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7 Download: 0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

Title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
Authors
오상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on the one han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the old in recreational sports and the ego integrity and to practically prove the significance of the recreational sports participation as a meaningful factor by which the fulfillment of ego integrity can be predicted, on the other. Two hundred and fifty old people above 60 years of age were selected as subjects randomly selected from four Silver Halls, two schools for the aged, two parks and two well fare centers for the aged in 6 Gus of Seoul. Among 250 replies 231 replies thought to be sincere and useful were subjected to analyses. After analyzing reliabilities and supplementing questions through pre-investigations, data gain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were analyzed with sta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ies Analysis, Crosstabs, Repeated Measure ANOVA and One-way ANOVA. For this study, the ego integrity measure tool developed by Kim, Jung-Soon (1988) was used and its reliability was Cronbach α=0.932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ke belows. First, whether the subjects had participated in recreational sports or not showed a statical significance in ego integrity. It was shown that subjects who had regularly participated in recreational sports had relatively greater ego integrity than those who had not. From thi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ng in recreational sports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the old s ego integrity. Second,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sports participation except the playing place did not show sta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go integrity, but b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averages the difference of ego integrity in each characteristic was shown. In case of sports item, subjects who had taken part in walking or jogging and physical excercise showed relatively low ego integrity, and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folk dance or sports dance showed relatively high ego integrity. In case of frequencies of recreational sports participation, subjects who had exercised every day showed low ego integrity, and those who had exercised 2~3 days a week showed high ego integrity. In case of excercise strength, those who had exercised 1~2 hours per day showed the highest ego integrity. It was shown that the degree of ego integrity was proportional to the participating period, and subjects who had been exercising in facilities showed higher ego integrity. These differences of ego integr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sports participation indicated important factors which might positively influence successful aging. It could be inferred that participating in recreational sports in old age could be more effective by means of the recreational sports facilities and programs, and the comrades to play with.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을 규명하여 노년기의 자아통합감 달성을 예측할 수 있는 설명력있는 변인으로서 생활체육 참여의 유의미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표본추출 방법은 서울시 6개 구(강남구, 강동구, 동대문구, 마포구, 영등포구, 종로구)에서 4개의 노인정, 2개의 노인대학, 2개의 공원, 2개의 노인복지관을 임의 선정한 후 연구대상자로 적합한 250명을 무작위 추출하여 231명(생활체육 참여자: 128명, 생활체육 비참여자: 103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한 신뢰도 검증과 문항 보완 후, 조사대상자 개별 질문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SPSS/PC+ Version 10.0 활용 -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t-검증, 반복측정 변량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김정순(1988)이 개발한 자아통합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9327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자아통합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자의 자아통합감 정도는 비참여자의 자아통합감의 정도보다 현저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생활체육 참여는 노인의 자아통합감 정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특성별 자아통합감의 정도는 운동장소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평균차를 통하여 생활체육 참여특성별 자아통합감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운동종목에 있어 걷기나 조깅, 체조의 경우는 비교적 낮은 자아통합감의 정도를 보였으며, 민속무용이나 스포츠댄스의 경우 높은 자아통합감의 정도를 보였다. 생활체육 참가빈도에 있어 매일 운동하는 경우는 자아통합감의 정도가 낮았으며, 일주일에 2~3일 참여는 자아통합감의 정도가 높았다. 운동강도는 1~2시간의 운동참여의 경우 가장 높은 자아통합감을 보였다. 참여기간을 보면, 생활체육 활동에 장기간 참여할수록 점진적으로 높은 자아통합감을 보였으며 생활체육 참여장소는 체육시설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 자아통합감의 정도가 높았다. 생활체육 참여 특성별로 보이는 이러한 자아통합감의 차이는 노년기에의 성공적 적응, 즉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생활체육 중요요인을 설명하고 있다. 노년기의 생활체육 참여는 생활체육 시설과 프로그램, 그리고 함께 참여하는 동호인이 있을 때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