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서울시 초등학교 미술교육 현황

Title
서울시 초등학교 미술교육 현황
Authors
강인욱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은 사회 조직이 거대화, 다양화되고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 소외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대사회에 미술교육은 그 의미를 더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초교육의 발판인 초등학교 현장의 미술교육 활용 현황과 그 제반 여건들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학교의 자율성과 창의적인 미술교육이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것임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 25개 초등학교와 공립 25개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학교의 자율적 권한과 교육 업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고 판단되는 행정직의 교장과 교감을 대상으로 면접을 하여 의견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가 행정직에 있는 교장과 교감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미술수업에 관한 구체적인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는 다소 한계가 있으나 학교의 교육 업무를 추진하고 있는 입장에서 현재 초등학교 미술교육의 현황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내에서는 교과활동의 미술교육 외에 특별활동 미술교육이 있으며 특별활동 프로그램(클럽 미술활동과 특기적성 미술활동)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특기신장과 취미활동으로서 그 역할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2. 특별활동 미술교사로서는 사립과 공립학교 모두 외부강사가 많이 초빙되어 활용되고 있었으며 사립학교 미술교사는 전공자 교사가 학생들의 교과와 특별활동의 일부를 지도하였고 공립학교에는 교과 전담교사가 교과를 지도하고 있으나 교사 수의 부족으로 인해 공립학교의 교과 전담 교사의 활동 범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초등학교의 교사와 학교장들은 미술교육에 대해 비교적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아직 학부모들의 인식은 미술활동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 않았다. 공립 초등학교는 교사, 학부모, 학교장들의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사립 초등학교보다 조금씩 낮았다. 4. 전체적으로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미술실과 미술자료와 교구가 비교적 잘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활용과 만족도가 저조하였다. 5. 초등학교에서 원하는 미술교육의 지원은 학습 환경적인 면의 확충과 초등미술교육에 적합한 교사의 확보라는 점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교과활동과 특별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질 높은 미술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미술교육에 관한 정부의 지원, 초등학교의 학교행정, 사회전반 그리고 학부모들의 인식이 더 높아지어야 하며 초등학교 미술교사들의 미술 교육자료의 개발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있을 때 보다 나은 미술교육을 이룰 수 있다. ; Phenomena of alienation of humans are exacerbating today on account of conglomeration and diversification of social organizations as well as rapid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is reason education of fine arts is considered as more significant than any other time before. In this treatise this writer aimed to identify status of utilization of fine arts education and various related conditions at primary schools, foundation of our basic educational system, furthermore intended to attract attention of people to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and creative education of fine arts at schools in the modem society. As method of this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estions asked to persons in administrative positions and in charge of the concerned field at 25 private and 25 public prim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rea and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In the schools they have education of fine arts subject in regular curricula and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Special activity programs (club fine art activities and specialty and aptitude fine arts activities) are found as playing its roles properly for furthering specialties and encouraging hobbies. 2) On many occasions both for private schools and public ones fine arts teachers were invited from outside the schools. In case of private schools teachers who majored in fine arts taught students fine arts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in public schools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subject taught the subject but due to lack of number of available teachers scope of their activities was found very limited. 3) It was found that level of consciousness on the importance of fine arts education by primary school teachers and principals was relatively high but parents of students were found not so conscious about its importance. In public primary schools teachers, parents and school principals were found having slightly lower level of consciousness on importance of fine arts education than that of primary schools. 4) In overall aspect prim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rea were found as relatively well equipped with fine arts rooms, fine arts data and materials and educational aid but in terms of level of utilization it was not so satisfactory. 5) For fine arts education at primary schools respondents said they desire more support for improving environment for fine arts education and securing more teachers proper for teaching fine arts at primary schools. To meet such request it is believed that perception on fine arts education should be enhanced more than anything else. For the students to receive high quality fine arts education in regular as well as extracurricular fine arts program at schools government support for fine arts education, improvement of administration of primary schools, enhancement of level of consciousness on fine arts education by society in general and parents of student are required and also there should be continuous effort for developing better educational materials for fine arts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