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백채널 피드백 전략 교수가 영어 의사소통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Title
백채널 피드백 전략 교수가 영어 의사소통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Authors
정숙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Backchannel feedback is a conduit over which a speaker, while speaking, can receive short messages from a listener. It is very pervasive feature of native speaker conversation. Korean learners are often quoted as saying that they have a great difficulty participating in casual English conversation. While focusing on backchannel feedback will not resolve all these difficulties, it seems to be one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se difficulties. Learning how backchannelling is used may help smooth the way for Korean learners to become competent and fluent English conversational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venty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o obtain data regarding the potential usefulness of backchannel feedback instruction, a train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at focused on backchannel feedback during a full school year. Four separate recordings were made during regular class time. For the first and second recordings, learners recorded themselves in early March, the third was made in July, and the fourth in December. And the native speaker students recording was made in February in the next year. During each recording, the learners were asked to talk about a pre-assigned topic. In March, the topic was photographs of friends. In July, learner brought a favorite item to show and talk about. In December they were asked to talk about films, music, or vacation plans. The native speaker students talked about photographs of their friends. All the listener responses were analysed by utilizing the works of Gardner(1994). Five of Gardner s categories were chosen; continuers, newsmarkers, agreement, and evaluative comments and clarification requests.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project it was wondered whether or not the learners backchannel in Korean and in English. They backchannelled frequently and with a great range in Korean. English casual conversation lacked interaction; the learners did not speak with one another. At that point a lesson plan was made, and the students were taught how to backchannel in English for about one year, and asked to record themselves at the end of each term. The first term s transcription shows the turns, which tend to be short and are often fragmented, and also are more typically those of casual conversation. The great sender of backchannels is LL, the group response. Most of the backchannels are non-verbal vocalization, usually giggles or laughter. The second term s conversation contains a very large number of backchannels, especially verbal backchannels. LL does not dominate as it did; instead, individual backchannel has become distinctive. The strongest backchannel category is continuer, the move that most commonly, supports another speaker. Newsmarkers and agreements are overtly used in inappropriate contexts. In native speaker students recording, there are some backchannels which precede an utterance that has some length. This kind of backchannelling seems to enable a listener to get a longer turn into the conversation. This w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learners of English to lear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eachers need to develop various practices on how to interact, and provide meaningful opportunities to talk. Pair-taping assignment can be a way. Further extensions and elaborations of the training program may be expected to achieve even more marked results. ;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영어를 실제 상황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하는 대화 상대자로서 사고하고 행동하는 상호작용 능력을 적절히 발휘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의사소통에는 말하는 화자 못지 않게 듣는 청자의 반응도 중요하다. 화자는 청자로부터 반응이 없을 경우 이야기를 계속하면서도 심리적으로 불안을 느낀다. 또한 청자의 부적절한 반응은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대화 당사자간의 인간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결국 청자가 화자의 발화에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은 역동적이고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화자의 발화를 이해하면서 적절하게 반응하는 능력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적극적인 청자의 역할을 통해 상호작용의 궁극적인 목표인 자유로운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일상적인 대화(casual conversation)에서의 청자 반응(listener response), 특히 영어 백채널 피드백(backchannel feedback) 전략 교수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더불어 우리 나라 영어 학습자들과 같은 또래의 영어 원어민들의 대화에 나타난 백채널 피드백에 대해 연구하고, 연구 결과에 기초해 백채널 피드백 전략을 가르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백채널 피드백 전략 교수가 우리 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3단계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1단계는 실험 이전 평가의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우리 나라 고등학교 1학년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경우 각각 어떠한 상호작용이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2단계는 실험 이후 평가에 해당되는 것으로, 일정 기간 동안 영어 회화 수업을 통해 백채널 피드백 전략을 교수한 다음 상호작용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3단계는 백채널 피드백 전략 교수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원어민들의 실제 대화를 분석하였다. Gardner(1997)의 일상적인 대화에서의 백채널 피드백 분류에 따라 각 단계의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의 출발점으로 실시한 1단계 연구에서 한국어 의사소통에서는 풍부한 상호작용 속에서 문맥에 맞는 적절한 백채널 피드백을 보였다. 반면, 영어 의사소통에서는 상호작용이 거의 없이 화자와 청자가 서로 고립되어 있는 양상을 보여 일상적인 대화라고 볼 수 없었다. 둘째, 1년 동안 백채널 피드백에 중점을 두어 학습한 후 학기별로 상호 작용의 변화를 살펴본 2단계의 연구 결과, 학습 기간이 늘어나면서 뚜렷한 상호작용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1학기에는 실험 이전 평가 결과에 비해 말차례(turn)가 짧고 자주 단절되는 일상적인 대화의 특성을 보였다. 개인별 언어적인(verbal) 백채널 피드백보다는 구성원 전체가 보여주는 그룹 반응과 비언어적인(non-verbal) 웃음이나, 어휘가 아닌(non -lexical) 발성음이 주도적이었다. 또한, 항목에 따라서는 부적절한 문맥에서 과도한 일반화를 시도해 부자연스러운 피드백을 보인 경우도 있었다.2학기에는 전체 백채널 피드백의 빈도수 증가와 더불어 언어적인 백채널 피드백의 비율이 높아졌고, 그룹 반응보다는 개인별 백채널 피드백이 두드러졌다. 가장 흔한 기능은 다른 화자를 지원하면서 계속하라고 격려해 주는 계속 신호 (continuer)였다. 1학기에 두드러졌던 과도한 일반화가 사라지면서 전략 사용은 비교적 안정을 보였으나 완전한 습득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는 없었다. 영어 학습자들이 백채널 피드백을 본격적인 학습이 필요한 부분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가벼운 농담으로 간주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백채널 피드백 전략 교수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실시한 3단계 연구 결과, 원어민들은 상호작용에서 청자의 참여를 부드럽게 이어주는 짧은 백채널 피드백 뒤에 긴 발화가 이어지는 형태의 백채널을 많이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자의 발화를 듣고 청자 나름의 감정적, 동정적, 평가적인 반응을 보이는 항목에서 우리 나라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에서는 볼 수 없었던 표현들이 발견되었고, 다양하고 적극적인 설명 요구 기능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성별에 따른 백채널 피드백은 언어 능력이나 상호작용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일정 기간 동안 백채널 피드백 전략을 학습한 후에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겹쳐 말하기나 끼여들기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어민은 남학생은 발언권을 확보하기 위해, 여학생은 화자를 지원하기 위해 백채널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가 수업 현장에 주는 교육적인 시사점은, 실생활과 관련된 의미 있는 상호작용 활동들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이 적극적인 대화 상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두 명이 짝을 지어 주어진 화제를 놓고 영어로 대화하는 것을 녹음(pair-taping)해 제출하는 과제를 부과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영어 백채널 피드백 전략 교수는 영어 상호작용에서 청자로서의 역할을 늘려 가는 데 긍정적인 변화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수업 현장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화자의 입장에서의 상호작용 전략과 청자의 비언어적인 반응, 문화나 언어에 따른 백채널 피드백의 특성, 개인의 언어 능력과 인성의 차이에 따른 백채널 피드백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