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윤경-
dc.creator정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동작 과제에 대한 피드백 제시형태와 시기에 따른 무용동작 수행의 접수 변화를 통해 무용학습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및 문헌을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언어적 설명 피드백 제공집단이 시각적 피드백 제공집단 보다 무용동작 학습효과가 높을 것이다. 둘째, 피드백 제공시기, 즉 처음 시행 후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보다 다음 시행에 앞서 시간적 간격을 둔 후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무용 동작학습에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피드백 제시 형태와 제공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로 볼 때 언어적 피드백과 다음 시행 바로 전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이 학습효과가 가장 높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의 레파토리 중 처용무의 주요연속동작 10가지를 무용학습의 과제로 선정하였고 언어적 피드백과 5분 지연후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A와 언어적 피드백과 시행후 바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B, 비디오자료와 5분 지연후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C, 비디오자료와 시행후 바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D로 구분하여 각 집단에 맞는 피드백을 제시하였다. 시각적 피드백 정보는 캠코더로 녹화하여 비디오 레코더를 통해 제시하였으며, 언어적 피드백 정보는 카세트 테잎으로 제작하여 카세트 레코더를 통해 제시하였다. 4회에 걸친 수행에 대한 평가는 5인의 무용 전문가에 의해 테크닉, 암기력, 숙련도, 표현성, 리듬감의 5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점수를 10점 만점으로 전체 50점을 만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상·하점수의 삭제 없이 다섯 개의 점수를 통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일주일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집단별 파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무용동작 학습과제에 대한 수행점수를 집단별·시행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각 집단의 피드백 제시형태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의 주효과와 피드백 제공시기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의 주효과, 피드백 제시형태와 제공시기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의 상호작용 효과, 그리고 측정단계에 따른 무용동작의 학습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피드백 제시형태 (2) ×제공시기(2)×습득단계의 검사(4)에 따른 혼합설계(mixed design)를 바탕으로 검사에 대한 반복측정에 의한 삼원 변량분석 (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last factor)을 실시하였고, 파지검사에 대한 학습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피드백 제시형태(2)×제공시기(2)에 따른 이원 변량분석(tow-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수행효과에 있어서 피드백 제시형태에 따른 주효과와 피드백 제공시기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습득단계의 검사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습효과에 있어서 이원 변량분석에 의한 파지검사에서는 첫째 피드백 제시형태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피드백 제공시기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언어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과 5분 지연 후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집단의 무용 동작학습이 효과적이며 또한, 피드백 제시형태와 제공시기의 상호작용 효과로 볼 때 언어적 피드백과 5분 지연 후에 피드백 제공하는 것이 무용학습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피드백 제시형태와 제공시기 이 두 가지의 요인 모두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다양한 학습상황에서 이 두 요인은 상호작용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 무용교육현장에서 동작에 대한 피드백제시는 언어적·시각적인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할 경우, 초보자들에게는 언어적 수행정보를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보다는 어느 정도 시간적 여유를 지연해 수행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다양한 피험자와 과제를 대상으로 한 설계에도 일반화 될 수 있도록 심도 깊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한 학습이론이 무용학습의 무용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ype of the feedback and feedback delay interval on dance movement learning. Th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literatures. First, verbal feedback will be more effective than visual feedback. Second, delay feedback will be more effective than instant feedback. Third, due to interactive effect, delayed verbal feedback will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test hypotheses, Choyongmu dance movement were used. The subject 4 trials in acquisition phase with one retention test one week later in a 2(verbal / visual) X 2(instant / 5 minutes feedback) X 4(test)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est. The dance performance skill of these groups were evaluated with the used of the following five standards: technique, memory, proficiency, expressiveness and rhythm. For analyzing dancing movement appraisal used statistical analysis. It is three-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last factor test revealed and In the retention phase, the main effect for type of feedback and the main effect for delay interval feedback wasn t significant. however the main effect for the measurement of feedback .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test. phase; 1) The main effect for type of feedback was significant. 2) The main effect for delay interval feedbac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verbal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visual feedback, and 5 minutes delay feedback was more effective than instant feedback on dance movement learning.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type of feedback and the delay interval feedback, verbal feedback & 5 minutes delay feedback were most effect on dance movement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v 그림목차 = vi 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 가설 = 4 D.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6 A. 무용학습 = 6 1. 무용학습의 개념 = 6 2. 무용동작 학습의 영향 요인 = 7 1) 연습 = 7 2) 피드백 = 9 B. 피드백과 무용학습 = 10 1. 피드백의 의미와 종류(분류) = 10 1) 피드백의 의미 = 10 2) 피드백의 종류(분류) = 11 2. 피드백의 기능 및 방법 = 13 1) 피드백의 기능 = 13 2) 피드백의 방법 = 15 (1) 피드백 제시형태와 무용학습 = 15 (2) 피드백 제공시기와 무용학습 = 17 III. 연구방법 = 19 A. 피험자 = 19 B. 연구과제 및 측정(기자재) = 19 C. 연구설계 및 절차 = 20 D. 분석 = 22 IV. 연구결과 = 23 A. 습득단계에서의 무용 수행 점수 분석 = 23 B. 파지단계에서의 무용 수행 점수 분석 = 26 V. 논의 및 결론 = 28 참고문헌 = 31 ABSTRACT = 37 부록-1. 과제에 따른 언어적 피드백 설명 = 39 부록-2. 수행평가지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64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피드백 제시형태와 시기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