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정서-
dc.creator손정서-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46-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의사 소통에 가장 필수적인 어휘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문맥을 고려하여 어휘의 의미를 유추해 보는 어휘 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영어 교실 현장에서 의미 있는 충분한 문맥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워 어휘 학습의 효과를 크게 거두지 못하여 문맥을 통한 어휘 학습 방법의 실효성에 대하여 의문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외국에서는 종전에 어휘 학습의 보조적 역할을 하던 시청각적 기자재의 본격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유의적인 문맥과 시각적 이미지를 동시에 제공하여 시청각적 문맥 안에서 자연스럽게 어휘를 접할 수 있게 하는 비디오를 통한 어휘 지도에 대한 실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시청각적 기자재를 활용한 어휘 수업에 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 영어 교실에서 쉽게 이용이 가능한 비디오를 활용한 어휘 지도가 중학교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중학교 2학년 15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 대상은 어휘 능력에 차이가 없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어휘 지도를 위해 실험 집단에게는 비디오 화면을 활용하고 통제 집단에게는 비디오 대본을 사용하여 5주간의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습 자료 제시 방법 이외에 학습 자료의 내용과 실험 어휘의 노출 횟수 및 수업 시간 등은 모두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화면을 활용한 어휘 지도가 비디오 대본을 제시한 어휘 지도보다 학습자의 어휘 학습과 어휘 기억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학교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효과적인 비디오를 활용한 어휘 지도가 영어 수업에 병행될 것을 적극 권장한다. 둘째, 실험 집단에서 사용된 지도 방법이 중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의 어휘 능력 신장에 크게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비디오를 활용한 어휘 지도가 영어 독해 능력이 부족한 중학교 학습자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 영어 교과 과정에 부합하는 비디오를 어휘 수업에 도입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자료의 구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비디오를 통한 어휘 학습에서와 같이 어휘가 문자로 제시되지 않더라도 의사 소통의 상황 속에서 반복하여 어휘를 접한다면 의미 있는 어휘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 영어 학습자들에게 문자화된 교과서를 벗어나 모국어 화자들의 행동과 대화를 보고들을 수 있는 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다양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비디오를 활용한 어휘 지도 등에 대한 연구가 더 요구되며, 비디오를 어휘 지도에 활용하기 위한 자료와 방법을 구체화하는 일이 필요하다. 또한, 비디오를 우리 나라 영어 교실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영어 교과 과정과 연계한 어휘 수업 자료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learning of vocabulary has become a focus of language learning since communicative competence became the goal of English teaching. Nowadays it is advisable to make the shift away from learning words with their translation and to rely on second language context as soon as possible. The vocabulary learning in context has not always received experimental support, however, nor is it commonly shared by second language learners. Some researchers, therefore, have turned to video technology, because it could make the vocabulary learning experiences more like those that occur in the real world and it could give the learners the meaningful context in which the words are used. Unfortunately,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use of video context for vocabulary learning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video context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vocabulary watching the video, and the control group learned vocabulary reading the video scripts. The video materials were selected from three animations, ‘Pocahontas’, ‘Beauty and the Beast’, ‘Jungle Book’, and a movie, ‘the Sound of Music’. Both groups were equivalent with English vocabulary ability. And the content of video material and leaning time for the two groups were identical. Twenty-five English words were chosen from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s the target words of instruction. The entire experiment consisted of seven sessions. In the first session, a pretest was administered to obtain some indication of the subjects prior knowledge and to constitute a list of target words unknown to the subjects taking part in the experiment. The main experiment consisted of the next five sessions. In each session, the subjects went through their given experimental treatment, learning five English words. About thirty-five minutes were given to each subject regardless of their experimental treatment. In every class session an immediate test was provided before additional exposure to the target words could occur in the review sessions. Two days after the fifth session a postponed test was given to check the long-term effect of the experiment on the learning of the vocabulary covered throughout the study. In the pretest and the postponed test the subjects received a sheet with English words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immediate test the subjects received five sentences in which the target words were replaced by a blank. Subjects were instructed to fill the blank with a single English word. After the five-week long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postponed vocabular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immediate tes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the first session. But the results from the other four immediate tes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test strongly suggest that learning vocabulary through watching video is more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and long-term retention of vocabulary meanings than learning vocabulary through reading. Secondly, all the vocabulary proficiency-level groups were affected by the methods of vocabulary learning. Especially, the mid-level students and the low-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 in the immediate and the postponed test. In sum, the present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eaching vocabulary through video context can be successfully used for enhanci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ability.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in video context on the development of the advanced students vocabulary ability.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ossibility of relating the video materials with the middle school English curriculum to improve Korean students vocabulary 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ⅷ Ⅰ. 서 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어휘 학습 이론 및 어휘 지도 방법 = 3 B. 문맥(context)을 통한 어휘 학습 = 8 C. 비디오 문맥을 통한 어휘 학습 = 12 D. 선행 연구 = 18 Ⅲ. 연구 방법 = 24 A. 실험 대상 = 24 B. 실험 자료 = 24 C. 실험 절차 = 27 D. 연구 문제 = 33 E. 연구의 제한점 = 3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5 A.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어휘 학습 효과 비교 = 35 B.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학습한 어휘에 대한 기억도 비교 = 38 C.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어휘 능력에 따른 어휘 지도 방법의 효과 비교 = 40 Ⅴ. 결 론 = 60 참 고 문 헌 = 63 부 록 = 72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707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비디오를 활용한 어휘 지도가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중학생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