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계영-
dc.creator이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7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동작 과제에 대한 언어적 과제정보 제시 형태에 따른 무용 수행의 기능적, 표현적 점수 변화를 통해 무용학습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및 문헌을 섭렵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언어적 과제정보가 있는 집단이 언어적 과제 정보가 없는 집단보다 무용 동작의 기능과 표현의 수행 및 학습효과가 높을 것이다. 둘째, 상징적 용어의 언어적 설명 집단이 기술적(descriptive) 용어의 언어적 설명 집단보다 무용 동작의 기능과 표현의 수행 및 학습효과가 높을 것이다. 위의 두 가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0개 동작의 창작적인 무용학습 과제를 고안하여 언어적 설명이 없이 시범만을 제시하는 집단1과 기술적 용어의 언어적 설명 집단2, 상징적 용어의 언어적 설명 집단3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에 맞는 언어적 과제 정보를 제시하였다. 사전(1회), 1차(10회), 2차(10회), 3차(10회)의 4회에 걸친 31회 수행에 대한 평가는 5인의 무용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에 의해 기능과 표현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10점을 만점으로 평가하였으며, 상·하점수의 삭제 없이 다섯 개의 점수를 통해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고 일주일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집단별 파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무용동작 학습과제에 대한 기능점수와 표현점수를 집단별·시행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집단구분에 의한 주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시 시행별 효과와 상호작용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 변량 분석(Two 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수행점수를 분석한 결과, 습득 단계와 파지단계에서 기능과 표현 영역의 언어적 과제정보 제시형태에 따른 주효과와 시행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상징적 용어의 집단3의 경우 기능 영역에서 보다 표현 영역에서의 학습효과가 우월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상징적 용어 사용의 언어적 과제정보 제시형태는 무용 동작 학습에 긍적적인 효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가 피험자의 연령과 수준 , 과제 난이도의 다양성을 고려한 설계에도 일반화 될 수 있도록 심도 깊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한 학습이론이 무용 현장에 적용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무용 동작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 learning according to display the type of the verbal task information. Through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cords,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learned by descriptive and symbolical terms would be better than other groups in the effect of the dance movement learning. Second, the learning effect of the group learned by symbolical terms would be relatively better than the group learned by descriptive terms. To test these hypotheses, the investigator presented ten creative dance movements to high school students, and five dancing experts appraised full marks of their performance at ten points. For analyzing dancing movements appraisal used two statistical analysis. It is One-way or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est and Scheffe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Display types of the verbal task information which accompanied with the symbolical and descriptive terms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 display types in the dancing movement learning. Especially, display types with the symbolical terms are the most eff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 가설 = 3 D.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무용 동작의 특성 = 5 1. 무용의 개념 및 특성 = 5 2. 무용학습과 영향 요인 = 7 B. 학습 관련 이론 = 8 1. 관찰 학습 이론 = 8 2. 이중 부호화 이론 = 10 C. 언어적 과제 정보 = 12 1. 동작학습에 있어서 언어의 기능 = 12 2. 언어적 단서에 의한 정보의 제공 = 13 Ⅲ. 연구방법 = 15 A. 피험자 = 15 B. 학습 과제 및 기자재 = 15 C. 실험 설계 및 절차 = 20 D. 분 석 = 23 Ⅳ. 연구결과 = 25 A. 언어적 과제 정보 제시형태에 따른 기능점수 분석 결과 = 25 1. 습득단계에서의 기능점수 분석 = 25 2. 파지단계에서의 기능점수 분석 = 29 B. 언어적 과제 정보 제시 형태에 따른 표현점수 분석 결과 = 30 1. 습득단계에서의 표현점수 분석 = 30 2. 파지단계에서의 표현점수 분석 = 34 Ⅴ. 논의 및 결론 = 36 참고문헌 = 39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67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언어적 과제정보 제시 형태에 따른 무용동작 학습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