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주혜-
dc.creator김주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30-
dc.description.abstract통합교육은 단순한 물리적 통합에서 발전하여 장애아동이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성공적인 통합, 모든 아동을 포함하는 교육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장애아동의 학습과 생활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모든 사람이 혜택을 받는 통합이 되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교사간의 협력이 강조되고, 통합학급을 담임하여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중재하는 통합학급교사 변인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통합학급교사의 교수 능력, 장애아동 및 통합에 대한 인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지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이 통합학급교사의 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8개 초등학교의 통합학급의 담임교사 30명과 일반아동 300명이었다. 통합학급교사 15명과 일반아동 150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에게는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한 요소를 포함하는 정기적인 서신지원이 실시되었고, 통합학급교사 15명, 일반아동 150명으로 구성된 통제집단에는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준의 일시적이고 간헐적인 지원만이 실시되도록 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고, 본 실험처치는 일주일에 한번씩 정기적인 서신을 제공하도록 하였으며 총 8회기가 실시되었다. 측정도구는 통합학급교사의 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Gibson과 Dembo(1984)가 제작한 교사효능감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통합에 대한 태도 측정을 위해서는 Green과 Stoneman(1989)이 개발한 검사도구를 김지은(1996)이 수정·보완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척도를,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권원영(1998)이 사용한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합학급교사의 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있어서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을 제공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 통합학급교사의 통합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을 제공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을 제공받은 실험집단의 아동들이 통제집단의 아동들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특수교사의 정기적인 서신지원이 통합학급교사들의 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간접적이지만 서신지원을 제공받은 학급의 일반아동들이 현재의 일시적인 지원을 받은 학급의 일반아동보다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통합학급교사의 교수적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협력을 이끌 수 있는 지원체제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통합학급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커다란 체제의 변화와 통합학급교사의 부담을 요구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는 서신지원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inclusive education, developed from a simply physical inclusion, has been recognized as a successful inclusion for social acceptance of disabled students and an education including all children. Accordingly, diverse strategies have been presented in order to improve the study and life of disabled students and benefit all the people. Especially, the interest has increased in the varied shapes of supports that influenced the general teachers teaching abilities, disabled children and the inclusion For, the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has been emphasized and the importance of the changing factors of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has been recognized, who are charge of the inclusive calssrooms, manage and arbitrate the curriculum in the field. Therefore,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show the impact that written support program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gives to the general teachers efficacy, their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an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 general teachers and 30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were in inclusive classes of 8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 Experimental group supplied with a regular written support program containing the elements from preceding studies and a control group supplied with temporary and intermittent support, each was consisted of 15 general teachers and 15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pre-test, treatment of experiment, and post-test with an written support program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was implemented for 8 sessions. Measuring tools were used : a revised teacher efficacy questionnaire by Gibson & Dembo(1984) to measure the inclusive class teachers teaching effacy toward disabled students, an examination tool by Green & Stoneman(1989) and amended by Kim, ji-eun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and the recognition questionnaire for disabled children by Kwon, won-young to measure the attitude of children without disab! ilities toward disabled ones. These test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written support program. Then, 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eacher efficacy of general teachers, showing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attitude of general teachers, showing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3.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attitud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howing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mplementation of written support program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 the direct and systematic way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and attitude of general teachers and attitud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dditionall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class with the implementation of written support program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 a more affirmative change of understanding disabled students than those in the class with a temporary support. Therefore, it is authorized that the support system is neccesary to influence the teaching practices of the general teachers and withdraw the collaboration of them.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proposed that written support program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out changing the system or requiring the burden of the general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attitude toward the inclu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7 A. 통합학급교사의 교사효능감 = 7 1. 자기효능감 = 7 2. 교사효능감 = 10 3.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 = 13 B. 통합구성원의 태도 = 17 1. 통합학급교사의 태도의 중요성 = 17 2. 일반아동의 태도의 중요성 = 19 C. 통합학급교사 지원 = 20 1. 통합학급교사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 = 23 2. 통합학급교사의 역할과 이에 대한 지원의 내용 = 25 3. 통합학급교사에 대한 지원방법 = 32 4. 서신지원 = 37 III. 연구 방법 = 40 A. 연구 대상 = 40 B. 독립변인 = 43 C. 종속변인 = 50 D. 상관변인 = 55 E. 실험설계 및 절차 = 56 F. 자료처리방법 = 58 IV. 연구 결과 = 59 A. 통합학급교사의 장애아동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차이 = 59 B. 통합학급교사의 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 = 60 C.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 = 62 V. 논의 및 제언 = 64 A. 논의 = 64 B. 연구의 제한점 = 73 C.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 = 89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62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이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