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우리나라 초등학교 미술과에 있어서의 열린교육 현황연구

Title
우리나라 초등학교 미술과에 있어서의 열린교육 현황연구
Authors
이선화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생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열린교육은 지금까지 학습자의 개인차를 무시하고 획일화된 수업을 해온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타교과와의 통합교육을 통해서 미술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열린교육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자유의 원리(the freedom rule), 환경의 원리(the environment rule), 개별화 수업의 원리(the individualization rule), 존중의 원리(the respect rule)는 미술과의 특성과 지향하는 교육원리와 비교할 때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술과의 바람직한 교육실천은 열린교육에서 큰 의미를 갖으며,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미술과의 열린교육이 어느 정도 정착되어 있는지 현황을 연구하여, 열린교육에서 미술과 교과연구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미술교육의 목표와 교육내용 및 학습형태, 최근의 미술교육 이론으로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환경 및 학습자료, 교육평가, 교사의 역할 등의 여섯 가지에 해당하는 현황연구 질문지를 제작하였으며, 현황결과에 대한 판단 근거로서 열린교육의 근본 이념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설문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의 교육부에서 지정한 열린교육 시범학교의 교사들로서, 총 153명 이었다. 현황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의 균형 잡힌 목표인식과 지도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능력이 요구되었다. 둘째, 교사 주도적인 수업형태가 남아있는 가운데 감상활동의 수업자료가 부족하였다. 일제학습, 개별학습, 소집단학습의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되기는 하지만, 코너학습과 협동교수, 통합교육의 부분은 활성화되고 있지 않았다. 셋째, 학문에 기초한 DBAE에 대해서 인식하는 교사는 매우 적었으며, 미술비평과 미학, 미술제작은 수업시간에 대체로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미술사 교육은 미흡하였다. 넷째, 미술관련 코너, 재료함, 시청각 기자재 등이 완전히 교실 현장에 정착되었다고 할 수 없으며, 교실은 융통성 있게 공간활용이 되었지만 미술관, 공원, 지역사회로 학습의 장이 확대되는 경우는 적었다. 다섯째, 학생에게 자기 평가 기회를 주고 평가에 반영하면서 수행평가의 일면으로서 표현과정과 작품에 중점을 두었다. 여섯째, 교사들은 자기 평가 시간을 대체로 갖지 않았으며, 미술과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대학때 이수한 미술교육 과목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었다. 열린교육의 발전을 위한 교과교육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미술교육에 대한 정보와 지도 방법에 대한 재교육을 원하고 있었다. 이상의 현황결과는 비록 뚜렷하게 열린교육의 특성을 띄고 있다고 할 수 없지만 기존의 일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과 비교했을 때 고정된 단일교과 수업이나, 횔일적인 교실구조와 비교한다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또한 열린교육 시범학교들을 중심으로 각기 상황에 맞게 단계적인 수용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좋고, 나쁘다는 단정을 성급하게 내려서는 안될 것이다. 앞으로 미술과의 열린교육이 바람직하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이 재구성되고,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이 연구되어야 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무엇보다도 실제로 열린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의 미술과의 특성과 장점, 필요성에 대한 가치관 및 의식이 변화될 때 열린교육에서 미술과가 성공적으로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 Based on students trust, open education made a moment of solving the problems of art education, which ignores individual difference of learners with uniformed teaching, and display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open education-principle of freedom, environment, individualized lesson and respect is conformed to those of art education, so practicing desirable education in art has a good meaning in ope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to art subject study in open education by examing the present situation of how much open education is settled in art. For that purpose, I made questionaires on present situation stydy belonging to the six items - the goal, educational contents and learning method of art education, recognition on DBAE as an art theory,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the rold of teachers, and examined the basic concept of open education and curriculum of art theoretically as the basis of judgement. The subject of survey is teachers in exhibition school of open education appointed by edcuation dpt. of Seoul city, and they are 153 in tot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lanced goal recognition on art subject. and teacher's understanding and ability in teaching skill are needed. Second, teacher-dominating lesson still remalns, and materials for appreciation activity lack, and corner learning, cooperative teaching, and integrated education are not activated yet though learning group forms are variously composed. third, few teachers recognize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based on acadmics, and art history education is not good enough while art criticism, aesthetics and production are mostly well-progressed Fourth, art-related corner, material box, audio-visual equipment are not settled yet in classroom, and cases that art museum, park, and other local community are not included to learning area despite flexible space use of classrooms. Fifth, giving students an opportunity of self-evaluation and reflecting it on the evaluation, teachers focus on expression, process and work as part of performance evaluation. Sixth, mostly, teachers do not have time for self-evaluation and feel difficulty in teaching art subject, and tyink art education they took at collegy is not helpful. They want and need retraining on teaching method and informaton on art education with the necessity of curriculum study forthe development of open education. The results as above cannot be said to necessaril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pen education but there is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art education in other general schools with fixed simple sibject lesson, uninformed learning environment. Also, sydtematic acceptance is in progres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school led by exhibition schools for open education, so it must be a sudden judgement if it is defined simply good or bad. To develop desirable education in art subject, learner-oriented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restructured, educational contents for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studied, and governmental support sould also follow. Most of all, art subject in open education will be able to be successful when teacher's value and point of view on the characteristics, merits, necessity of art subject chan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