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희수-
dc.creator유희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44-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학습자 중심의 교육 경향에 따라 독해 전략과 인지 양식이 학습자의 의사 소통 능력과 자율적 학습 능력을 배양하고 학습의 개인차를 줄이는 데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외국어 교육 분야의 주요 연구 과제로 떠올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중학생들의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훑어읽기(skimming)와 특정 정보 검색(scanning)독해 전략을 지도하고, 독해 전략 훈련이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독립성―장의존성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인지 양식과 독해 전략 훈련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독해력 향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N중학교 2학년 159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독해 전략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은 통제반 1학급(36명)과 실험반은 특정 정보 검색반 2학급(78명)과 훑어읽기반 2학급(75명)으로 나누었다. 독해 전략 훈련은 중학교 1학년 영어 8종 교과서의 읽기 부분을 사용하여 10주간 정규 수업 시간에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도구로는 일반 독해 능력 평가지, 특정 정보 검색/훑어읽기 전략형 독해 능력 평가지, 독해 전략 사용에 관한 설문지, 도형 잠입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독해 전략 훈련 과정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험반에 한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 능력 평가에서 실험반만이 유의한 점수 차이를 보여, 독해 전략 훈련은 독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정 유형의 전략 훈련이 다른 유형의 전략 훈련보다 독해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지를 입증하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독해 전략 훈련 기간이 짧았고, 독해 전략 훈련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독해 전략 훈련은 전략 유형별 독해 평가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라는 가설은 훑어읽기반만이 유의한 점수 차이를 보임으로써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는 하향 과정인 훑어읽기 전략 훈련이 상향 과정인 특정 정보 검색 전략 훈련보다 독해 능력 향상에 더 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전략 사용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 독해 전략 훈련은 독해 전략 사용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정보 검색반은 특정 정보 검색 전략 사용에서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나, 훑어읽기반은 훑어읽기 전략 사용이 줄었다. 따라서 훑어읽기반 학생들의 일반 독해 평가 점수 향상이 다른 집단에 비해 더 높았지만, 설문 조사에서 자신의 전략 사용을 잘 표현하지 못하였거나, 전체 내용을 파악하여야 하는 훑어읽기 전략이 초급 학습자에게 다소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인지 양식에 따른 전략 훈련의 효과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장의존형은 교사의 전략 사용 요구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독해 전략의 특성과 잘 부합되는 인지 양식을 가진 학습자의 독해력 향상도가 가장 낮았다. 이는 자신의 인지 양식과 맞지 않아서 잘 사용하지 않던 독해 전략을 훈련받은 학습자가 보다 다양한 독해 전략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독해 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독해 전략 훈련을 통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독해 전략 사용을 촉진할 때 보다 큰 독해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훈련받은 독해 전략의 유형에 따라 특정 정보 검색반에서는 장독립자의 수가, 훑어읽기반에서는 장의존자의 수가 증가되었고 이는 훈련받은 독해 전략의 특성과 부합되는 성향으로 학습자가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험 대상들은 독해 전략 훈련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식하였고 영어 독해 속도와 이해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독해 전략 훈련이 학생들의 흥미 유발에는 별로 효과가 없었다. 독해 전략 훈련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모르는 단어가 많아서라고 한 응답자가 가장 많아서 어휘력의 부족이 독해에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 영어 학습자들이 좀더 능률적이고 우수한 독해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에게 전략 훈련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인식시키고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영어 교사는 전략 훈련으로 인하여 학습자의 인지 양식이 변화할 수 있으며 전략 훈련의 효과가 인지 양식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으므로, 영어 교사는 학생들 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독해 전략을 개발하여 교실 수업에서 사용하고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본다. 또한 독해력의 향상을 위하여 어휘력 향상을 위한 전략 훈련도 필요하다고 본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략 훈련 효과에 대하여 좀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전략 훈련 기간을 늘리고 효과적으로 동기를 유발하여 전략의 유형에 따른 독해력 향상의 유의한 차이가 입증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전략 훈련이 인지 양식에 미치는 변화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좀 더 필요하다고 본다. ; Recent research on second language reading has focused on the role of students reading strategies and their cognitive styles. It is recognized that teaching reading strategies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build students autonomy. However, they cannot be taught properly without considering students cognitive style, which bring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language competence. Even though English teachers might admi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ading strategies, students seldom receive reading strategy training in their classroom. Besides,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raining of the reading strategies for Korean EFL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ies training and learners field-independence cognitive style on reading comprehension in English. Scanning is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specific piece of information and skimming is the process of reading to get the gist, outline or main idea of a piece of writing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lso the mode of perception which is strongly dominated by the prevailing field is designated ‘field-dependance’ and ‘field independence’ means the cognitive style perceiving items as more or less separate from the surrounding field.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field independent students are advantageous to scanning, as field dependent students to skimming. On the basis of this assumptio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scanning/skimming and field independency/field-dependency wa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s was assigned to a scanning group and a skimming group.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real classroom. For ten weeks the scanning group received scanning training and the skimming group received skimming training, but the control group had a reading lesson by using the grammar translation teaching method. For the research purpose, the subjects took two reading comprehension tests and two questionnaires and a group embedded figures test before and after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s consisted of general reading proficiency tests and scanning/skimming tests. One of the questionnaires asks the students use of reading strategies and the other one, their attitudes and responses about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cours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of reading strategies improved the experimental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canning and skimming training has an effect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improvement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use of strategie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It is assumed that the hypothesis was not proved because of the short period of training and the lack of motivation. Second, it was not verified that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 of cognitive style on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y training.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field-dependents seem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to the training course than the field-independents because of their cognitive style which is well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learners cognitive style can be changed into the advantageous on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strategies for which they have been trained. Finally, even though the learners perceived the necessity and effect of reading strategy they did not show any enhancement on their motives for the training course itself and for the learning of English. The lack of vocabulary was shown as the major problem prohibiting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ing reading strategies such as scanning and skimming in the classroom is desirable to make students reading activity more effective. So, it is required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teach more reading strategies appropriate to learners cognitive styles and offer the chances to practice them in the classroom.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facilitat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s for teachers to inform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ading strategies to the students and to encourage students to practice them.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y training,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between reading strategies and between the cognitive styles 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ⅶ Ⅰ. 서 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독해 정의 및 과정 = 3 B. 독해 전략 = 5 C. 장독립성과 장의존성 = 10 D. 선행 연구 = 13 Ⅲ. 연구방법 = 21 A. 실험 대상 = 21 B. 실험 자료 = 21 C. 실험 절차 = 27 D. 연구 가설 = 33 E. 연구의 제한점 = 3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4 A. 독해 전략 훈련 후 독해 능력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 34 B. 독해 전략 훈련 후 전략 유형별 독해 능력 평가와 독해 전략 사용에 대한 유의도 검증 = 36 C. 학습자의 장독립성과 장의존성에 따른 독해 전략 훈련 효과의 차이에 대한 유의도 검증 = 39 D. 훈련 과정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 46 Ⅴ. 결 론 = 53 참 고 문 헌 = 56 부 록 = 66 영 문 초 록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260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훑어읽기와 특정 정보 검색 전략 훈련 및 학습자의 장독립성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