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소영-
dc.creator윤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47-
dc.description.abstract1980년대 이후,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 학습 과정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면서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것은 기존의 표준화된 선다형 평가 방식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 정도와 학습 진전 과정을 보여주는 것보다는 객관성에 힘입어 학습자들을 상대적인 비교에 의한 서열화로 지나치게 몰아가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시작되었다. 아울러 수행평가가 학습자 개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보다 명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진전 과정을 알아볼 수 있는 대안적인 평가 방법이라는 인식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또한 2000년도부터 시행되는 제 7 차 수준별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 단계를 구분 짓고 심화와 보충 과정을 분리하기 위해 평가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습자 주도적 평가 등을 포함한 수행평가가 활용될 예정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수행평가의 정확한 개념 이해에서부터 실제적인 적용 방안까지 올바른 인식이 확립되지 않아 수행평가 실행의 타당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따라서 현장 교육에 적용 가능한 수행평가 도구 및 채점 기준의 개발과 이에 관한 실험 연구들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영어과에서의 수행평가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보기 위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행평가 도구 및 채점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적용 실험을 통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비롯한 평가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 그 효과와 문제점을 밝혀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험 연구로서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고, 실험 집단에게만 4번에 걸친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행평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실험 시작 전과 후에 영어 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의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연구 결과 및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된 수행평가 도구 및 채점 기준들은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4개의 수행평가 도구 모두는 내용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 내용과 평가 방법이 다른 기존의 학업 성취도 검사와의 공인 타당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점 결과에서도 만족할 만한 수준의 채점자간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수행평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시작 전·후에 실시한 학습 태도 검사 설문지 분석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유의한 향상도를 보이지는 않았고 오히려 조금씩 부정적으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통제 집단에 비하여 실험 집단의 점수 변화의 폭이 작았으며, 이는 수행평가의 영향으로 학습 태도가 덜 부정적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실험에 참여한 교사와 학습자들의 면담 결과, 이들은 모두 수행평가 실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학습자들은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과제를 수행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평가의 계속적인 실시를 희망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 교육 현장에서는 수행평가의 전면적인 실시에 앞서 타당한 수행평가 도구 개발 및 제작을 위하여 행정적, 재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사와 학습자, 학부모 모두가 새로운 평가 방법에 대하여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할 수 있을 때에만 더욱 효율적인 평가 방법으로 자리잡을 수 있으며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과제 중심의 수행평가 외에도 여러 가지 수행평가 방법들에 대한 실험 연구가 필요하며, 정의적 영역 외에도 인지적 영역에 대한 수행평가의 효과를 검증해 보는 후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As with other educational shifts in the 80 s, student assessment is undergoing a profound transformation. Students assessments have been in demand to serve a wide range of evaluation purposes; to focus on documenting individual student progress/achievement over time; to provide process and product information that is useful to students and teachers; to emphasize students strengths rather than weaknesses; to suppor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is alternative approach to assessing student progress has occurred as a result of criticisms of traditional standardized tests. The dissatisfaction primarily stems from the purpose of traditional norm-referenced achievement tests which have been used to sort and rank students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in terms of achievement. Moreover, a major shortcoming of traditional pencil-and-paper tests has been their inablility to predict how well students perform in relation to real-life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formance assessment and scoring criteria as an alternative for middle school English and investigate its validity, reliability and practicality, as well as its effect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For this study, it is neccesary to first define the term performance assessment and examine its main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broad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rea, four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nd their scoring criteria were designed for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urveyed for their learning attitude both before and after the four performance assessments. Six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o teachers were also interviewed after the experiment. The main results and indicator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ur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had high content validity from twelve content specialists, but the concurrent validity was relatively low since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chool s own achievement tests. Second, the scorer reliability was high due to strict scorer training. Therefore scorer training is a positive aid to ensure scoring outcomes are consistent. Third, implement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s did not improve existing learning attitude or performance in the school s own achievement test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less negative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performance assessment contributes to maintain their existing learning attitude. Forth,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post-experiment interview expressed highly their positive opinions on performance assessment and wanted to continue using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and operate performance assessments more effectively, school authorities should support teachers financially and institutionally including reducing work load in areas outwith teaching and research. Moreover, i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share a greater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ry to operate it properly together, its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 can be maximized. Based on this study,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various alternative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other than task-based performance assess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ⅶ I. 서 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A. 현대 영어 교육 평가의 이론과 지향점 = 3 B. 수행평가의 개념 = 9 C. 선행 연구 = 24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31 A. 연구 주제 = 31 B. 연구 대상 = 31 C.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 기준 = 32 D. 연구 자료 개발 = 48 E. 연구 절차 = 52 F. 연구의 제한점 = 60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61 A. 수행평가 과제의 타당성 분석 = 61 B. 수행평가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72 C. 영어 학습 태도에 관한 설문지 결과 분석 = 73 D. 학습자의 반응 및 면담 결과 분석 = 81 E. 교사 면담의 결과 분석 = 86 V. 결 론 = 89 참고 문헌 = 93 부 록 = 102 영문 초록 =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646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영어과에서 수행평가와 채점 기준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