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영주-
dc.creator홍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55-
dc.description.abstract시대의 변화로 인해 영어 교육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을 목표로 하면서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가 무엇 을 들어야 할지 가르치는 것 이외에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내적 과정을 도와줄 수 있는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자기 주도적인 학습과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제 7차 영어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들이 전략을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들을 수 있게 해주는 듣기 전략 지도가 학교 현장에서 지도되어야 할 학습내용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교실현장에서 영어 듣기 수업은 여전히 교과서 내용이나 듣기 자료를 주로 활용하여 단순히 몇 번 되풀이해서 들어보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학습자의 참여가 필요한 능동적이며 역동적인 문제해결 과정이라는 듣기의 특성이 무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듣기능력을 향상시킬 듣기 전략훈련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듣기 인지전략만을 훈련하는 방법이외에, 인지전략과 함께 학습자가 자신의 듣기 학습을 주도하여 영어 듣기 과정을 조절,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상위인지전략을 훈련시킬 경우를 비교하여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이나 듣기 전략 사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전략훈련이 과연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훈련을 받지는 않았지만 동일한 수용적 이해 능력인 읽기 기능이나 읽기 전략의 사용 정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중학교 영어 학습자 1학년 243명을 대상으로 10주간 듣기 영역에서 필요로 되는 전략에 대한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의 유형에서 나타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집단을 구분하여 듣기에 직접 관련된 인지전략만을 훈련한 집단(듣기집단이라 칭함)과 상위인지전략을 함께 훈련하는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상위인지전략을 훈련하는 방식에도 차이를 두어 상위인지전략을 적용하는 훈련을 하는 적용집단과 상위인지전략에 대한 인식만 하는 인식집단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이 외에 수업시간에 사용된 활동지와 시간 배정, 교사 요인 등은 세 집단 모두에서 동일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실험집단에서 모두 듣기 능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략훈련 유형으로 인한 집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략면에서도 사용정도의 향상과 더불어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듣기와 직접 관련된 인지전략의 경우 상위인지전략 훈련을 했던 적용집단과 인식집단이 인지전략의 사용에서 이질적인 집단으로 나타났다. 상위인지전략에서는 인식집단이 적용집단과 듣기집단에 비해 우월하게 전략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집단은 인식집단과 함께 상위인지전략 훈련을 받았음에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인식집단과는 달리 적용집단이 상위인지전략 학습지를 통해 적용하는 전략훈련을 과중한 학습 부담으로 느껴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사후 설문조사 결과 밝혀졌다. 학습자 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듣기능력 하위에 속하는 학습자들이 상위나 중위집단에 비해 전략훈련의 영향을 많이 받아 듣기능력의 향상과 전략 사용의 증가를 보였으며, 성별에 의한 영향은 별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이전에 비해 세 집단 모두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가 높아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전략훈련 유형으로 인한 집단간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역시 상위인지전략을 받은 두 집단인 적용집단과 인식집단이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서 이질적인 집단으로 나타났다.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서도 하위 듣기능력집단이 전략훈련 방식에 의한 효과의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및 상위인지전략과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는 인지전략이나 학습과정을 조절하는 상위인지전략의 사용과의 연관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듣기영역에서 훈련한 전략이 읽기영역에 미친 영향으로는 읽기 인지 및 상위인지전략 측면에서 실험 이후에 그 사용정도가 유의한 차이로 증가되었음이 나타났다. 상위인지전략의 경우에는 전략훈련 유형에 의한 집단간 차이도 나타났으며, 인식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전략의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사용의 향상도에 있어서는 듣기영역에서 상위인지전략을 훈련한 적용집단과 인식집단이 상위인지전략 사용정도가 비슷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읽기전략 사용이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읽기 능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서 듣기 전략 훈련이 읽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는 증명되지 않았다. 또한, 실험대상으로 채택된 듣기와 읽기 전략간의 유사성으로 인해 듣기영역과 읽기영역의 전략의 차이를 학습자들이 확실하게 구분하고 응답하였는가에 대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세 종류의 전략훈련이 모두 유형에 상관없이 듣기능력과 전략사용,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서 긍정정인 영향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집단별로 나타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인지전략을 훈련하면서 상위인지전략을 인식하는 훈련을 동시에 한 적용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약간 뒤떨어지는 결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과정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살펴본 결과 이것은 적용집단의 학습자들이 전략훈련에서 제공받았던 전략 적용의 기회를 듣기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부가 아닌 부가적인 또 하나의 학습활동으로 받아들여 학습부담을 느끼면서 전략훈련의 효과가 절감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상위인지전략 훈련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흥미와 적절한 학습량을 파악하여 전략 적용 훈련을 구성한다면 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Listening is regarded as a basic and important skill i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Listening comprehension is an active process which students focus on selected aspects of aural input, construct meaning from passages, and relate what they hear to existing knowledge. But listening isn t an easy skill because listeners cannot control the rate or speed of inpu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n effective method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Korea focuses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respe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speed and interest and aims at self-directed