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기대 분석

Title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기대 분석
Authors
박정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의 전공 실기수업에서 무용교사의 실제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평가)과 기대(희망)를 살펴보고, 학생의 인식과 기대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학생들의 성별 및 전공에 따른 인식과 기대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2년도 현재 서울·경기·충남·강원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예술고등학교의 무용전공 학생으로 임의 표집을 이용하여 총 478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Smith와 Smoll, Curits(1978)가 개발한 코칭행동평가체계 설문지를 이병준(2001)의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선호도 연구에서 번안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무용교사 행동의 특성에 맞게 수정한 문안으로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가능성의 검토와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후 이를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설문지로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LSD 사후비교 분석 이었다.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했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이 인식·기대하는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은 긍정적 교수행동과 부정적 교수행동 유형으로 대별하여 나타난다. 무용교사는 자신의 교수행동 패턴을 강화, 격려, 실수 후의 기술지도, 설명 등과 같은 긍정적인 교수행동을 의도적으로 보여야 하고 수업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조성하는 노력을 통해 학생의 교사와 교수행동에 대한 인식과 기대가 긍정적으로 변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무용교사의 교수행동 중에서 설명과 지도 , 조직 , 통제 행동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였으며, 실수에 대한 독려 행동에 대하여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다. 반면 학생들은 실수후의 기술지도 , 설명과 지도 , 신체교정 행동에 대하여 높게 기대하였으며, 비강화 행동에 대하여 가장 낮게 기대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실기 기술향상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교사가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에 맞춰 줄 것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성별에 따른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는 비강화 , 실수에 대한 독려 , 실수무시 행동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격려 , 일반적인 의사소통 행동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반면 기대에서는 강화 , 실수에 대한 독려 , 설명과 지도 , 격려 행동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기대를 보였으며, 비강화 행동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기대를 보였다. 결국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긍정적 교수행동을 많이 받기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전공에 따른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기대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무용이 발레나 현대무용에 비하여 인식과 기대가 낮은 편이었다. 전공에 따른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인식에서는 현대무용, 발레, 한국무용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기대에서는 현대무용이 가장 높았으며 발레와 한국무용은 비슷한 수준에서 기대가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긍정적 행동에서는 기대가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 교수행동에서는 기대가 인식보다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무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행동에 대한 인식과 기대에 일치도를 높여야 하고, 일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정적 교수행동을 줄이고 긍정적인 교수행동을 늘려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tudents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the dancing teacher s teaching behavior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differences were also categorized according to sex and major. Data was collected from randomly sampled 478 students who major in dance at art high school in Seoul, Incheon, Daejun and Gangneung, Korea. Among them, 447 students were adopted for complete study. There were 407 female and 40 male students from which three categories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major (234 Korean dance students; 125 ballet students; 88 modern dance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study. The CBAS (Coaching Behaviour Assessment System) questionnaire, originally designed by Smith and Smoll, Curits (1978) was adapted by Lee B. J. in Student 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s Teaching Behavior (2001), and modified to dance teachers characteristics. The modified questionnaire was tested for suitability and application capability, and verification of appropriateness and reliance was conducted before it was modified again to fit this study s purpose. The SPSS 10.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 analysis, and significance was considered at p-value<0.05. The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information were frequency analysis, variation between average and standard, t-test, one way ANOVA, and LSD. Through the aforementioned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this study has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dancing teacher s teaching behaviour perceived and expected by the students fall into two categories; positive teaching behaviour and negative teaching behaviour. Second, students highly perceived explanation and guidance , organization , management while recognizing urge against mistakes poorly among the teaching behaviors. Students showed high anticipation for teaching behaviors like skill guidance , explanation and guidance , physical correction while showing low expectation for non-reinforcement behavior. Third, it seems that male students perceive positive teaching behaviour (urge against mistakes, encouragement) more than female and do not want to receive negative teaching behaviour (non-reinforcement) compared to female students. On the contrary, female students seem to have higher perception of negative teaching behaviour (non-reinforcement, ignorance of mistake) and expect to receive more positive teaching behaviour (urge against mistakes, encouragement, explanation and guidance, encouragement) than male students. Fourth, perception of teaching behavior according to major showed in the order of modern dance, ballet, korean dance with modern dance as the lowest level. On the contrary, anticipation of teaching behavior according to major showed modern dance as the highest while ballet and korean dance remained at the same level. Fifth, expectation levels were higher than perception levels for the instructor s positive behaviors while expectation levels were lower than perception levels for the instructor s negative behavior. It can be concluded that students want more positive teaching behaviors while wanting as little negative teaching behavior as pos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