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실-
dc.creator박은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9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19-
dc.description.abstractAlthough various reforms and innovations are trying for school change, the school in structural perspectives cannot change the beliefs, values, and basic assumptions of the school members. This study was assumed that if these beliefs, values, and basic assumptions of the school members do not change, the practices of education cannot change.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possibility of school-based management by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for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through cultural perspectives that consider values, beliefs, basic assumptions shared by the school member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ning, understanding, values, beliefs, and basic assumptions that the school members share. It also investigated that how the school members interpret the meaning and the practices of school-based management, so it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for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This study used qualitative case study. Two schools were chosen according to establishment pattern, location, and the history of school council oper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ethnographic interviews, and document. and cultural themes were found through clustering patter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criterions for analysis were weakness and strength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and the six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process oriented vs. result oriented, employee oriented vs. job oriented, parochial norms vs. professional norms, open system vs. closed system, loose control vs. tight control, and normative response vs. pragmatic respons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chool-based management, the seven factors of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empowerment and participation, knowledge and skills, information, rewards, instructional guidance mechanism, leadership, and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chool members share unique symbols, languages, stories, heroes, rituals and ceremonies according to each school and share unique values, beliefs, and basic assumptions through those. In the weakness and strength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the two schools have strong community culture which is characterized as commitment, we-ness, trust, particularism, and collegiality. In th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the results of the two schools were the same in the dimensions of result oriented, professional norms, tight control, and pragmatic response. However, the results were different in the dimensions of human oriented vs. process oriented and open system vs. closed system. In the dimension of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chool-based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two schools were different, but there were common factors such as empowerment and participation. knowledge and skills, information, rewards, instructional guidance mechanism, leadership, and resources which are the factors of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and school-based management, strong community culture increases the factors of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and school-based management, the result oriented dimension affects the change of government structure, the role change of members, and the change of leadership and increases the factors of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The professional norms and tight control dimensions affect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by utilizing knowledge, skills, and information, having instructional guidance mechanism, and guarantee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d of decision-making. The dimension of pragmatic response makes the basic purpose of school-based management which is corresponding to consumers realize by empowerment and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and increasing rewards for the result and positive uses of resources. Among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family