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소정-
dc.creator진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0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0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장애아동의 음악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사와 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느 정도이며 치료효과에 대한 목적의식과 앞으로 음악치료에 대해 가지는 기대, 음악치료사 자질에 대한 평가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음악치료사 58명, 학부모 74명을 대상으로 2002년 2월부터 4월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t-test), 교차분석(Chi-square Analysis)을 활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5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인지도에 대해 음악치료사와 학부모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에서는 음악치료사와 학부모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은 거의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단, 치료의 전문분야에 대한 것과 음악치료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음악치료사와 학부모들의 인식에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음악치료 이해도에 대해 음악치료사와 학부모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에서는 음악치료에 대한 필요도, 즐거움을 준다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는 치료사가 학부모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을 하고 있었다. 반면에 오락을 제공한다, 특정질병을 낫게 해준다에 대해서는 학부모가 치료사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을 하고 있었다. 셋째, 음악치료 기대도에 대해 음악치료사와 학부모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에서는 음악치료 현장에서 느낀 아쉬운 점으로 치료사는 기관장 및 관련자들의 이해부족과 학부모는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가 아쉬운점으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음악치료 목적의식에 대해 음악치료사와 학부모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에서는 치료사는 사회성과 자신감 향상을 주요 이유로 들었으나 학부모의 경우 기분전환과 집중력, 자기표현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에 긍정적으로 인식을 하였다. 다섯째, 음악치료사 자질에 대한 음악치료사와 학부모의 평가에는 차이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에서는 치료사는 대상아동을 한사람의 고귀한 인간으로 이해하고 존중한다, 관계형성을 확립한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아동들과 현실성 위에 관계를 유지한다, 아동의 신상의 비밀을 이용하지 않는다, 아동들의 질문을 정리하여 생각해본다, 아동들에게 자신의 철학과 주장을 고집하지 않는다, 아동의 필요에 대해 늘 민감하게 대처한다, 아동들에게 지나치게 희생적으로 대하지 않는다가 학부모보다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으며 학부모는 아동의 장점과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다에 더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음악치료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음악기구 및 평가도구와 프로그램의 부족, 너무 많은 아동들을 맡아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음악치료가 아직 우리나라에서 생소한 분야이며 확고한 지원체계가 부족한 것이 이유이다. 따라서 일반인들의 적극적인 홍보와 더불어 음악치료의 빠른 정착을 위해 전문 음악치료사들의 양성으로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음악치료에서 음악치료를 담당하는 음악치료사들의 태도와 교육적 환경요인으로서 음악치료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에 대해 다시한번 재확인해봄으로서 아직까지 학부모들이 음악치료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이해가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음악치료에 대해 좀더 많은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앞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음악치료 교육을 더욱더 활성화하고 효과적인 교육을 이루기 위한 사회 정책적 지원을 마련할수 있는 자료가 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eachers of music therapy and students parents recognize the music therapy for the handicapped who have growing impediment, researched objective consciousness concerning treatment effects, considered anticipations toward this music therapy in the future, and finally evaluated the real effects of this music therap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study subjects were 58 music therapists and 74 parent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February, 2002 to April the 10th, 200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0.0 program; the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research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Generally, students parents affirmatively recognized the music therapy. But the only exceptional thing was that music therapists and parents differently perceived professional areas and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With respect to objective consciousness of music therapy, the therapists emphasized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elf-confidence. But in case of parents, they asserted that the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refreshment, concentration, and self-express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n this research. It is not a long time since the music therapy began to be conducted in Korea, therefore, this time is very important to start and successfully develop this area continually. In order that the music therapy may be established and developed as one important area of clinical medicine, above all, this area of music therapy should not only be understood correctly but also should many professional therapists be educated. Firstly, the music therapy need be understood more correctly and more professional therapists should be trained in the future. Secondl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ffective curriculums that train professional therapists are required. In other words, only when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educate students actively, and students take right educations, development in both academic side and clinical side can be accomplished. Also, the music therapy association as well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handicapped who have growing impedi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systematic way in the national dimension. Thirdly, various programs of music therapy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hat the handicapped who have growing impediment may develop socially personal perceptive ability, presentational ability for communication, and socially cognitive ability. Fourthly, too much commercialization or too much expectation from this music therapy should be sublated. Because many people easily believe that music can remedy all diseases. The assertion that music a certain music piece can offer a musical treatment is quite subjective and unreasonable. Accordingly, medical professionals in this area of music therapy and other clinicians(therapists) of different medical areas need interact so that better treatment effects may be obtained in this area. The following proposals are made toward parents. Firstly, more information about children s development should be offered. Most parents meddle with their children s education, because their expectation level is much higher than the real development level of their children. If considering characteristic features shown by the handicapped who have growing impediment, and making an account of them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ment process, both parents and children will not have such conflicting problems as are caused by parents too high expectations. Secondly, more information about theories of music therapy need be provided. Many professionals give various advices concerning children s problematic actions. Nevertheless, when the advices given by other people are not identical with one another, their parents will experience confusion. In accordance,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m of various theories as well as interpretations in the area of music therapy. Thirdly, the experience of music therapy enables the third persons to affirmatively understand the music therapy and to correctly assess it.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for parents to approach the sessions of music therapy in the administrative way, and adequate methods should be proposed in the near future. Conclusivel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benefit of musical therapists and parents, therefore, any professionals who apply this music therapy for disease-treatment will conduct more studies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음악치료의 정의 = 6 B. 음악치료의 효과 = 8 C. 발달장애 = 9 D.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 13 1. 음악치료사 인식 = 14 2. 학부모 인식 = 15 3. 외국의 음악치료 = 22 III. 연구방법 = 29 A. 연구문제 = 29 B.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 = 29 C. 자료의 분석방법 = 30 IV. 연구결과 = 31 A. 연구대상 = 31 B. 음악치료사의 음악교육실태 = 33 1. 음악치료실태 = 33 2. 음악치료에 대한 인지도 = 39 3.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도 = 44 4. 음악치료에 대한 기대도 = 52 5. 음악치료의 목적 = 58 6. 음악치료사 자질에 대한 평가 = 59 V. 결론 및 논의 = 6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67 참고문헌 = 68 설문지 = 73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35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장애아동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도 연구 : 음악치료사와 학부모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