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혜-
dc.creator김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67-
dc.description.abstract자신을 입증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근거가 몸이라면 미술가들의 신체를 이용한 작업은 자신의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특히 극단적으로 변형되고 왜곡된 신체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은 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이상적 인간형이 아닌 괴기한 타자라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그 목적을 극대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신체의 하부구조를 선호하고 사회적 규범에서 이탈하는 신체의 모습을 비천함(abjection) 과 결부시켜 비천한 신체 라고 규정함으로써, 이들이 주는 시각적 충격 이면에는 어떠한 의미가 내포되어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II장 A절에서는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신체미술을 미적 대상으로서의 고전적 신체, 개념미술의 맥락에서 파악되는 1960-70년대의 신체, 그리고 최근의 새로운 경향들에 나타난 신체로 나누어 그 개념의 변화, 배경, 그리고 구체적인 양상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B절에서는 본격적으로 이 논문의 주제라 할 수 있는 비천한 신체의 이론적 배경을 이상적 신체와 실제적 신체 사이의 갈등, 재현의 場에서 지각의 場으로 변화하게 된 사상적 철학적 준거 안에서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언캐니(uncanny), 그로테스크(grotesque), 비천함(abjection) 등 본고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신체이미지들을 형용하는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와 이들이 신체미술 내에서 지니는 의의를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비천한 신체 이미지들을 인형으로 제시된 대체인간형, 여성의 비천한 신체, 포스트 젠더(post gender)의 신체로 나누어, 죽음과 삶, 그리고 재탄생이 순환하는 영역으로서의 신체의 의미를 명확히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주제와 관련되는 특정 작가의 작품들을 예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신체미술은 과거 미적으로 승화된 완벽한 신체에서, 신체본연의 불완전함을 드러내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신체미술의 변화는 오랫동안 서구의 사상을 지배하였던 이분법적 논리의 붕괴로, 시각 중심적이고 자아 중심적이며 남성 중심적인 특성이 촉각 중심적, 타자 애호적, 여성적으로 변화하게 된 것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비천함은 질서와 정체성 경계를 교란하는 개념으로 타자와의 관계가 아직 대상화되지 않은 원시적이고 본능적인 격렬함을 내포한다. 또한 비천한 신체는 여성적 특성을 지니며, 여기서 여성적이라 함은 남녀의 대립 항에 위치하는 개념이 아니라, 이중성, 변형, 생성, 모호함, 관계 지향적으로 이해된 여성의 차원을 말한다. 따라서 비천한 신체는 남녀의 성을 뛰어넘어 복수의 성, 무성, 사이보그(cyborg)등 과도하고 물질적이며 사회적 규범에서 이탈한 표현양식을 보여주는 모든 신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인형, 여성의 신체, 포스트 젠더는 모두 비천한 속성을 갖고 있는 신체의 모습이다. 포스트 젠더의 특성을 지닌 신체는 남성, 여성의 이분법적 구도를 교란시키고, 이를 뛰어넘어 남녀가 모두 소외의 주체이며 성적 특성은 고정적인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초성별(超性別), 양성화는 표현 양식적 측면에서 비천함을 드러내며 그 발상 자체는 기존의 부계질서에 대한 위반이자 반발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기존에 있던 신체의 개념을 뛰어넘어 새로운 신체의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It is arguable that the Body Art is the most effective way for the Artists to represent (or embody) their identities. Due to the fact that the most direct and physical evidence to demonstrate oneself is through body. The explicit expression of addressing the abject body, which is far from what society requires or regulates for an ideal body, can be seen as the discourse about body and identity. In this study, I should particularly focus on physical substructure in Body Art such as body, rather than souls, the earth, rather than the heavens, the genital organs or the anus, rather than brain, and the feels, rather than vision. These images pursue to break away from social norms, and they are called as "Abject Body", and also look at the representation of these images in three parts- the doll as a replacement of body , women s abject body , and the post humanism (or humanity) . The content of my thesis is as follow. In the part A of chapter two, I looked at the embodied aspects and changed concepts of body art in relation to its social context in different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I categorized the era into three parts, that is the body art as a classical aesthetic object, the concept art between the 1960s and the 1970s, and the new tendencies in contemporary Art. In the part B, I examine the abject body and its theoretical context and discourse in relation to the conflict between idealized body and actual body and also the change from reemergence field to perceptive field within ideological philosophy?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concepts it seems reasonable to define the terms I shall use such as uncanny, grotesque and abject by dictionary term and also as their significance in body art. In the chapter three I demonstrate the significance of abject art. I shall argue that the replaced human form by doll, female abject body and body of post gender represent the rotating boundaries among the death, life, and the rebirth. In order to explain this I shall use appropriate examples in relation to this matter. This dissert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body art has transformed its aspects from ideologically anesthetized body into the representation of instable body itself. This change suggests the crisis of binarism in dominant ideologies of Western societies and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body art, from optical, self centered, and patriarchal into sensual, heterophlia, and feminized. The abjection connotes primary and instinct intensity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is not yet objectified. It is also a concept which disturbs the boundary between arrangement and identity. Additionally, the abject body involves feminine aspects. However the term of femininity here has to be understood as not a reference to binary sexual opposition but to dualism, transformation, generation, vagueness and relation intended. Therefore, abject body bypasses binary sex and contains multiple sexes, sexless, and cyborg which represent the break-away from social norms and materiality. The characteristic of post gender body art is that it disturbs and bypasses the binary concept of man and women then suggests that men and women are all alienated and sexual characteristics are not fixed. post gender, androgynous emerge the abjection in relation to the style of expression. It also seems that the idea itself was the resistance and rebel to existed patriarchal structure. This can be seen as a start of the rebirth of body, which overcome the existed ideology of bo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도판목록 = iv 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II. 미술과 신체 = 4 A. 신체미술의 변천사 = 4 1. 미적 대상으로서의 신체 = 5 2. 매체, 과정, 개념으로서의 신체 = 8 3.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시각 = 14 B. 신체미술과 비천함(abjection) = 19 1. 이론적 배경 = 19 (1) 이상적 신체와 실제적 신체 사이의 갈등 = 19 (2) 시각적 재현의 장(場)에서 촉각적 지각의 장(場)으로 = 21 2. 괴이함(uncanny), 그로테스크(grotesque), 비천함(abjection)의 의미 = 24 III. 비천한 신체 의 유형별로 본 죽음과 탄생의 표현 = 31 A. 한스 벨머의 인형 - 죽음을 암시하는 대체인간形 = 31 B. 비천한 여성의 신체 - 모성의 공간(죽음과 생명이 공존하는 장소) = 38 C. 포스트 젠더 - 새로운 탄생 = 48 IV. 결론 = 56 참고문헌 = 58 도판 = 62 영문초록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332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현대미술에 나타난 신체표현 연구 : 신체미술과 비천함(abjection)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