educa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Many literatures o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contends that use of these strategies facilitate L2 acquisition and that strategies can be taught to L2 learn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rategy training on listening comprehension in different ways and tried to find out which is positive for the students at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as compared in listening area with proficiency and strategy use, self-directed attitude, and proficiency and strategy use in reading area. Futhermore, influence of listening proficiency level and student gender were conside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stening strategy training, 243 first year middle-school students of six classes were selected. Strategy training was divided into two types broadly. One is receiving the training of listening cognitive strategy only(L group), the other is the training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y together. Four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s that took the metacognitiv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while the other two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L group. The experiment groups in metacognitive strategy were divided into 2 parts again. Application group(AP group) with the opportunities of appling metacognitive listening strategy on listening task, while the Awareness group(AW group) took metacognitive strategy training without application, just being aware of them. Before the training, listening and reading test were administered to prove that three groups were homogeneous in the proficiency level and the use of strategy. In order to compare achievement scores of the three groups, post test on listening and reading were administered after strategy training. In addition,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just after each pre and post test to confirm whether there was any change of strategy use and self-directed attitude of three groups. One-way ANOVA, Duncan post-hoc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employed the answer research questions using the SPSSWIN program. After 10-week period, the results of listening strategy trainings in three different ways are as follows: First, th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improved three experimental groups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regards of strategy use, improvement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were found. AP group and AW group were different i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ies and AW group showed the highest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The lower level listening proficiency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trategy use. Gender didn t showed any influence with type of training. Seco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promoted in all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training types, which was similar to the result in the first listening area. AP group and AW group were different in the degree of self-directed attitude although they took metacognitive listening strategy training together. The lower group was affected by the type of training, but gender wasn t. Strong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attitude and strategy use was found. Third, the effect of listening strategy training didn t affect on reading area. Although the degree of read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y use were improved, there was any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ability at all. In regards of students responses about strategy training, AP group revealed negative interest on training. This implies that negative attitude was the main factor of different results from AW group which showed out positive results. In conclusion, the three types of listening strategy training affect the achievement positively and increase the use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listening strategy in listening.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students to use cognitive strategy with metacognitive strategy simultaneously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effect of metacognitive strategy application training or the effect of strategy training in other language skill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eachers plan systematic strategy-based instruction to be taught as a part of English curriculum and prepare the materials and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ir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1. 듣기의 중요성과 어려움 = 3 2. 듣기 전략훈련 = 7 3. 전략훈련과 자기 주도적 학습 = 18 4. 듣기 기능과 읽기 기능과의 관계 = 21 5. 선행연구 검토 = 24 III. 연구방법 = 29 1. 연구 가설 = 29 2. 연구 대상 = 30 3. 연구 자료 = 31 4. 연구 절차 = 41 5. 연구의 제한점 = 46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7 1. 듣기 영역에서의 집단간 비교 = 47 2.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서의 집단간 비교 = 60 3. 읽기 영역에 미치는 영향 집단간 비교 = 64 4. 전략 훈련 수업에 대한 학습자 반응 집단간 비교 = 68 V. 결론 = 73 참고문헌 = 78 부록 = 83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72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영어듣기 중심의 전략 훈련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 듣기, 읽기 영역 및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