oriented culture, medium power distance, collectivism, and long-term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However, weak uncertainty avoidance which is different from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positively affects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Masculinity and femininity positively affect school-based management with other dimensions such as open system and human oriented. The study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and school-based management found several cultural themes of uniqueness, result oriented, and development orien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the schools try to make and maintain the strong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for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Second, the schools try to make and mainta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imensions of result oriented, professional norms, tight control, and pragmatic response. Third, the schools try to match the dimensions of open system vs. closed system and employee oriented vs. job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o the character of school organization. Fourth, the schools try to make and maintain the culture of small power distance and weak uncertainty avoidance for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has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and school-based management and to find out the meaning and practice strategy of school-base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uniquen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support opportunities for the symbolic and cultural leadership development of principals. Thir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instructional goals are realized or not through the change of school-based management and to develop the professional teach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make the resources of time, energy, and money and to use them effectively. In the following study, it is needed to consider various school variables and the process of the change by examining the systemic leadership of the schools. ; 본 연구는 학교조직 구성원들의 신념, 가치, 근본 가정이 변하지 않으면 학교 교육의 실제가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 신념, 근본 가정 등에 관심을 두고 효율적 단위학교 운영을 위한 학교 조직문화를 질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학교조직 구성원들이 어떠한 학교 조직문화를 공유하고 있는가, 둘째 학교조직 구성원들이 단위학교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의미와 이해를 공유하며 실제에서 단위학교 운영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셋째 효율적인 단위학교 운영의 정착에 어떠한 학교 조직문화의 특성이 어떠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로 수행되었다. 학교의 설립 유형, 학교 소재지,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연한에 따라 두 학교를 선정하였고 참여 관찰, 심층 면접, 문서 수집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로부터 학교 조직문화의 강도, 과정 지향/결과 지향, 인간 지향/과업 지향, 지방적 기준/전문적 기준, 개방적 체제/폐쇄적 체제, 느슨한 통제/엄격한 통제, 규범적 대응/실용적 대응의 조직문화 차원, 단위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과 실제, 효율적 단위학교 운영 요소인 권한공유와 참여, 지식과 기술, 정보, 보상, 교수에 대한 비전, 지도력, 자원을 주요 분석 준거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조직 구성원들은 학교에 따라 독특한 상징물, 언어, 이야기, 영웅, 의례와 의식을 공유하고 가치, 신념, 근본 가정을 공유한다. 두레 중학교(가칭)는 건물과 나무로 인해 숲 속의 긴 학교 라는 상징을 공유하고 어렵지만 순수한 아이들 이라는 언어를 공유한다. 두레중학교 구성원들은 전임 학교장의 이야기, 새롭게 시도한 교육 활동, 학생지도 과정에서 일어났던 교사간의 갈등에 관한 이야기를 공유한다. 학업지도나 생활지도 등 여러 면에서 열심히 하는 교사를 인정하고, 다른 친구들을 위할 줄 아는 학생을 인정한다. 축제를 통해 가치를 공유하고 생명력 있고 온순한 조직, 배려하며 시도하는 사람들, 열정적이고 권위적이지 않은 지도자라는 인식을 공유한다. 두레중학교에서는 사랑, 배려, 헌신의 가치가 존중되고 "좋은 학교를 함께 만들어 간다"는 신념을 공유한다. 이는 조직과 사람을 긍정적으로 보는 McGregor의 Y이론적 근본 가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백두 (가칭)중학교 구성원들은 사자 로고와 목련의 깨끗함을 학교의 상징으로 인식하고 의식개혁 운동의 슬로건인 3행(行) 3무(無) 를 공통적인 언어로 공유한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백두중학교에는 선배들의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백두중학교에서는 실력 있고 배려하는 교사, 의리 있는 학생이 인정되며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상의 명칭, 축제 등의 다양한 의례와 의식을 통해 조직문화를 공유한다. 백두중학교는 강인하고 진취적인 조직, 실력 있고 청렴한 사람들, 부지런하고 꼼꼼한 지도자라는 인식을 공유한다. 백두중학교에서 존중되는 가치는 최고, 의리, 정직, 전통의 현대적 발전 가치이며 "선구자적 학교를 만들어 간다"는 신념을 공유한다. 백두중학교도 Y이론적 근본 가정을 취한다. 이와 같이 두 학교의 구성원들은 학교조직에 따라 각기 독특한 상징물, 언어, 이야기, 영웅, 의례와 의식, 가치, 신념을 공유하고 있다. 학교 조직문화의 강도에서 보면 두 학교는 모두 헌신, 우리 의식, 신뢰, 특수성, 동료성을 특징으로 하는 강한 공동체적 문화를 지니고 있다. 두 학교의 조직 구성원들은 우리 의식으로 결속되고 서로를 신뢰한다. 구성원들은 서로를 인격적으로 동등하게 대우하며 각자가 처한 상황을 존중하는 특수성을 강조한다. 