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정-
dc.creator이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96-
dc.description.abstractThe 7th curriculum is the curriculum strenthened the connection by the new nation common basic curriculum. In former curriculums students had felt awkward by difference of level between content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it means that there are deep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ve level of the high school science and the middle school science and the cognitive level doesn t fit very well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s As the same manner, this study analisis and compares the requirements of the cognitive levels between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physics, new textbook) which was newly revised according to the aim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existing high school common science textbook(physics, old textbook), identifies how the cognitive level of the new textbook modifies that of the old one, and this study will discuss comparisons between the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identified by previous studies and that of the new textbook. Analyzing the content of textbooks, three tools of CAT(Curriculum Analysis Taxonomy) invented by English CSMS(Concepts in Secondary Mathematics & Science) program were used as criterions. Compared materials were Kyohaksa, Kumsung Publishing Co. and Daehan textbook which are the same publishing companies among 7 new textbooks and 11 former textbooks and one of the two former textbooks of Kyohaksa was selected at random. The following is the summarized result of this study. First, in the new and the old textbooks(physics), the percentages of contents included in a formal operational period were 73.2% and 86.8% respectively, in which indicated that the contents which come under formal operational period were more than the contents of concrete operational period. The rates of the concepts of formal operational period were a little lower in the new textbook than the old one. Second, the averages of cognitive level of the new and the old textbooks (physics) were 3.04, and 3.28 respectively and the cognitive level of the new textbook was a little bit lower than that of the former one. Through the result, the high school 1st grade science textbook s requiring cognitive level was modified lower in the 7th curriculum however, the textbook development toward reducing the gap which has been revealed by former studies and the new textbook, and the new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will be needed afterwards.; 제 7차 교육과정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신설로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화한 교육과정이다. 이전의 교육과정들에서 학생들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 사이에 많은 수준차이를 느끼며 어려워 해왔는데 이는 고등학교 과학 내용의 인지수준이 중학교 과학 내용의 인지수준과 많은 차이가 있고 고등학생들의 인지수준에도 적합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따라 새롭게 개정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물리 영역, 신 교과서)와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기존의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물리 영역, 구 교과서)가 요구하는 인지 수준을 분석·비교하여, 신 교과서의 인지수준이 구 교과서의 인지 수준에 비해 어떻게 조정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선행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신 교과서의 인지 수준을 비교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교과 내용의 분석은 1981년 영국의 CSMS(Concepts in Secondary Mathematics & Science) Program 에 의해 개발된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의 3가지 분류틀을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고등학교 과학 신 교과서 7종과 구 교과서 11종 중에서 동일 출판사인 교학사, 금성출판사, 대한교과서를 선택하여 분석하였고, 구 교과서에서 교학사 교과서는 2개 중 임의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구 교과서의 물리 영역에서 형식적 조작기에 속하는 개념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73.2%와 86.8%로 형식적 조작기에 속하는 개념이 구체적 조작기에 속하는 개념보다 많았으며, 그 비율은 신 교과서에서 다소 감소되었다. 둘째, 신·구 교과서(물리 영역)의 인지 수준 평균치는 각각 3.04, 3.28로 신 교과서의 인지 수준이 구 교과서에 비해 하향 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가 요구하는 인지 수준은 하향 조정되었으나 여전히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고등학생 대부분의 인지 발달 수준과는 차이가 많이 있으므로 앞으로 그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의 교과서 개발과 교사의 교수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2 II. 이론적 배경 = 4 A.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 = 4 B. CSMS Program에 의한 물리 교과 내용 분류틀 = 8 C.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요 = 12 D. 선행 연구 고찰 = 23 III.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 28 A. 연구 자료 = 28 B. 연구 방법 = 28 IV. 연구 결과 및 분석 = 31 A. 과학교과 내용 분석 = 31 B. 출판사별 인지 수준 평균 = 46 C. 개념별 인지 수준 평균 = 49 D. 주제별 인지 수준 평균 = 54 V.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2 부록 I. 주위 환경과 학생들의 상호 반응에 대한 인지 수준 (분류틀 1) = 65 부록 II. 과학적 사고 유형의 인지 수준 (분류틀 2) = 68 부록 III. 물리 교과 내용 분류틀 (분류틀 3) = 72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83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6,7차 과학 교과서의 물리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