을 살펴본 결과 대체적으로 영어 주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려고 노력하고 있었고 그 의미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어휘 평가의 정답률이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보아 역시 우연적 어휘 학습량은 많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영어 주석을 이해했다고 해서 어휘 평가 시 정확한 답을 쓰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심층 면담을 이용하여 글의 유형에 따른 난이도와 주석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설명문의 단어가 좀 더 익숙해서 내용을 이해하기가 더 쉬웠고 두 글을 이해하는 데 모두 주석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앞으로 영어로 어휘의 의미를 학습하는 것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고 이를 위해 교과서에 영어 주석이 제시되거나 교사가 직접 제시해 주는 방법을 원하고 있었으며 이 때에도 영어 해석만이 아닌, 한글 뜻도 함께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석의 제공은 독해 과정 뿐 아니라 어휘 학습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영어 주석보다 한국어 주석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는 읽기 지문에 주석을 제시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영어 주석을 활용해 본 학생들이나 상위 학습자들이 영어 주석 활용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어휘의 성격과 학습자 수준에 따라 적절한 영어 주석의 사용도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and teaching are important because Korean high school English classes focus on reading and vocabulary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reading. Although traditional direct vocabulary teaching focusing on form and meaning of words seem to have an immediate effect, it lacks authentic vocabulary use and results in only fragmentary knowledge.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learning in authentic situation has lead to studies that understanding meaning of vocabulary in meaningful and communicative context is effective. Unintended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can occur naturally through reading, and many studies showed that providing marginal glosses was very effective way for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rginal glosses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e subjects us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two hundred fifty eight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Korean gloss group, English gloss group, and no gloss group. These three groups read two passages; an expository text and a narrative text. They answered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with the given texts, and then they submitted the texts. Next they had the first unexpected vocabulary test. A week later, the second unexpected vocabulary test which was the equivalent of the first was administered in order to examine the retention of the acquired vocabulary. Right after the second test, the vocabulary test in context was giv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ext on recall.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hich asked the usefulness of the glosses and the attitude to hereafter use of glosses was completed. The process in which twelve learners used the glosses was investigated through think-aloud protocols and they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opinions toward the passages and glosses through retrospection protoc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the glosses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nd the retention. Also the glos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call when context was given. Moreover, the Korean glosses had a more powerful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than the English glosses. Seco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 Korean gloss group had more advantages from glosses than the English gloss group did. But both group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s hereafter use of both Korean and English glosses. The fact that the English glos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attitude to the use of English glosses indicates that the experience of using English glo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attitude. Third, the process of using English glosses were observed through think-aloud protocols. The learners generally made good use of English glosses and understood the meaning correctly. However the small quantity of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was confirmed by the low score on the vocabulary test. It means that giving right answers on the vocabulary test was not easy even though the subjects understood the English glosses when reading. Fourth, the interview concluded that the expository text in this study was easier to understand than the narrative because of the familiarity of the words and that the glosses were very helpful to understand both the texts. The learners have a positive attitude to study vocabulary meaning through English, and want textbooks to have English glosses and teachers to teach them words with English meaning. They prefer English meaning with Korean meaning to English meaning only.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rginal glosses are effective not only on reading comprehension but also on vocabulary learning. This suggests that reading passages should have marginal glosses. Moreover, appropriate English glosses should be provided based on features of words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s, considered the fact that the English gloss group and the upper level learners have a positive attitude to the use of English glo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