가치와 신념의 공유를 통해 학교조직 구성원들은 바람직한 가치와 신념에 최대한 헌신하며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협동한다. 두레중학교의 경우 구성원들간에 서로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개선을 위해 협동하는 동료성이 강하게 나타났고 백두중학교는 긴 역사와 전통, 의식개혁의 결과로 우리 의식과 신뢰가 강하게 나타났다. 학교 조직문화 차원은 두 학교에서 결과 지향, 전문적 기준, 엄격한 통제, 실용적 대응의 차원은 같게 나타났고 인간 지향/과업 지향, 개방적 체제/폐쇄적 체제의 차원은 달리 나타났다. 두 학교 모두 위험을 감수하면서 새로운 교육 활동을 시도하는 결과 지향, 조직 내 기준보다는 국가 및 국제 수준의 기준을 적용하여 정체성을 찾는 전문적 기준, 비용과 시간, 행동 등에 엄격한 제한을 가하는 엄격한 통제, 규범의 일률적 적용이 아니라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실용적 대응 차원의 학교 조직문화를 지니고 있다. 두레중학교의 경우 인간 지향 차원과 개방적 체제 차원을 보인 반면 백두중학교는 과업 지향 차원과 폐쇄적 체제 차원을 보였다. 단위학교 운영에 대한 의미 공유와 실제를 살펴본 결과 학교조직에 따라 단위학교 운영에 대한 이해와 구체적인 실천이 달리 나타났으며 효율적인 단위학교 운영의 결과도 달리 나타났다. 두레중학교 학교운영위원회는 민주적인 의사결정과 협력을 위해 학교 운영 전반에 걸친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학교 자치 기구이다. 두레중학교에서는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광범위하게 의사결정에 관여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교사, 학부모, 지역 인사 등 학교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권한이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백두중학교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 운영에 관한 자문 기구로서 학교조직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사안의 처리 시에 거쳐야 하는 공식적인 통로의 기능을 한다. 백두중학교 조직 구성원들은 학교운영위원회 외에 다른 기구나 홈페이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며 의사결정에 참여한다. 백두중학교에서는 구성원들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전문 영역별로 권한을 분산하며 영역별로 참여한다. 두 학교 의 구성원들은 학교운영위원회 회의의 진행 방식, 결정 사항의 시행력, 성과 측면에서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한 단위학교 운영이 효율적으로 운영된다고 인식하며 두 학교에서 모두 권한공유와 참여, 지식과 기술, 정보, 보상, 교수에 대한 비전, 지도력, 자원의 효율적인 단위학교 운영 요소가 발견되었다. 두레중학교는 단위학교 운영의 결과로 학교 조직 구성원들의 효능감이 높아졌으며 백두중학교에서는 구성원들의 만족이 증진되었다. 두레중학교 구성원들은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한 단위학교 운영 실시 과정에서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함께 힘든 일을 해냈다"라는 인식을 공유한다. 어려운 여건에 있는 학교를 함께 발전시켜야 한다는 두레중학교의 공동체적 문화가 두레중학교의 문제를 스스로 결정하고 협력하여 해결해 나가는 단위학교 운영을 효율적으로 정착시키는 데에 영향을 주고 있다. 백두중학교 구성원들은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한 단위학교 운영의 시행 시기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남들이 하지 않는 큰 일을 해냈다"는 인식, "각자가 맡은 일을 잘 하고 있다"는 인식을 공유한다. 백두중학교 구성원들에게 공유되는 우리 의식과 신뢰는 선구자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며 믿고 위임하는 단위학교 운영을 정착시키는 데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이 두 학교의 경우에서 강한 공동체적 학교 조직문화는 효율적인 단위학교 운영의 실제를 이끄는 데에 영향을 준다. 학교 조직문화 차원에서 보면 새로운 변화와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고 위험을 감수하며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는 결과 지향 차원의 학교 조직문화가 권한공유와 참여, 지도력, 보상의 효율적 단위학교 운영 요소를 증진시키고 단위학교 운영으로 인한 통치 구조의 변화, 구성원들의 역할 변화, 지도력의 변화를 촉진하는 데에 영향을 준다. 전문적 기준과 엄격한 통제의 차원은 지식과 기술, 정보를 활용하게 하고 교수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갖게 함으로써 교수 및 의사결정의 질을 보장하여 단위학교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영향을 준다. 실용적 대응의 차원은 학교 관련자들의 권한공유와 의사결정에의 참여를 높이고 결과에 대한 보상과 자원의 적극적 활용을 증진함으로써 수요자 요구에 부응하는 단위학교 운영의 근본 취지를 실현하게 한다. 두레중학교의 개방적 체제 차원, 인간 지향 차원은 두레중학교가 처한 환경의 특수성에 적절히 부합되어 단위학교 운영에서 구성원들의 소외를 방지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백두중학교의 폐쇄적 체제 차원, 과업 지향 차원도 사립 학교라는 백두중학교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구성원들의 합의를 도출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가져오게 하는 데에 영향을 준다. 한국문화의 전형적 특징 중에서 가(家) 중심의 문화, 권력거리의 크기가 중간인 면, 집단주의, 장기 지향 차원은 권한의 공유와 참여를 강조하는 단위학교 운영의 정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준다. 반면 불확실성의 회피 경향은 전형적인 한국문화의 특징과 반대로 불확실성의 회피 경향이 덜한 학교조직에서 여러 측면의 변화를 가져오는 단위학교 운영이 효율적으로 실시된다. 여성성/남성성 차원은 개방성, 인간 지향과 같은 다른 차원과의 조합으로 학교조직에 따라 긍정적으로 영향을 준다. 학교 조직문화와 단위학교 운영에 관한 연구에서 "우리 학교는 다른 학교와 다르다"는 독특성, "힘든 일, 큰 일을 해냈다"는 결과 지향, "더 나아지고 있다"는 발전 지향의 문화적 주제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적 단위학교 운영을 위해서는 강한 학교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야 한다. 둘째 효율적인 단위학교 운영을 위해서는 결과 지향, 전문적 기준, 엄격한 통제, 실용적 대응 차원의 학교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야 한다. 셋째 효율적 단위학교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조직의 특성에 따라 개방적 체제/폐쇄적 체제 차원, 인간 지향/과업 지향 차원이 적절히 조합된 학교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조직문화에 영향을 주는 한국문화의 특성 중에서 권력거리의 크기가 적고 불확실성의 회피 경향이 덜한 학교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하여야 효율적인 단위학교 운영을 정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학교 운영 정착 가능성에 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조직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와 단위학교 운영의 독특성을 고려하여 조직 나름의 단위학교 운영 의미와 실천 전략을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장의 상징적·문화적 지도력을 개발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지원하여야 한다. 