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1 Download: 0

개별 음악치료를 통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언어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개별 음악치료를 통한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언어 향상에 관한 질적 연구
Authors
김영실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령전기 아동의 발달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것 중 한가지는 언어의 급속한 발전이다. 아동의 언어습득은 인지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아이들은 언어를 통해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며 타인과 상호작용하며, 역시 타인과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Cole, 1982). 이 시기에 언어가 발달함으로써 부모 이외에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기를 이루어 나가고 또래들과 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습득해 간다. 20개월에 약 50개의 단어를 말하던 것이 6세 경에 이르면 약 800개의 기본단어와 그와 관련된 변형단어(복수, 과거 시제 등)를 이해하는 것으로 발전한다(장휘숙, 1995). 이 시기가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라고 할 수 있는데 결국 이 시기에 지체된 언어 발달은 대인관계, 상호작용, 사회적응 등에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Journal of Music Therapy의 1998년 여름호에 소개되었던 "Effect of Social versus Musical Antecedents on Communication Responsiveness in Fi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igafoos, 1998)의 연구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음악치료가 학령전기 언어발달장애 아동의 언어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음악적 자극과 언어적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아동의 반응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음악치료는 주 2회, 6주 동안 총 12회, 각 30분씩 진행되었고, 만남 노래 - 의사소통 프로그램 진행 - 놀이 및 음악활동 - 헤어짐 노래의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언어로 지시하는 언어적 자극(VS: Verbal Stimuli)과 노래로 지시하는 음악적 자극(MS: Musical Stimuli)의 두 가지 형태로, 치료 처음 5분 동안 실시된다. 전체적인 실험 모델은 VS-MS-VS-MS의 반복설계(repeated design)로 언어적 자극이 6회, 음악적 자극이 6회 제시되어 총 12회가 실시되었다. 아동의 현 상태 진단과 음악치료 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hild Autism Rating Scale: CARS), 사회 성숙도 검사, 수용-표현 언어 검사를 위한 검사 도구인 유아의 수용-표현언어 발달 진단검사(Receptive-Expressive Emergent Language Scale: REEL)를 사용하였다. 또 아동의 반응성의 변화를 보기 위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인사하기 A(Greeting A), 인사하기 B(Greeting B), 사물이름 말하기 A(Naming A), 사물이름 말하기 B(Naming B), 치료사의 요구에 대한 아동의 반응(Request)의 5가지 자극으로 나누어서 언어적 자극과 음악적 자극에 대한 아동 반응의 유무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녹화된 모든 치료를 분석하여 언어에 있어서의 내용의 변화를 관찰, 분석하였다. 세 명의 아동 모두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는 낮아지고, 사회성숙도 검사의 사회연령과 사회지수가 증가, 수용-표현언어 검사 점수는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음악치료 후에 더 향상된 검사결과를 보였다. 의사소통 프로그램 결과 언어적 자극에 비해 음악적 자극에 대한 반응의 백분율이 더 높았고 결국 음악적 자극이 언어적 자극보다 더 많은 반응을 끌어낼 수 있었다. 아동의 언어 향상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사례 1아동은 /ㅅ/, /ㅈ/이 /ㄷ/으로 발음되는 문제에서 개선을 보였고, 사례 2아동은 음성을 모방하지 않고 아 , 어 의 짧은 단음절을 사용하였는데, 치료사의 음성을 모방하고 소리를 3초 이상 낼 수 있게 되었다. 사례 3아동은 자발적인 언어나 음성으로 의사표현을 전혀 하지 않았는데, 자신의 이름으로 소리즉흥을 하는 등 자발적인 표현이 나타났고 증가되었다. 결과적으로 음악치료를 통해 언어발달장애 아동들의 언어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 is the rapid enhancement of linguistic capabilities. According to Cole(1982), development of linguistic skills in children directly affects cognitive abilities, enables children to express their needs and interact with people,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others. At this period of development, linguistic development also allows children to form relationships with people outside of the direct family, and teaches social constructs through active play with peer groups. According to Chang(1995), an average child that understands approximately 50 words at 20 months, increases his/her vocabulary to over 800 basic words (not including variations such as plural, past tense etc.) by the age of six. This step in child development is a critical period for acquiring linguistic capabilities, and as a result, any delays within this time frame adversely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adjustment. This research develops on the research by Sigafoos(1998) as noted in "Effect of Social versus Musical Antecedents on Communication Responsiveness in Fi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appeared in the 1998 Journal of Music Therapy, by first, examining the effects of musical therapy on language and speech disorder preschool children and second, comparing a child s difference in reaction when offered both musical and verbal simulation. The music therapy course consisted of 30 minute, twice a week sessions, over a period of 6 weeks and included hello-songs, communication programs, play and musical activities and good-bye songs. The communication program consisted of both verbal and musical stimuli, and occupied the first five minutes of the therapy session. The entire research model was based on a repeated design methodology of VS-MS-VS-MS, constituting a total of six VS sessions and six MS session for a total of 12 sessions. To gauge differences of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course, a multitude of tests were utilized, including; the Child Autism Rating Scale: CARS, Social Maturity Scales: SMS, Receptive-Expressive Emergent Language Scale: REEL. In addition,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differences in child receptiveness to MS and VS, the communication program was further subdivided into greeting A, greeting B, naming A, naming B, and request The entire course was recorded for post session analysis of changes. All three children tested showed positive results in each of the standardized tests after the therapy course was completed. The research found that differences in receptiveness as a result of MS was greater than that attributable to VS. Qualitative analysis in case child 1, showed improvement in the mispronunciation of /s/ and /z, g/ as /d/, case child 2 who did not mimic the therapist s sounds and made short mono syllable sounds (retorts) was capable of mimicking the therapist s sounds and continuing sound for more than three seconds. Case child 3, who would not express voluntary sounds prior to treatment, actively participated in vocal improvisation. And other voluntary sound expression. In conclusion, music therapy positively affects linguistic capability of language or speech disorder preschool children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asur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