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1 Download: 0

사회적 강화가 운동학습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회적 강화가 운동학습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강화가 운동학습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강화란 ‘어느 특정 행위가 다시 반복되어 나타날 가능성을 높이는 현상’을 의미하며 표정이나 몸짓 혹은 언어나 물질적 보상 등이 그 유형이다. 즉 학생들이 운동학습 시 긍정적인 수행을 보이거나 인정을 원할 때 혹은 격려를 필요로 할 때 교사는 상황에 알맞게 간단한 몸짓이나 표정으로 혹은 직접 가서 도움을 준다거나 격려의 말을 건넨다거나 하는 등의 직·간접적 칭찬을 통해서 사기를 높여줄 수 있으며 칭찬이나 격려로 인해 동기화 된 학생은 학습에 대한 흥미와 태도가 보다 긍정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가정도 가능하다. 이러한 사실을 입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사용된 도구는 중 3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이며 각 항목에 따른 응답을 분석하여 사회적 강화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중 3 여학생을 설문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칭찬의 효과에 민감하다는 박찬우(1992)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참조하고 칭찬 경험을 묻는 문항이 있었기 때문에 고학년의 경험까지 포괄하기 위하여 3학년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설문지의 응답내용을 분석하면서 이루어졌으며 칭찬 유경험자가 큰 차이로 많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칭찬 무경험자가 칭찬 유경험자에 비해 156 : 194명의 비율로 많아 우리 나라 교육현실의 경직성을 엿볼 수 있었다. 총 4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설문 자료는 일원변량분석(One -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칭찬 빈도에 따른 운동학습 태도 차이에 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기초로 사후 검증(Scheffe test) 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사회적 강화를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과 경험이 없는 학생들간의 운동학습 태도 및 흥미도의 차이는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칭찬을 경험한 집단의 태도 및 흥미도가 경험하지 못한 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둘째, 칭찬을 경험한 집단 내에서는 칭찬의 강도 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칭찬을 경험한 집단 내에서 학생들 자신의 칭찬의 수용태도가 적극적인가 소극적인가에 따른 분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칭찬을 경험한 집단 내에서 실시한 칭찬 유형 네 가지, 즉 긍정적인 언어 보상과 신체적 접촉에 의한 보상, 언어와 접촉을 함께 실시한 보상형태, 마지막으로 물질적 보상에 따른 운동학습 태도 및 흥미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칭찬 경험 집단 내에서 칭찬이유가 체육 수업 장면과 직접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칭찬의 이유가 학습 태도 및 학습 내용 우수일 때에는 태도 및 흥미도 모두 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칭찬 경험 집단 내에서 칭찬 빈도가 많거나 보통 혹은 적음에 따라 영향을 받는 정도는 칭찬 빈도 중 1주-1개월에 1회와 2-3개월에 1회는 모두 1학기-1년에 1회에 비해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1주-1개월에 1회와 2-3개월에 1회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요약하면 칭찬은 경험하였을 시 그 세부 내용과 상관없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운동학습 장면과 직접적으로 상관 있는 행동에서 칭찬을 받았을 때 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별히 태도 면에서 칭찬을 2-3개월에 1회 이상으로 받았을 경우에 매우 높은 영향(p<.001) 을 미친다는 결론이 나왔다.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reinforcement through investigating the affection on motor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of learner. 400 students of three girls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were randomly selected and examined with questionnaire. Among them perfect 350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N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 First, the experience of praise had p < .001 level positive result - compared with inexperienced group - with motor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Second, the intensity of praise statistically had no positive influence on motor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Third, the receptive manner of praise had no positive influence on motor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Forth, the pattern of praise had no positive influence on motor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Fifth, Because of the correlation with motor learning situation, the motive of praise had p < .05 level positive result with motor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of student who got praised. Sixth, at the frequency level of praise, "often" and "on the average" had statistically more positive result than "on rare occasions".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that when learner got praise directly related to motor learning situation, above average level of frequency and these experience of praise unconditionally made motor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impro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