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대화식 일지 쓰기가 중학생들의 영어 쓰기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화식 일지 쓰기가 중학생들의 영어 쓰기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안수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영어로 유창한 의사소통을 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의미는 자신의 의견을 말과 글로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대방의 말 또는 글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간의 영어 대화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교사는 학생들에게 영어를 구사하는 하나의 훌륭한 모델이 되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단지 영어를 구사하는 수준이 매우 낮은 학생들끼리의 대화 연습만으로는 학생들이 자신의 의사소통능력을 스스로 발전시켜가기에 다소 불충분하다. 학생들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보다 더 높은 영어 구사 능력을 갖춘 교사와의 대화는 학생들이 자신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켜 가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간의 영어 대화는 학생들에게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기회를 얻게 해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을 발전시켜갈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 영어 교육의 실정은 이러한 교사와 학생과의 대화가 충분히 이루어지기에는 다소 어려운 현실이다. 현재 한 명의 교사는 한 학급당 최소한 30명 이상으로 구성된 학생들을 담당하므로 이 한 명의 교사가 모든 학생들에게 개별적인 영어 대화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일주일에 3~4시간의 영어 수업만으로는 모든 학생들이 수업 시간 내내 충분히 영어로 말하는 연습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대화식 일지 쓰기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 대화식 일지 쓰기를 통해 교사와 다수의 학생들은 정기적으로 개별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학생들은 교사와 충분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Morini(1995)에 따르면 교사와 학생은 교실 환경 안에서 규칙적으로 상호적인 쓰기를 함으로써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를 열 수 있다고 하였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교사와의 상호 쓰기를 통해 의미있는 언어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담화 과정을 경험하고 실제적인 언어의 미묘한 의미 차이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이 현 수준의 언어 능력 이상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협력자가 되어 주며 동시에 각각의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그들이 나아가야 할 어떤 길을 제시하여 주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화식 일지 쓰기는 쓰기 연구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함께 시작되었다. 행동주의 이론이 지배적이었던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쓰기는 결과 중심에 초점이 맞추어 졌다. 즉 글쓰기를 다 끝내고 난 최종 산물로서의 글이 얼마나 적절하며, 문법적으로는 얼마나 오류가 없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인지주의의 영향으로 쓰기 교수의 접근법은 결과에서 과정 중심으로 변하기 시작하였다. 즉 글을 쓰는 사람이 어떻게 글을 쓰며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에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대화식 일지 쓰기는 이러한 과정 중심 쓰기의 흐름 속에서 교사와 학생간에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는 의사소통적인 쓰기의 한 방식이다. 대화식 일지 쓰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대화를 하는 것과 유사하므로 대화식 일지는 글쓰기를 통한 의사소통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준다고 하였다(Staton, Shuy, Peyton, & Reed, 198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화식 일지 쓰기가 쓰기의 한 방식이지만 말하기와 유사한 면을 많이 공유하는 쓰기 형태이므로(Larson & Johnson, 1984), 대화식 일지 쓰기가 영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뿐 아니라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대화식 일지 쓰기처럼 말하기와 유사한 쓰기 형태가 아닌 일반적 작문 활동을 통한 쓰기 연습은 대화식 일지 쓰기와 비교하여 쓰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쓰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이 같은 생산 기능(Larson & Johnson, 1984)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쓰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에는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대화식 일지 쓰기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대화가 중심이 되므로, 이러한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정의적인 측면에서의 영향, 즉 구체적으로 영어에 대한 흥미, 영어 수업 태도, 그리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에 대하여 설문지와 면담 활동을 통해 집단별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서울 지역 중학교 1학년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 학생들은 다시 기존의 수업에 참여하면서 대화식 일지 쓰기를 하는 실험 1 집단(58명)과 일반적 작문 활동을 하는 실험 2집단(61명), 그리고 기본 교과서의 내용에 충실한 통제집단(60명)으로 분리되어 10주간의 지도를 받았다. 실험 이후 결과는 첫째, 영어 쓰기 능력은 총체적 채점 결과와 분석적 채점 결과의 내용과 구성 영역에서 두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주었다. 둘째, 실험 이후 영어 말하기 능력은 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총체적 채점 결과와 분석적 채점의 수행과제 완성도와 유창성 그리고 언어사용의 세 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대화식 일지 쓰기 집단과 일반적 작문 활동 집단 사이에는 쓰기 및 말하기 능력의 향상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쓰기 향상도와 말하기 향상도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이 두 실험집단의 상관계수는 유의미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의 상관계수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이 때 대화식 일지 쓰기 집단과 일반적 작문 활동 집단 사이에는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의 모든 영역의 상관 계수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설문 분석에서 영어 말하기 흥미도, 쓰기 흥미도, 수업 태도 측면에서는 대화식 일지 쓰기 집단이 일반적 작문 활동 집단이나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영어에 대한 자신감의 측면에서 두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두 실험집단은 실험 이후 쓰기 및 말하기 능력을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인 언어 요소들에 대한 설문 분석에서 대화식 일지 쓰기 집단이 일반적 작문 활동 집단에 비해 자가 향상도에 대한 인식은 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대화식 일지 쓰기 집단은 실험 이후 심화 면담 결과 대화식 일지 쓰기에 대해 학습자들은 가장 큰 장점으로 교사와의 친근감, 영어 공부에 있어 개인적인 도움, 쓰고 싶은 내용에 있어서의 자유로움 등을 들었으며 대화식 일지 쓰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대화식 일지 쓰기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쓰기 및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여 대화식 일지 쓰기는 일반적인 작문 활동과 비교하여 볼 때 쓰기 및 말하기 능력 향상도 면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화식 일지 쓰기와 일반적인 작문 활동 모두 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특히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대화식 일지가 영어에 대한 흥미나 수업 태도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대화식 일지는 어렵게만 여겨왔던 언어 활용 단계인 쓰기를 통해 의미 중심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점과 정의적인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으로 보아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대화식 일지 쓰기는 초급의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을 때에도 쓰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대화식 일지 쓰기는 언어 능력이 매우 낮고 쓰기에 경험이 없는 학습자들이라도 자신이 학습한 언어 형태를 스스로 점검하고 사용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며,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평가하게 하여 자신의 언어 능력을 발전시킬 동기 부여를 시켜준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이 같은 표출 기능인 쓰기와 말하기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계기가 되어주었다. 둘째, 쓰기 능력의 향상은 말하기 능력의 향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쓰기와 말하기 기능은 따로 가르쳐졌을 때보다 함께 가르쳐졌을 때 더욱 효과적이다. 대화식 일지 쓰기 뿐 아니라 일반적 작문 활동 모두 쓰기의 형태를 갖고 있지만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대화식 일지처럼 말하기와 매우 유사한 쓰기 방식을 갖지 않더라도 쓰기 능력의 향상은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셋째, 대화식 일지는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개선과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를 위해 효과적이다. 