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정-
dc.creator김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2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to examine about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job types, high school students sex role identities, achievement motives and S.E.S.(parents educational level, monthly earning). Also, it was to examine about sex role identities, achievement motives and career-choosing according to sex. The subjects were 398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191 boys and 207 girls) living in Seoul, using the Bern s Short Form BSRI(Ina Choi, 1988), Achievement Motive questionnaire(Sungju Park, 1986), Pursuing major field(Minkyung Kim, 1995) and Pursuing job type(Heejung Kim, 1987).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milarity between fathers job types and their high school sons and daughters pursuing job types, but not with mothers . When fathers present jobs were male-dominated or sex-balanced, boys pursued the same job type with their fathers . And when fathers present jobs were sex-balanced, girls also pursued the same job type with their fathers . Second, sex role identities were not associa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pursuing careers. Third, achievement motives were associa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pursuing major field. It means that both boys and girls pursued the science department when their achievement motive levels are high. It also means that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the department of art-sports when their achievement motive levels are low. Also, achievement motives were associated with girls pursuing job types, not with boys . It indicates that boys mostly pursued male-dominated and sex-balanced job type regardless with achievement motive levels. But girls pursued sex-balanced job type in all achievement motive levels, and male-dominated job type when achievement motive levels are high and female-dominated job type if achievement motive levels are low. Forth, fathers educational levels were associa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pursuing major field, but mothers were just for girls. For boys, when their fathers graduated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they tended to pursue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when their fathers graduated high schools, they tended to pursue the science department. Girls tended to pursue the science department when their fathers graduated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Girls also tended to pursue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when their fathers graduated high schools. And they tended to pursue the science department when their mothers graduated universities and pursue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when their mothers graduated graduate schools or high schools. Besides, parents educational levels were associated with girls pursuing careers, but not with boys . Girls pursued male-dominated job type when their parents graduated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Fifth, monthly earning in family has associated with girls, but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boys. In upper-level income class, girls pursued three departments with similar rate, but in middle and lower-level class, they in both cases pursued the science department and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Many girls in upper-level class and middle class pursued male-dominated job type, and in lower-level class they pursued sex-balanced job type. Final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x role identities, achievement motives, and pursuing major field according to sex,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suing job types. Mostly boys pursued male-dominated and sex-balanced job type, but did not pursue female-dominated job type. Whereas, girls pursued three job types in proper rate. ; 본 연구는 부모의 직업 유형, 고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부모의 교육수준, 가정의 수입)에 따른 진로선택의 차이와 성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진로선택의 차이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191명의 남학생과 207명의 여학생, 총 398명으로서, 성역할 정체감은 Bem의 간략형 성역할 측정도구(Short Fonn BSRI)를, 성취동기는 박성주(1986)가 제작한 질문지를, 그리고 희망 전공계열과 희망 직업 유형은 각각 김민경(1995)과 김희정(1987)의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직업 유형에 따라, 아버지의 직업 유형과 고등학생 자녀의 희망 직업 유형 간에는 유사성이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직업 유형과 고등학생 자녀의 희망 직업 유형 간에는 유사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아버지가 남성적인 직업을 가진 경우와 성중립적인 직업을 가진 경우 남학생은 각각 그러한 직업을 더 많이 희망하였다. 또한, 아버지가 성중립적인 직업을 가진 경우 여학생 역시 그러한 직업을 더 많이 희망하였다. 둘째,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남녀 고등학생이 희망하는 전공계열 및 직업 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희망 전공계열은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녀 고등학생은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이과계열을, 성취동기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문과계열과 예체능계열을 더 많이 희망하였다. 또한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희망 직업 유형은 남학생과 달리 여학생의 경우에만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즉, 남학생은 남성적 직업과 성중립적 직업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으며, 여학생은 양 성취동기 수준에서 동일하게 성중립적 직업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남성적 직업을, 낮은 경우에는 여성적 직업을 희망하였다. 넷째, 아버지 교육수준에 따라 희망 전공계열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어머니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여학생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남학생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경우 문과계열을, 고등학교 졸업인 경우 이과계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여학생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경우 이과계열을, 고등학교 졸업인 경우 문과계열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인 경우 이과계열을, 고둥학교 졸업인 경우 문과계열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또한 아버지 교육수준에 따른 희망 직업 유형의 차이는 남학생에게는 유의적이 아니었지만, 여학생에게는 유의적이었고, 어머니 교육수준에 따른 희망 직업 유형의 차이 역시 여학생의 경우에만 유의적이었다. 즉, 여학생은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대학원 졸업 이상인 경우, 남성적 직업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다섯째, 가정의 수입에 따라 희망 전공계열과 희망 직업 유형은 남학생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여학생의 경우에는 유의적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상류층의 경우는 세 가지 계열을 비슷한 정도로 희망하였으며, 중류층과 하류층인 경우는 각각 이과계열과 문과계열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또한 상류층과 중류층은 남성적 직업을 하류층은 성중립적 직업을 가장 많이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진로선택의 성차는 성역할 정체감과 성취동기, 그리고 희망 전공계열에서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희망 직업 유형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남학생은 대부분 남성적인 직업과 성중립적인 직업을 희망하고 여성적 직업을 거의 희망하지 않는 반면, 여학생은 성중립적인 직업, 남성적 직업, 여성적 직업 순이지만 각 직업 유형을 어느 정도 비슷한 분포로 희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7 A. 진로선택의 개념 = 7 B. 진로선택의 관련변인 = 8 1. 부모의 직업 유형 = 8 2. 성역할 정체감 = 9 1) 성역할 정체감의 개념 = 9 2) 성역할 정체감과 진로선택 = 11 3. 성취동기 = 13 1) 성취동기의 개념 = 13 2) 성취동기와 진로선택 = 14 4.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 = 15 C.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진로선택의 성차 = 16 D.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 19 III. 연구 방법 = 21 A. 연구대상 = 21 B. 조사도구 = 24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 26 IV. 연구 결과 = 28 A. 부모의 직업 유형에 따른 진로선택 = 28 B.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진로선택 = 30 C.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진로선택 = 30 1.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희망 전공계열 = 30 2.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희망 직업 유형 = 31 D.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선택 = 32 1.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진로선택 = 32 2. 가정의 수입에 따른 진로선택 = 38 E.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진로선택의 성차 = 41 V. 논의 및 결론 = 43 참고문헌 = 52 부록 = 59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93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title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부모의 직업유형, 성역할 정체감, 성취동기 및 가정의사회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