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5 Download: 0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연극 프로젝트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연극 프로젝트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Authors
강정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학습 태도 향상을 위해 실시한 연극 프로젝트의 효과를 통해 학생들의 상호 작용과 학습 태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학습상의 태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 이유는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참여도와 흥미도에 있어서 상·하위 그룹 학습자간의 차이가 심해지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특히, 대부분의 학생들이 게임 형태의 활동에 흥미를 느낌에도 불구하고, 하위 그룹 학습자들의 경우 상위 그룹 학습자들의 주도로 인해 학습 활동에서 소외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초등영어에서 언어적 측면보다는 정의적인 요소들을 더 중요시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학습에서의 좌절감과 흥미의 차이는 해결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연극 활동이 게임 형태의 활동에 비해 언어 학습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고 협동적이며, 영어 학습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하였다. 연극 프로젝트의 긍정적인 측면을 전제하에 3막으로 구성된 연극을 각각 학생 17명으로 구성된 두 그룹에게 공연하도록 하였다. 이 학생들은 12주 동안 연극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시기는 초반, 중반, 후반으로 나누었다. 학생들은 영어 학습을 위해 40분 수업을 일주일에 두 번 하였다. 수업은 두 가지 형태로 번갈아 이루어졌는데, 한 시간은 교사의 지도를 통해, 다른 한 시간은 또래 친구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율적으로 연습하였다. 두 번째 수업은 학생들의 상호 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기별로 30~35분 정도 수업을 녹화하였다. 각 차시별 수업 후에는 참여도, 흥미도 및 학습 노력과 같은 태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자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상·하위 그룹 학습자를 각각 4명 선정하여 학생들의 상호 작용과 학습 태도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학생들은 자가 평가이외에 일기를 작성하였으며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사전·사후 설문조사는 연극 프로젝트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자료는 질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 프로젝트는 학생들간 협동적인 상호 작용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이 자신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또래 학생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신이 맡은 역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참여도가 향상되었으며, 상·하위 그룹 학습자간 차이가 상호 작용을 통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맡은 역할에 대한 책임감이 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비판적인 판단이 자신에게 직접 향하는 것이 아니라 역할에 대한 것임을 경험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에서 다른 학생들의 부정적인 반응에 민감하게 느끼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연극 활동을 통하여 다른 사람이 되어보는 것에 흥미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이입에 대한 능력 향상은 학생들의 동기를 높이는 것으로 보였다. 자신이 맡은 인물은 말하기에 대한 장애를 없애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극 프로젝트에 대한 흥미는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로 이어졌다고 생각된다. 넷째, 연극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좀더 자연스럽게 말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실제와 같은 가상의 상황에서 동작과 감정을 이용하여 서로 연습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말할 때 상황과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극 활동은 학생들의 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한 협동심과 책임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 각자는 맡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책임감을 느끼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울러 공동의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 서로의 차이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서로에게 귀를 기울이면서 협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활발한 상호 작용을 통해 학생들의 협동심, 책임감, 자신감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이 발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연극 프로젝트는 상호 작용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발달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살펴보았다. 연극 프로젝트는 유의미한 상황에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교실 상황에 맞는 연극 활동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상호 작용 및 요구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극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중·고등학교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 조사 방법으로 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이 갖는 발달상의 특성이 다르며 초등영어 교육이 앞으로의 교육의 초석이 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학생들이 영어 학습에 흥미를 느끼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한국 영어 수업에서의 EFL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이번 연극 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가 앞으로 좀더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들로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interaction and learning attitudes through the effects of a drama project which was initially set ou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ttitude development. As students get into the higher school year, the gap between high-leveled students and low-leveled students gets more seriou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English classes. Especially, though most of students are interested in game-type activities, the low-leveled students are observed to be alienated by dominance of the high-leveled students in classes. Considering that psycholinguistic factors are more important than linguistic ones at an elementary school level, the frustration and lagging interest have to be solved. This study starts with the hypothesis that dramatic activities are more effective and cooperative than game-type activities in language learning, and that a drama project plays an active role to solve the problems. Encouraged by the positive hypothesis of a drama project, a three-act play was produced with two groups of 17 students.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drama project for 12 weeks. The drama project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ormer, the middle, the latter. They had a 40-minute English class twice a week. Each group was given two phases of class. They practiced with a teacher in one class and just with peer group members in the other class in turns. The second phase of class was video-taped for about 30~35 minutes at each perio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hanges of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fter each class, self-assessment was administered to study the changes of students learning attitudes; participation, interest, and learning efforts. In addition, four high-leveled students and low-leveled students were selected to closely study the change of students learning attitudes and interactions. These students kept diaries and had interviews along with self-assessment. Also network between them was analyzed to closely study their interaction in class. The pre-survey and post-survey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rama project. Multiple methods (video-taping, self-assessments, diaries, interviews, pre and post surveys) were employed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And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rama project enhanced cooperative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helped them accomplish their roles successfully. Students were observed to solve their problems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 students. Second,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was enhanced and the gap between the high-leveled students and the low-leveled students was lowered through interactions. The responsibility of their roles enhanced students participation. They experienced critical judgment of what the participants said was perceived by them as being directed toward the characters not toward the students personally. This lowered the low-leveled students sensitivity to rejection in class. Third,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becoming another person through the drama activities. Increased capacity for empathy appeared to heighten their motivation. They lost their normal inhibitions about speaking through the characters. Their interest in the drama project was extended to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s well. Fourth, the drama project helped the students speak more naturally through their efforts to play their roles properly. They practiced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using gestures and emotions in simulated situations just like real life. This increased the students capacity for understanding situations and other people in speaking. Lastly, drama activities developed the affective aspects like cooperation, responsibility to accomplish the project. Each student took responsibility for his/her own role. Students had to cooperate to achieve their common aims, find ways of settling their differences, and listen to each other. These affective factors appeared to influence their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As the above, the drama project is an effective means of developing language learning attitudes through interaction. It can help students learn to use the language in meaningful situations. Consequently teachers have to study students learning attitudes and needs carefully and try to develop the methods for dramatic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 class situa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qualitative study will lead to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drama activities to motivate students to feel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FL situation in present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room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