대화식 일지는 교사와 학생의 의미있는 의사소통의 통로가 되는데, 이러한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는 학생에게는 영어에 대한 흥미와 수업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교사에게는 학생들에 대해 더욱 잘 알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서적인 효과는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를 부드럽게 하고, 또 교사와 학생간의 좋은 관계는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시사점을 통해 교실 현장에서의 대화식 일지의 활용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대화식 일지의 활용은 한 사람의 교사가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사 업무의 과중을 가져올 수 있으며, 영어 교과 수업 이외의 시간을 따로 할애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학생들을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대화식 일지를 쓰게 하고 이 집단별 대화식 일지 쓰기에 대해 교사가 응답을 해 주는 개선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수업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 오전 자율학습 시간이나 방과후 숙제로 내주는 방법 역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가 대화식 일지를 활용하여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의 통로를 열고자 하는 마음일 것이다. 왜냐하면 교사의 이러한 의지 없이는 교과 과정에 필수 항목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대화식 일지 쓰기의 현장 도입은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Communication in English is an important purpose of English language acquisition. Being able to communicate in English means expressing one s idea logically in a spoken and written form and understanding the other person s speech and writing. There are two kinds of communication which are oral and written. When the Korean English educational circumstances are considered, however, oral practice needs a lot of time and economical support because there are only one teacher and more than 30 students in one class. Therefore, it s very difficult to expect enough communication for every student. Then the written practice can compensate for the lack of enough communication and be a useful way of developing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There has been a great shift in the writing education since the late 1970s. The process of the writing became much more important than the final writing product. While the writing was evaluated from the elements such as grammar, coherence, and content in the product-oriented writing, the writing was more related to how people write and what kind of process they go through in the process-oriented writing. With such a change in the writing educ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wo people became a hot issue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communicative writing approach started to appear in the 1980s. Dialogue journal writing is a kind of free writing under the communicative writing approach. Dialogue journal writing is defined as a written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Therefore, dialogue journal writing gives students the chance to practice writing. Also, since dialogue journal writing shares many similarities with speech, it is assumed that the writing practice through dialogue journal writing will bring about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peaking ability. Besides, dialogue journal writing is a kind of dialogue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so it is assumed that such a dialogue with a teacher will give students a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aspects. There are four hypothesis for this study.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ak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first experimental group(dialogue journal writing) will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ak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general writing practice). Third, the writing ability s improvement will be related with that of the speaking ability b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he attitude toward English class, and confidence about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Based on the above four hypo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alogue Journal Writing on the writing and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ubjects are the 179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taken speaking and listening-oriented English lessons for four years in elementary school.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did dialogue journal writing practice with a teacher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did a guided to free writing practice appropriate to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The control group didn t do a regular, intensive writing practice. Instead, they took an English lesson of the English textbook which was evenly divided into four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en times for ten weeks. The findings are following.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rit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eak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This result means that both of the writing practice through dialogue journal and general writing practice wer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he speaking ability. Third, the writing ability s improvement was related with that of the speaking ability b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interest in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and attitude towards English cla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fidence for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his result means that dialogue journal or the general writing practice didn t give students a chance to relieve stress when writing or speaking. Therefore, the repeated writing practice, whether there is a teacher s grammatical correction or not, didn t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tudents confidence. This study has three implications in English education. First of all, the use of dialogue journal writing is both effective in improving beginning students speaking and writing ability in a Korean English class. Second,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is deeply related to the that of speaking ability. Therefore, when both of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re taught at the same time, the both skills will be much more improved than taught separately. Lastly, the dialogue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 affective aspects, especially such as the degree of interest in English and attitude toward English class. Although the dialogue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s not spoken in English, more communicate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should happen because it gives both students and a teacher a chance to share feelings and to know better each other and it brings both of them a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under a better atmosphere of the English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