셋째 단위학교 운영을 통한 변화로 교수 목표가 실현되고 있는 지를 검토하여야 하며 교수의 전문화를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넷째 시간, 에너지, 기금 등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조성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도력의 변화로 인한 문화 및 단위학교 운영 실제의 변화 과정을 검토하며 다양한 학교 변인을 고려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 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내용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학교의 변화에 대한 문화적 관점 ------------------------------------ 7 1. 구조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 ---------------------------------------- 9 2. 문화적 관점의 필요성 --------------------------------------------- 14 B. 학교 조직문화 ----------------------------------------------------- 20 1. 학교 조직문화의 정의 --------------------------------------------- 20 2. 학교 조직문화의 수준 --------------------------------------------- 23 3. 학교 조직문화의 비교 --------------------------------------------- 25 C. 단위학교 운영 ----------------------------------------------------- 31 1. 단위학교 운영의 정의 --------------------------------------------- 31 2. 단위학교 운영의 효율성 ------------------------------------------- 37 D. 한국의 학교 조직문화와 단위학교 운영 ------------------------------ 44 1. 한국의 학교 조직문화 --------------------------------------------- 44 2. 한국의 단위학교 운영 --------------------------------------------- 49 3. 한국의 학교 조직문화와 단위학교 운영 ----------------------------- 51 Ⅲ. 연구 방법 --------------------------------------------------------- 56 A. 연구 방법 및 대상 ------------------------------------------------- 56 1. 연구 방법 -------------------------------------------------------- 56 2. 연구 대상 -------------------------------------------------------- 58 B. 자료 수집 --------------------------------------------------------- 60 1. 참여 관찰 -------------------------------------------------------- 60 2. 심층 면접 -------------------------------------------------------- 61 3. 문서 수집 -------------------------------------------------------- 64 C. 자료 분석 --------------------------------------------------------- 64 1. 참여 관찰 -------------------------------------------------------- 64 2. 심층 면접 -------------------------------------------------------- 65 3. 문서 분석 -------------------------------------------------------- 65 4. 분류, 비교 및 주제 분석 ------------------------------------------ 66 Ⅳ. 연구 결과 --------------------------------------------------------- 70 A. 두레 중학교의 학교 조직문화와 단위학교 운영 ---------------------- 70 1. 두레중학교의 학교 조직문화 --------------------------------------- 70 2. 두레중학교 단위학교 운영 ----------------------------------------- 90 3. 두레중학교의 효율적 단위학교 운영과 학교 조직문화 ----------------106 B. 백두 중학교의 학교 조직문화와 단위학교 운영 ----------------------113 1. 백두중학교의 학교 조직문화 ---------------------------------------113 2. 백두중학교 단위학교 운영 -----------------------------------------134 3. 백두중학교의 효율적 단위학교 운영과 학교 조직문화 ----------------143 C. 두레 중학교와 백두 중학교의 학교 조직문화와 단위학교 운영 비교 --147 1. 학교 조직문화 수준 -----------------------------------------------147 2. 학교 조직문화 강도와 차원 ----------------------------------------149 3. 단위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 ----------------------------------------154 4. 단위학교 운영 실제와 효율적 운영 요소 ----------------------------155 D. 학교 조직문화와 단위학교 운영에서의 문화적 주제 -------------------158 Ⅴ. 요약 및 결론 ------------------------------------------------------161 A. 요약 --------------------------------------------------------------161 B. 결론 --------------------------------------------------------------164 C. 연구의 한계 -------------------------------------------------------168 Ⅵ. 논의 및 시사점 ----------------------------------------------------170 A. 논의 --------------------------------------------------------------170 B. 시사점 ------------------------------------------------------------171 참고문헌 --------------------------------------------------------------175 부 록 --------------------------------------------------------------185 Abstract --------------------------------------------------------------1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232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효율적 단위학교 운영을 위한 학교 조직문화에 대한 질적 탐색-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chool for effective school-based management-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