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실험, 실습을 통한 수행평가에서 평가 준거 제시가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실험, 실습을 통한 수행평가에서 평가 준거 제시가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박소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그리고 평가의 개념과 실제는 교육과정의 개편과 맞물려 새롭게 변화되고 있다. 최근에 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평가 방법의 문제점이 제기 되면서 수행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습을 통한 수행평가에서 평가준거 제시가 중학생들의 실험·실습평가점수, 과학 성취도,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의 한 중학교 2학년 154명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2개반을 구성하였다. 통제반은 평가준거의 제시없이 실험·실습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반은 평가준거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실험·실습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이전에 학업 성취도,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5주간의 수업 실시 후 다시 성취도,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실습평가에서 평가준거를 제시하고 실험·실습평가를 한 반이 평가준거를 제시하지 않고 수행 평가를 실시한 반에 비해 실험·실습 평가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p<.01). 그러나 성취도인 지필평가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탐구능력은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탐구능력 중 자료해석 부분에서는 실험반 학생들이 통제반 학생들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면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수행평가를 할 때에 평가준거를 제시는 것은 학생들의 탐구능력이나 실험 수행 능력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평가받는지를 명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과학과목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갖게 되는 등 과학 과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수행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평가하기 이전에 평가 준거를 미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According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concepts and process of assessment as well as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changing. Because of recent emphasis on assessment portion over the whole education and mistakes in the methods of assessment, the researches on the alternative assessment have become more a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ubric presented in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experimentation and practical training on accomplishment, ability of studying, and scientific attitude. For this study, 154 members of the eighth grade were sampled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av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control group was assessed for their abilities in performing experiments and practical train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essed after the rubric was suggested. Before this research, pre-testing was performed for the accomplishment, ability of studying, and scientific attitude. Then, after 5 weeks of instructing, the posttest was performed again. The results of test foll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s to have receive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ment performing ability, but results about accomplishment show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tests. Also, in the analysis of the data part within the ability of studying and in scientific attitude,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positive effect. Conclusively, suggestion of rubric before assessment process had an effect on the experiment performing ability and the ability of studying positively in performance assessment. And students also had interest and self-confidence by understanding what were the norms of assessment and those procedures are expected to affect positively science studying on the whole. Therefore, developing and suggesting rubric consistently before the assessment process are needed for the effective alternative assess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