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전자우편을 활용하는 영작문 방식이 영어 학습자의 영작문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전자우편을 활용하는 영작문 방식이 영어 학습자의 영작문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신홍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효과적인 영작문 지도를 위한 교사의 역할 중의 하나는 학생들이 처한 영작문 학습의 여건을 잘 살펴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자의 영작문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자 우편은 훌륭한 영작문 교육의 매체로 부상하여 교실내 의사 소통을 활성화시켜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킬 뿐 아니라 작문의 수정과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피드백을 신속하게 제시함으로써 영작문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 우편을 활용하는 방식을 우리 나라 고등학교 영작문 수업에 도입하여, 전자 우편을 활용하는 작문 방식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작문 능력 향상과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각각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나누어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된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14주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은 지필 방식으로 한 영작문을 전자 우편이라는 매체를 통해 전사하여 제출하는 방식으로 영작문 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지필 작문 방식의 영작문 활동을 실시하되 그 외의 학습 자료, 학습 활동, 학습 과제물 등은 모두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집단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자의 영작문 과제물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 우편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실험 이후 영작문 평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실험 이후에 영작문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제집단은 실험집단에 비해 작문의 모든 평가 기준에서 좀더 향상된 평가 점수를 받았는데 이는 전자 우편을 활용하는 영작문 방식이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작문 수준과 그들이 처한 입시 위주의 학습 상황으로 말미암아 기대만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오히려 기존의 지필 형식으로 영작문 하는 것이 학생들의 영작문 능력 향상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둘째, 실험 이후 영작문 태도 조사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작문 태도 변화에 대한 유의도 검증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영작문 활동과 영작문에 대한 감성적 태도 영역에서 좀더 향상된 태도 점수를 받음으로써 전자 우편이 영작문 학습에서 학습자의 영작문 태도를 개선시키는 데 유용한 학습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는 전자 우편 활용을 계속한다면 학생들의 영작 능력 향상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전자 우편을 활용한 상·하위 실험집단은 동일한 수준의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 이후 영작문 능력 평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상위 실험집단은 동일한 수준의 통제집단에 비해 내용 면을 제외한 모든 작문 기준에서 좀더 향상된 평가 점수를 받음으로써 전자 우편을 활용하는 영작문 방식이 상위 집단의 영작문 능력 향상에 더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 이후 영작문 태도 조사에서 상·하위 실험집단은 동일한 수준의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 실험집단이 작문 활동과 영작문에 대한 감성적 태도 영역에서 동일한 수준의 통제집단에 비해 좀더 향상된 태도 점수를 보이고 있어 전자 우편을 활용하는 영작문 방식이 하위 집단의 영작문에 대한 감정적인 태도 개선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영작문 과제물에 사용된 총 단어 수와 과제물 평가 점수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 통제집단의 작문이 길이가 더 긴 반면에, 실험집단이 구성, 표현의 정확성 부분에서 유의하게 더 우수한 평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집단간 영작 과제물에 나타난 작문 발달 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자 우편을 활용하는 작문 방식으로 완성한 과제물은 과제물 횟수를 거듭할수록 효과적으로 단락을 구성하는 능력, 다양한 표현을 간결하고 정확하게 쓰는 능력 등이 점차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반면 통제집단의 과제물에서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막힘이 없이 써 내려가는 능력이 향상되어 감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외에도 실험집단의 영작문 과제물에서는 전자 우편 사용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독특한 언어 사용이 발견되었다. 다섯째, 학생과의 면담을 분석한 결과 전자 우편을 활용한 학생들은 영작문 학습이 전자 우편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교사와의 의사 소통을 활성화시키며, 과제물 제출이 용이하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자 우편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들도 면담 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갖는 기계 사용에 대한 거부감, 컴퓨터를 개인적으로 소유하고 있지 않은 데 기인한 여러 가지 불편과 제약, 그리고 대학 입시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 등이 전자 우편 활용의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여 학생들의 전자 우편을 활용하는 영작문 학습에 적지 않은 제약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컴퓨터 사용에 충분히 익숙해 있지 않고, 컴퓨터 사용이 자유롭지 않은 우리 나라 중·고등학교 현실에서는 전자 우편 활용이 단기간에 가시적으로 영작문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세계가 날로 정보화되어가고 우리나라에서도 컴퓨터 보급이 점점 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학생들 또한 전자 우편을 통한 영작 활동에 흥미를 나타낸 점들을 고려해볼 때, 앞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서 전자 우편 활동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고 이와 관련된 연구들도 다양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One of the teachers roles in teaching English composition is to induc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to find out the ways to improve students composition skills by considering their learning environment. E-mail has become the efficient medium for improving both learning English composition and students with writing skills, by induc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rough the activated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s, by promoting collaborative learning, by revising the writing more easily, and by providing students faster feedback.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writing mode using e-mail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composition ability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 English composition. Over a fourteen-week perio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second year girls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wrote, handed in their compositions via e-mail and also received the feedback on e-mail, while the control group wrote to the teacher using paper and pencil. The two groups were provided with the same learning materials and same writing assignments under the same teaching plan. After finishing the experiment, the post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The writing assignments from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First, 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e-mail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in the mean scores on the post-writing composition tes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writing ability. Second, 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in the mean scores in the post attitude survey,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writing attitude. Third, the upper-and lower-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in the post-writing composition test from the corresponding levels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upper-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moderately higher than the same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 all the criteria except for the content. On the other hand, although in the mean scores in the post-survey on the attitude change, the upper-and lower-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rresponding levels of the control group, the lower-level experimental students produced moderately higher mean scores in the emotional attitude than the same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Fourth,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number of words used and the test scores of the writing assignm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s that the control group wrote longer a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duced higher scores in organization and expressive accuracy. On the other hand,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in the two groups writing abilities, the control group expressed more freely about their feelings and ideas on the topic whereas the e-mail assignment improves students abilities focusing on paragraphing, concise language usage with accuracy. Some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the e-mail text were also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s assignment. Fifth, the interview with the students revealed that they were more motivated in the composition class using e-mail by th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teacher, the easiness in submitting the assignments, and by the efficient feedback from the teacher. However, some students expressed unwillingness and problems with the e-mail mode as they were restricted in the time and location in using e-mail and as they were distressed by studying for college entrance exam. In conclusion, the e-mail writing modes effect on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was not fulfilled due to the lack of the composition class in Korean high schools and the lack of the environment where one can freely use e-mail. However, with the improvement in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the e-mail writing mode will show more positive impacts on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their attitude. Thus,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ngitudinal study of the e-mail writing mode on Korean students who have already taken English composition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