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지화영-
dc.creator지화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7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05-
dc.description.abstractListening comprehension of English has been identified as the first at utmost important language skill. Listening is the only language skill that students have no control over the rate and content of the inputs. Due to these facts, listening has been treated as the least concrete language skill, making students perceive it as difficult for improvements. The improvement of listening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is one of the primary goal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the learning of listening skills has been in the hands of the teachers, and not the students. For students studying a foreign language,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ir own listening comprehension.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themselves to improve their listening skills are important, too. Based on self-assessment, students can identify what their strength and weakness, and develop the self-confidence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ultimately. Many studies have been done on different techniques to improve student s listening abilities and skills. Th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is one of these techniques. Different approaches utiliz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have been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A ten-week long study consisting of two groups, one treatment consisting of 81 subjects and a control with 80 subject was evaluated to assess th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The subjects were then subdivided into one of three skill levels: high, middle or low. All subjects were in their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Self-assessment of listening strategy training was applied for the treatment group while control did not apply self-assessment. Except for the application of self-assessment after listening activities, use of listening strategy training was consistent for both groups. After the ten-week perio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produced a higher mean score than the control. Middle and low listening proficient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istening abilities than did high listening proficient subjects. The result indicated that listening strategy training in conjunction with self-assessment had significant effect on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Second, among the whole treatment group, the Pearson-product correlation showed significance between marks for bottom-up listening strategy with self-assessment in comparison without self-assess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p-down listening strategies and top-down listening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istening strategies are related to the listening abilities of the whole treatment group. Third, Pearson-product correlation showed only a small difference between bottom-up listening strategies and activities when the levels of the subjects and the items of the strategies were divided. For the top-down listening strategies and activities,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bottom-up approach. There were some strategy items tha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istening activities. In general, the higher level students got good marks on listening activities than the lower levels, and the self-assessment marks parallel the marks for listening activities. This maybe due to students preference for the Likert scales on the self-assessment questionnaires (using of 1-4 Likert scales) depending on their listening and English language abilities. Self-assessment among the high level students gave good grades for the fourth bottom-up strategy to understand stress, intonation, and pitch patterns among the five bottom-up strategy items. The middle leve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ce for correlation between the top-down listening activities and top-down strategies to understand whole context by using nonlinguistic clues (the fifth top-down listening strategy) and to listen to all words carefully (the fifth bottom-up listening strategy) in the bottom-up activities. For the low level students on listening activities have significance between correlation among all the bottom-up strategies and one of the top-down strategies-to infer empirical knowledge and relate the prior experience with input (the fourth top-down listening strategy). Lastly, after the ten-week period, students did not show noticeable change on the self-assessment marks. The total mean scores of top-down listening strategies are slightly higher than the marks for bottom-up listening strateg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reatment group felt more at ease utilizing self-assessment with the top-down listening strategies versus the bottom-up listening strategies. Based upon these resul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Empirical research on preference among students for either bottom-up or top-down listening strategies as an interactive tool for developing their listening skills.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students of different education levels, e. 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of appropriate and authentic listening materials for self-assessment training is needed as well. ; 영어교육의 듣기이해기능은 청자가 발화의 속도나 내용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향상시키기 어려운 언어 기술로 간주되어 왔으나, 원활한 의사 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기초적인 기능으로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중·고등학교 영어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듣기학습은 교사에 의한 평가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점차 학습자 중심의 교수방법이 요구되면서, 듣기학습에 있어서도 자기평가와 같은 학습자 중심의 듣기전략 학습이 제2언어 학습자를 위한 교수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학자들이 어떻게 하면 듣기능력과 전략 및 기술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대해 연구해왔고, 듣기 전략훈련을 위한 자기보고 설문지, 인터뷰, 자기평가 등은 학생들의 듣기전략의 내적 과정을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듣기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자기평가를 통한 듣기전략 훈련을 실시한 본 연구는 듣기전략에 대한 자기평가를 중학교 2학년 남학생들에게 총 10 주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에게는 듣기전략 예측단계와 듣기 후 자기평가 단계 없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듣기 후 지도 방법 외에 듣기수업에 사용된 교재와 시간들은 모두 동일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평가를 통한 듣기전략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중·하위 그룹의 평균점수에 있어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이를 통해, 자기평가를 통한 듣기전략 훈련이 듣기자료의 이해 및 듣기전략 훈련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듣기점수와 상향식 및 하향식 듣기전략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 사이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세번째, 상향식 및 하향식 듣기전략의 세부항목별로 보면 듣기점수와 듣기전략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 사이에 그룹별로 다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상위그룹의 학생들은 강세와 비강세의 위치, 음의 높낮이 등을 이해한다 는 상향식 전략과 듣기점수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중위그룹의 경우, 듣기 활동지에 나온 비언어적 정보들을 잘 활용하여 전체적인 문맥을 이해한다 는 하향식 전략과 각 단어의 의미를 신경 써서 듣는다 의 상향식 전략에 있어 듣기점수와 자기평가점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위그룹의 경우 상향식 듣기전략의 모든 항목과 잘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일 경우 전에 배운 적이 있는지, 내가 알고 있는 내용과 상관이 있는지 추측해 본다 는 하향식 전략에 듣기점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상향식 듣기전략 활동에서의 자기평가 점수와 하향식 듣기전략 활동에서의 자기평가 점수는 차시별로 각각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각 그룹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하향식 듣기활동의 자기평가 점수에 대해 약간 높은 점수를 부여함으로써 하향식 듣기전략을 상향식 듣기전략보다 더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연구를 통해 자기평가를 통한 듣기전략 훈련은 우리 나라 중학생의 듣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상향식 및 하향식 듣기전략에 대한 인지정도가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볼 때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상호작용적 듣기활동에서 학생들의 듣기능력 수준에 따라 상향식 및 하향식 듣기전략 중 특히 어떤 전략을 더 선호하는지 그 차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기평가를 통한 듣기전략 훈련이 우수한 학생들의 듣기능력 향상에 어떤 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상위그룹의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시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자기평가를 위한 적절한 듣기교재의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리라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A. 듣기과정 = 3 B. 듣기전략 = 11 C. 자기평가 = 22 III. 연구방법 = 28 A. 실험 대상 및 실험 기간 = 28 B. 실험 자료 = 29 C. 실험 절차 = 35 D. 연구 가설 = 39 E. 연구의 제한점 = 40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2 A. 자기평가를 통한 듣기전략 훈련의 효과에 대한 검증 = 42 B. 듣기점수와 듣기전략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간의 상관관계 = 47 C. 학생 그룹별 듣기점수와 듣기전략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간의 상관관계 = 50 D. 듣기전략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의 향상도 = 59 E. 실험이후 설문지 문항별 분석 = 63 F. 실험후 인터뷰 = 68 V. 결론 및 시사점 = 70 참고문헌 = 74 부록 = 81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41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기평가를 이용한 듣기전략 훈련의 효과 : 우리나라 중학생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