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1 Download: 0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과제수행행동,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과제수행행동,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노현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학생이 수업 중 보이는 문제행동은 신체적 성장, 또래와의 상호작용, 학업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 나아가 지역사회와 사회로의 적응을 어렵게 하며, 특수교사 뿐 아니라 일반교사에게도 커다란 도전이 된다. 장애학생들의 사회적·교육적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일선 교사들은 장애 학생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요구하게 되었다. 과거 이십여년간 문제행동 감소를 위해 기능평가의 사용이 추천되어왔는데 이는 IDEA(1997)에서 문제행동에 대해 기능평가를 사용할 것과 중재계획은 기능평가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기초해야한다고 규정함으로써 확대되고 있다. 전통적인 행동관리방법은 문제행동의 제거에 관심을 두었지만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 방법은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맥락과 원인을 파악하여 중재하는 예방적인 입장을 취한다.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제행동 중재 전략의 대부분은 문제행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이나 원인에 대한 고찰 없이 후속 사건을 통한 중재가 대부분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만으로도 문제행동이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문제행동과 과제수행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많지만 문제행동 감소와 과제 성취도 증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가 학습도움실내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과제수행행동, 과제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초등학교 학습도움실 내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세 명의 장애학생을 그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중재 도입에 앞서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변인을 판별해내기 위해 서술적인 기능평가를 사용하여 문제행동은 감소시키고, 과제수행행동은 증가시키는 선행사건 변인에 대한 가설을 대상별로 선정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반전설계를 사용하였다. 기능평가를 마친 후 그 결과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가 학습도움실의 자연스러운 일과 중에 실시되었으며, 문제행동, 과제수행행동,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글씨쓰기시간에 자료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multiple design across subjects)을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평소 사용하던 과제와 행동관리체계를 적용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기능평가를 통해 판별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 패키지가 제공되었다. 즉, 문제행동과 관련된 환경 변인은 수정되었으며. 과제는 학생의 선호활동을 삽입하여 수정되었다. 학습도움실내 특수교사에 의해 실시된 중재 효과가 통합학급 내 담임교사에 의해서도 일반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3회기 동안의 일반화 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 모두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를 통하여 문제행동이 감소되었다. 둘째, 대상학생 모두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를 통하여 과제수행행동이 증가하였다. 셋째, 대상학생 모두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를 통하여 과제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넷째, 대상학생 모두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 효과가 통합학급에서 담임교사에 의해 실시되었을 때도 일반화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상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선행사건 변인은 서술적인 기능평가를 통해 효과적으로 판별될 수 있으며, 기능평가에 기초한 선행사건 중심의 중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과제수행행동을 증가시키며, 과제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결과가 다른 환경과 사람에게 일반화됨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functional assessment and antecedents-based intervention to reduce problem behaviors and improve task engagement, task achievement with disability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 the present study, three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for severe behavioral problem participated in a descriptive functional assessment process designed to yield a useful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behavior. Functional assessment were conducted to identify antecedent including instructional and curricular variables that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problem and task engagement in classroom. 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s led to one or two hypotheses for each of the participants. The first hypothesis statement for everyone was "when tasks incorporate his preferences, problem behavior will decrease, and task engagement will increase". The second hypothesis statement for student 1 was "when completing tasks with teacher in close proximity, problem behavior will reduce, and task engagement will behavior better". The second hypothesis statement for student 2 was "when completing tasks not together but alone, problem behavior will decrease, and task engagement will increase". Using reversal design, hypotheses were tested in the context of ongoing classroom activities and were accepted. After then, Intervention packag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s were examined within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 1. Functional assessment and antecedents-based intervention resulted in immediate reduction in problem behavior. 2. Functional assessment and antecedents-based interven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increased task engagement. 3. Functional assessment and antecedents-based intervention led to effectively improved task achievement. 4. The effects of functional assessment and antecedents-based intervention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were showed good generality to general education teacher in the inclusive regular class. The data from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descriptive assessment method identified variables that were functionally related to each participant s problem and appropriate behaviors. These data contribute to growing recognition that antecedent variables can exert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roblem behavior, task engagement, task achievement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inclusive regular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