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신애-
dc.creator박신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4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4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52-
dc.description.abstract교육에 있어서 목적의 성취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최근에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 과정에 의한 평가는 다양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수행 평가 실시가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수행 평가가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학교 수준의 구체적이고 상세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개발되어 있을 때, 그 기준을 토대로 하면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계속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8학년 과학의 전기 단원을 선정하여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의 개발에 앞서 선정된 단원에 대한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제7차 중학교 과학과 교육 과정에 제시된 내용과 개정된 6종의 8학년 과학 교과서의 분석을 통하여 전기 단원에서 23개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한 후에는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학교 수준의 구체화된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은 지식(K), 탐구(P), 태도(A)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이 단원에서 지식 영역(K) 22개, 탐구 영역(P) 22개, 태도 영역(A) 2개로 총 46개를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을 개발한 후에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실질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학교 수준의 상세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는데, 전기 단원에서 42개를 개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준거만 설정되어 있다면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타당성있는 수행 평가 도구를 다양하게 개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준거들은 더 많은 평가 도구를 계속적으로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In this study,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have been developed to mak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It deals with the area of The properties of substances in Middle School Science 2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first pl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he six kinds of science textbooks of middle school 2nd grade were carefully analyzed. Then the 23-requisite-learning elements in the units of The properties of substances were extracted from them. 2. The 46 「achievement standards」 that the students should fulfil were developed. The fore-mentioned 「achievement standard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knowledge, procedure and attitude. These can be used as the actual guidelin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 classroom. 3. The 42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decide the level of students achievement. Each standard has three levels; satisfactory, unsatisfactory and unacceptable. 4.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mad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Various types of instruments such as descriptive types, essay types and portfolios were used. The so-developed instruments are 3 descriptive types, 1 essay type and 1 portfoli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ed on the so-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and 「assessment standards」, science teachers can easily make various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that contribute to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activ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3 II. 이론적 배경 = 4 1. 제7차 교육 과정 = 4 2. 준거 지향 평가와 규준 지향 평가 = 10 3.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 12 4. 과학 수행 평가 = 18 III. 연구 절차 및 방법 = 25 1. 필수 학습 요소 추출 = 26 2. 성취 기준 개발 = 26 3. 평가 기준 개발 = 29 4. 수행 평가 도구 개발 = 32 IV. 연구 결과 및 고찰 = 36 1. 전기 단원에 대한 연구 결과 = 36 2. 연구 결과의 종합 = 67 V. 결론 및 활용 방안 = 69 1. 결론 = 69 2. 활용 방안 = 70 참고문헌 = 72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04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8학년 과학의 <전기> 단원에 대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